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하루살이와 나귀, 권영상

    하루살이와 나귀   권영상   해 지기 전에 한 번 더 만나 줄래? 하루살이가 나귀에게 말했습니다.   오늘 저녁은 안 돼. 내일도 산책 있어. 모레, 모레쯤 어떠니?   그 말에 하루살이가 눈물을 글썽이며 돌아섭니다.   넌 너무도 나를 모르는구나.   [태헌의 한역] 蜉蝣與驢子(부유여려자)   予復欲逢君(여부욕봉군) 暮前能不能(모전능불능) 蜉蝣問驢子(부유문려자) 驢子卽答應(여자즉답응) 今夕固不可(금석고불가) 明日有逍遙(명일유소요) 明後始有隙(명후시유극) 君意正何如(군의정하여) 蜉蝣含淚轉身曰(부유함루전신왈) 爾汝全然不知予(이여전연부지여)   [주석] * 蜉蝣(부유) : 하루살이. / 與(여) : 연사(連詞). ~와, ~과 / 驢子(여자) : 나귀. 予(여) : 나. / 復(부) : 다시. / 欲(욕) : ~을 하고자 하다. ~을 하고 싶다. / 逢君(봉군) : 그대를 만나다, 너를 만나다. 暮前(모전) : 저물기 전, 해 지기 전. / 能不能(능불능) : ~을 할 수 있나 없나?, ~이 될까 안 될까? 의문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問(문) : ~을 묻다, ~에게 묻다. 卽(즉) : 즉시, 곧바로. / 答應(답응) : 응답하다, 대답하다. 今夕(금석) : 오늘 저녁. / 固(고) : 진실로, 정말로. 한역(漢譯)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不可(불가) : 불가하다, 안 된다. 明日(명일) : 내일. / 有逍遙(유소요) : 산보(散步)가 있다. 明後(명후) : 모레. 명후일(明後日)을 줄여 사용한 말이다. / 始(시) : 비로소. 아래의 ‘有隙’과 함께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有隙(유극) : 틈이 있다, 짬이 있다. 君意(군의) : 그대의 생각, 너의 생각. 아래의 ‘正’과 함께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正(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