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스키인구 감소가 탄생시킨 '스마트 스키장'

    일본의 스키 인구는 지난 20여 년간 꾸준히 감소해 많은 스키장들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나가노 동계 올림픽이 열리던 1998년 1800만 명이었던 스키 인구는 2020년 430만 명으로 감소했다.업계와 정부 당국은 저출산 고령화 그리고 스포츠와 오락의 다각화를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이런 현상은 매출 감소라는 직격탄을 맞는 스키장들의 경영방식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특히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스키나 스노보드를 즐기지 않더라도 설원의 겨울 풍경을 만끽하며 휴식할 수  있는 새로운 주제를 탄생시키고 있다. 니가타현의 이시타 마루야마 스키장은 20-21 시즌부터, 「스마트한 아웃도어」를 테마로 한 "스노 가든 에어리어"를 오픈해 스키나 스노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과 실내 여가생활을 즐겼던 노약자 층을 대상으로 겨울의 아웃도어 관광과 위드 코로나의 상황 속에서 야외라는 특성을 살린 스노우 테라스나 스노우 돔 텐트 등, 설산을 쾌적하게 보낼 수 있는 설비를 도입해 아웃도어에의 접근성을 낮춰 스키장을 찾는 고객층을 넓히고 있다.스키장 안에 있는 투명한 돔 텐트 내에는 테이블이나 의자는 물론 구두를 벗고 편히 쉬면서 음식이나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맑은 공기를 만끽하고 싶다면 테라스 시트에서 설경의 대 파노라마를 즐길 수 있는 스노 테라스는 돔 텐트에 비해 개방감을 선호하는 고객들을 위한 시설이다.스노 가든 에어리어 카페에서는 「설산의 팬케이크」등 스키리조트 분위기에 맞는 요리와 디저트를 준비해 폭넓은 세대의 고객들이 각자의 특성에 맞게 즐길 수 있는 복합 에어리어가 되고 있다.니이가타 이외의 군마나 나가노 등의 스키

  • 설국의 1LDK 리조트맨션은 단돈 5백만원

    이곳의 리조트 맨션은 일본 버블의 끝자락에 건설붐이 일어나 현재는 미분양 물건도 많은 상태로 버블경제의 상징물로 전락했다. IT기업에 근무하는 다카나시씨는 최근 재택근무를 계기로 이곳 유자와로 이사해 느린 삶을 즐기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리조트맨션 내 체육관에서 운동을 하고 최상층의 대욕장에서 온천을 즐기고 하루를 시작한다. 일과를 마치면 강아지와 함께 동네 온천가를 산책하며 하루를 마무리 한다. 주말에는 사방이 스키장이라 도쿄에서 내려온 친구들과 스키를 즐기기도 한다. 아사히신문 이곳 니이가타현 유자와에 최근 이주민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수도권에서 이주해 오는 인구 대부분은 코로나를 계기로 재택근무 형태로 바뀐 IT관련 기업인들이 많다고 한다. 특히 일본 기업문화는 교통비를 지급하며 대기업의 경우 월 100만원정까지도 지원이 되기 때문에 신칸센을 이용한 통근도 문제가 없다. 유자와에는 이런 리조트맨션이 57동이나 있다. 80~90년대 스키붐과 버블경기때는 도쿄에서 오는 손님들로 붐볐으나 버블붕괴와 스키인구 감소로 당시 분양가 1억원 전후의 원룸 리조트는 최근 수백만원까지 가격이 떨어졌지만 구매자가 없었던 곳이다. 보도에 의하면 A씨는 1LDK를 약500만원에 구입했으며 60대 남성B씨는 2DK를 250만원에 구입했다. 다만 축조된지 30년이 지난 물건이라 꼼꼼히 조건을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도시와 달리 대중교통이 없어 수퍼마켓도 차로 이동해야 하며 겨울이면 눈이 많이 내려 이동에 불편함이 있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부동산 가격은 싸지만 연료비를 비롯한 생활비도 의외로 지출이 많고 취득세 200여

  • 일본 시골 가정생활(니가타)

    니이가타는 도쿄에서 약400Km, 신칸센으론 2시간 차로 5시간 걸린다. 도쿄 이주 후 처음 차로 가는 만큼 설레 인다. 편하고 빠른 신칸센도 좋지만 고즈넉한 시골 풍경을 보며 예쁜 휴게소를 들어가는 “슬로우 마실”도 좋다. 고시히카리라, 니혼슈(일본 사케), 설국, 눈, 스키장, 연어 등 니이가타(니가타)를 대표하는 단어다. 한국에서 유명한 핫카이산, 구보타, 코시노간바이가 니이가타 브랜드다. 짧은 휴가라 많은 일정을 짜지 않고 집에서 “시체 놀이”가까운 생활만 하겠다고 마음 먹고 떠났다. 봉호가 들어왔던 곳으로 일본인 납치가 이루어진 곳은 이곳 니이가타 해변이다.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이곳에서 음식을 먹다 보면 비싸고 맛없는 도쿄의 물가가 얄밉다. 대략 방이5~6개의 2층집, 정원과 주차장까지 있으며 월세는 원화로 50~60만원 전후. 도쿄의 한국 20평대 아파트가 150~250만원 정도 하니 물가 차이가 크다. 다만 시골은 가족 숫자대로 차가 필요하지만 연료비가 도시의 전철보단 싸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파도 풀장은 입장료가 무려 200엔(중학생100엔)이며 도시락을 지참해도 관계없으니 마음까지 넉넉해 진다. 일본은 지방의 변두리 역도 한글 표시가 돼있다. 처음 방문 때는 도쿄나 오사카를 찾지만 재 방문 시에는 시골을 찾는 한국인들이 많은데 온천이나 자연 풍광을 즐기기에도 인프라가 잘 발달했고 물가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도시와는 비교할 수 없는 신선함 때문이다. 지난번 TV에 소개된 시골의 온천여관 주인장 부부가 손님접대를 위해 영어와 한국어를 공부하는 장면은 인상적이었다. 개인이 와서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일본 전문 여행사들이 하나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