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주소 문무학 젊을 적 식탁에는꽃병이 놓이더니 늙은 날 식탁에는약병만 줄을 선다 아! 인생고작 꽃병과 약병그 사이에 있던 것을 [태헌의 한역]人生住所(인생주소) 盛時食卓花甁設(성시식탁화병설)老日食卓藥甁列(노일식탁약병렬)嗚呼人生如何看(오호인생여하간)只在花甁藥甁間(지재화병약병간) [주석]人生(인생) : 인생. / 住所(주소) : 주소.盛時(성시) : 혈기가 왕성한 시기, 젊을 때. / 食卓(식탁) : 식탁. / 花甁(화병) : 꽃병. / 設(설) : 놓다, 놓이다.老日(노일) : 늙은 날, 늙었을 때. / 藥甁(약병) : 약병. / 列(열) : 줄을 짓다, 줄지어 서다.嗚呼(오호) : 아아! ‘嗚呼’는 감탄사이다. / 如何看(여하간) : ~을 어떻게 볼까? ~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여기서 이 ‘如何看’의 목적어는 앞에 나온 ‘人生’이다. 이 대목은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역자가 의문 형식으로 재구성한 것이다.只(지) : 다만, 오직, 그저. / 在(재) : ~에 있다. ‘在’의 의미상 주어는 윗 구절에 보이는 ‘人生’이다. / 花甁藥甁間(화병약병간) : 꽃병과 약병 사이. [한역의 직역]인생의 주소 젊을 적 식탁에는 꽃병이 놓이더니늙은 날 식탁에는 약병이 줄을 선다아아! 인생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꽃병과 약병 사이에 있을 뿐인 것을 [한역 노트]SNS상에서 위의 그림을 지인으로부터 받고 역자가 처음으로 보인 반응은 “한시로 될 듯하네요.”였다. 언제부턴가 한글로 된 시나 글귀만 보면 한시로 번역이 가능할까를 가늠해보는 버릇이 생겼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아무리 보아도 평범한 네티즌이 가볍게 쓴 글로는 보이지 않아 조심스럽게 검색을 시도해본 결과, 놀랍
빨랫줄 유은정 하늘에 고민 하나 널어놨더니바짝 말라 사라져 버렸다 아쉬움도 하나 널어놨더니슬며시 바람이 가져갔다 내 마음도 널어보았더니사랑비가 쏟아지더라 너의 마음도 널어보면뭐가 내릴까? [태헌의 한역]曬衣繩(쇄의승) 一曬苦悶於天中(일쇄고민어천중)乾燥而滅無尋處(건조이멸무심처)又曬一遺憾(우쇄일유감)天風暗帶去(천풍암대거)還曬吾人心(환쇄오인심)愛雨忽沛然(애우홀패연)若曬吾君心(약쇄오군심)何物自此傳(하물자차전) [주석]* 曬衣繩(쇄의승) : 옷을 <햇볕에> 말리는 줄, 빨랫줄. ‘曬’는 햇볕에 쬐어 말린다는 뜻이다.一(일) : 한 번, 한 차례. / 苦悶(고민) : 고민. / 於天中(어천중) : 하늘 가운데에, 하늘에. ‘於’는 처소를 나타내는 개사이다.乾燥而滅(건조이멸) : 말라서 사라지다. ‘乾燥’는 마르다, 말린다는 뜻이다. / 無尋處(무심처) : 찾을 곳이 없다. 어디에 있는지 알 수가 없다는 뜻이다.又(우) : 또, 또한. / 遺憾(유감) : 유감, 아쉬움.天風(천풍) : 보통은 하늘 높이 부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쓰이나 그냥 바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 暗(암) : 몰래, 슬며시. / 帶去(대거) : 데리고 가다.還(환) : 다시, 게다가. / 吾人(오인) : 나. / 心(심) : 마음.愛雨(애우) : 사랑 비. 원시에 쓰인 “사랑비”를 한자로 조어(造語)해본 말이다. / 忽(홀) : 문득, 갑자기.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沛然(패연) : 비가 세차게 쏟아지는 모양.若(약) : 만약. / 吾君(오군) : 당신, 그대, 너.何物(하물) : 무슨 물건, 무엇. / 自此(자차) : 이로부터, 빨랫줄로부터.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
<사진 설명 : 필자의 동생인 서예가 심산 강성태의 붓걸이 사진(위)과 필자의 졸시 <가제필가>를 쓴 묵적(아래).>家弟筆架(가제필가) 姜聲尉(강성위) 祖妣孤墳位土邊(조비고분위토변)山桑一樹老爲仙(산상일수로위선)刈草同生採根後(예초동생채근후)終成筆架立窓前(종성필가립창전) [주석]* 家弟(가제) : 동생. 보통 남에게 자기 아우를 겸손하게 일컫는 말로 쓰인다. / 筆架(필가) : 붓걸이.祖妣(조비) : 돌아가신 할머니를 칭하는 말. / 孤墳(고분) : 외로운 무덤. 보통 외따로 떨어져 있는 무덤을 가리킨다. / 位土(위토) : 집안의 제사나 이와 관련된 일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마련된 토지를 가리킨다. / 邊(변) : ~의 가, ~의 가장자리.山桑(산상) : 산뽕나무. / 一樹(일수) : 한 그루의 나무, 나무 한 그루. / 老爲仙(노위선) : 늙어 신선이 되다. 곧 죽었다는 말이다.刈草(예초) : 풀을 베다. / 同生(동생) : 동생, 아우. / 採根(채근) : 뿌리를 캐다. / 後(후) : ~한 후에.終(종) : 마침내, 결국. / 成(성) : ~을 만들다, ~을 완성하다. / 立窓前(입창전) : 창 앞에 세우다. [번역]동생의 붓걸이 할머니 외로운 무덤위토 가장자리에산뽕나무 한 그루가늙어 신선이 되었는데풀을 베던 동생이그 뿌리 캔 후에마침내 붓걸이 만들어창 앞에 세워두었네 [시작 노트]할머니와 함께 같은 세월을 보낸 적이 있거나 지금도 할머니와 함께 같은 세월을 보내고 있는 중이라면 어느 누군들 할머니와의 인연이 예사롭기만 할까만, 필자만큼 다소 극적인 사연이 있는 경우도 그리 흔하지는 않을 듯하다. 필자가 고등학교 3학년이 되던 해에 필자의 자취방으로 오셔서 몇 달 동안 밥을 해주셨던 할머니는, 1년
이 겨울엔 홍해리 이 겨울엔 무작정 집을 나서자흰 눈이 천지 가득 내려 쌓이고수정 맑은 물소리도 들려오는데먼 저녁 등불이 가슴마다 켜지면맞아주지 않을 이 어디 있으랴이 겨울엔 무작정 길 위에 서자. [태헌의 한역]此冬(차동) 此冬不問出宇庭(차동불문출우정)白雪飛下滿地積(백설비하만지적)淸如水晶水聲聽(청여수정수성청) 遠處夕燈心心亮(원처석등심심량)世上何人不迎君(세상하인불영군)此冬不問立途上(차동불문립도상) [주석]* 此冬(차동) : 이 겨울, 이 겨울에.不問(불문) : 묻지 말고, 무작정. / 出宇庭(출우정) : 집을 나서다. ‘宇庭’은 집과 뜰이라는 뜻인데 ‘집’으로 보아도 무방하다.白雪(백설) : 흰 눈. / 飛下(비하) : 날아 내리다. / 滿地積(만지적) : 땅에 가득 쌓이다.淸如水晶(청여수정) : 맑기가 수정과 같다. 원시의 “수정 맑은”을 역자는 ‘수정처럼 맑은’으로 이해하였다. / 水聲聽(수성청) : 물소리가 들리다, 물소리 들려오다.遠處(원처) : 먼 곳, 먼 곳에서. / 夕燈(석등) : 저녁 등불. / 心心亮(심심량) : 마음마다 밝아지다, 가슴마다 켜지다. ‘亮’은 보통 밝다는 뜻으로 쓰이지만, 등불 따위가 켜진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世上(세상) : 세상. / 何人不迎君(하인불영군) : 어떤 사람이 그대를 맞이하지 않을까? ※ 이 구절은 원시의 “맞아주지 않을 이 어디 있으랴”를 살짝 의역하여 재구성한 것이다.立(입) : 서다, ~에 서다. / 途上(도상) : 길 위. [한역의 직역]이 겨울엔 이 겨울엔 무작정 집을 나서자흰 눈 날아 내려 땅에 가득 쌓이고맑기가 수정 같은 물소리 들려오리니 먼 데서 저녁 등불이 가슴마다 켜지면세상
겨울 아침풍경 김종길 안개인지 서릿발인지시야는 온통 우윳빛이다먼 숲은가즈런히 세워놓은팽이버섯, 아니면 콩나물그 너머로 방울토마토만한아침 해가 솟는다 겨울 아침 풍경은한 접시 신선한 쌜러드다만 초록빛 푸성귀만이 빠진 [태헌의 한역]冬朝風景(동조풍경) 霧耶霜花耶(무야상화야)眼前色如牛乳汁(안전색여우유즙)遠林又何若(원림우하약)恰似針菇豆芽立(흡사침고두아립)隔林朝日昇(격림조일승)大如小番茄(대여소번가)冬朝風景是沙拉(동조풍경시사랍)只缺靑靑蔬與瓜(지결청청소여과) [주석]* 冬朝(동조) : 겨울 아침. / 風景(풍경) : 풍경. ※ 시의 제목은 “겨울”과 “아침풍경”을 합한 말이지만 역자는 “아침”을 “겨울”과 합한 개념으로 한역하였다.霧耶(무야) : 안개인가? ‘耶’는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사이다. / 霜花(상화) : 서리꽃, 서릿발.眼前(안전) : 눈앞. 원시의 “시야”를 달리 표현한 말이다. / 色(색) : 색, 빛깔. / 如(여) : ~과 같다. / 牛乳汁(우유즙) : 소의 젖, 우유. 압운 등을 고려하여 우유를 세 글자의 한자어로 표현한 것이다. ‘乳汁’은 젖이라는 뜻이다.遠林(원림) : 먼 숲. / 又何若(우하약) : 또 무엇과 같은가? 행문(行文)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보탠 말이다.恰似(흡사) : 마치 ~과 같다. / 針菇(침고) : 팽이버섯을 나타내는 ‘金針菇(금침고)’를 줄여서 칭한 말이다. / 豆芽(두아) : 콩나물을 나타내는 ‘두아채(豆芽菜)’를 줄여서 칭한 말이다. / 立(립) : 서다, 세우다.隔林(격림) : 숲 너머에서. 원시의 “그 너머로”를 지시사 없이 한역한 표현이다. / 朝日(조일) : 아침 해. / 昇(승) : (
겨울 산에서 정석권 겨울 산마른 나무들행복하다 버릴 수 있는 것모두 버렸으므로 메마른 나무들의연히 서 있는겨울 산에서 갑자기쏟아지는 눈을만나는 것은행운이다 눈앞에서 세상이바뀌고 있으므로 [태헌의 한역]寒山(한산) 寒山瘦樹應幸福(한산수수응행복)可棄諸物已盡棄(가기제물이진기)踏葉遊寒山(답엽유한산)瘦樹依然位(수수의연위)忽逢下雪當幸運(홀봉하설당행운)眼前世上自新異(안전세상자신이) [주석]* 寒山(한산) : 썰렁한 겨울철 산. 이 말은 또 ‘겨울 산에서’의 뜻으로도 사용된다.瘦樹(수수) : 마른 나무. 잎사귀를 다 떨어뜨린 나무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 應(응) : 응당.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幸福(행복) : 행복.可棄(가기) : 버릴 수 있다. / 諸物(제물) : 여러 물건, 모든 것. / 已(이) : 이미.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盡棄(진기) : 다 버리다.踏葉(답엽) : 낙엽을 밟다.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遊寒山(유한산) : 겨울 산을 노닐다. 원시의 부사구 “겨울 산에서”를 문장으로 변환하면서 취한 표현이다.依然(의연) : 의연히. / 位(위) : 자리하다, 자리하고 있다.忽逢(홀봉) : 갑자기 ~을 만나다, 문득 ~을 만나다. / 下雪(하설) : 내리는 눈. / 當(당) : 당연히. ~에 해당한다는 뜻의 동사로 보아도 무방하다. / 幸運(행운) : 행운. 이 말은 일본에서 만들어져 동양 3국에서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이다.眼前(안전) : 눈앞, 눈앞에서. / 世上(세상) : 세상. / 自(자) : 스스로, 저절로. 한역의 편의를 위하
흰구름 박종해 “울지 마라너가 울면 내가 빨리 못간다.” 먼먼 길을 떠나시며어머니께서 하신 말씀이다. 어머니는 어디로 그렇게 서둘러 가신 것일까.동산머리에 흰구름이 피어 오른다.구름은 피어 하늘을 떠돌다가내가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어디로 갔는지 사라지고 없다. [태헌의 한역]白雲(백운) 莫泣汝若泣(막읍여약읍)吾不能速去(오불능속거)將登遠路前(장등원로전)母親向余語(모친향여어)母親悤悤去何處(모친총총거하처)小山頭上白雲浮(소산두상백운부)浮雲遊回天空中(부운유회천공중)余暫顧他跡忽無(여잠고타적홀무) [주석]* 白雲(백운) : 흰 구름.莫泣(막읍) : 울지 마라! / 汝若泣(여약읍) : 네가 만약 울면.吾(오) : 나. / 不能(불능) : ~을 할 수 없다. / 速去(속거) : 빨리 가다.將(장) : 장차. 아직 미발(未發)의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역자가 임의로 보탠 시어이다. / 登遠路(등원로) : 먼 길에 오르다, 세상을 떠나다. / 前(전) : ~하기 전에.母親(모친) : 어머니. / 向余(향여) : 나를 향해, 나에게. / 語(어) : 말하다.悤悤(총총) : 다급하게, 바쁘게, 서둘러. / 去何處(거하처) : 어디로 가는가?小山(소산) : 작은 산, 동산. / 頭上(두상) : 머리 위. / 浮(부) : 뜨다, 떠 있다. 원시의 “피어 오른다.”를 역자가 임의로 고쳐 한역한 표현이다.浮雲(부운) : 뜬 구름. / 遊回(유회) : 떠돌아다니다, 떠돌다. / 天空中(천공중) : 하늘 가운데, 하늘에.暫(잠) : 잠시. / 顧他(고타) : 다른 것을 돌아보다, 딴전을 피다, 한눈을 팔다. / 跡(적) : 자취, 종적.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忽(홀) : 문득, 갑자기. 이 역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
겨울나무 공광규 저녁이 되어도팔을 거두지도 않고눕지도 않는 나무 별을 안아 보려고저렇게 서서겨울밤을 지키는 나무 눈 온 아침천 개의 팔에 반짝반짝별 부스러기를 안고 있는. [태헌의 한역]冬樹(동수) 晩來不收臂(만래불수비)亦不臥而暇(역불와이가)欲抱天中星(욕포천중성)直立守冬夜(직립수동야)雪朝曜不絶(설조요부절)千臂擁星屑(천비옹성설) [주석]* 冬樹(동수) : 겨울나무.晩來(만래) : 저녁이 되어, 저물녘에. / 不收臂(불수비) : 팔을 거두지 않다, 팔을 그대로 두다.亦(역) : 또한, 역시. / 不(불) : ~을 하지 않다. / 臥而暇(와이가) : 누워서 느긋하게 쉬다. ‘暇’는 동사로 느긋하게 지내거나 한가하게 논다는 의미인데,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欲(욕) : ~을 하고자 하다. / 抱(포) : ~을 안다. / 天中星(천중성) : 하늘 가운데의 별. ‘天中’은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直立(직립) : 곧게 서다. 원시의 “저렇게 서서”를 의역한 표현이다. / 守(수) : ~을 지키다. / 冬夜(동야) : 겨울밤.雪朝(설조) : 눈 내리는 아침, 눈 내린 아침. / 曜不絶(요부절) : 반짝임이 끊이지 않다, 끝없이 반짝이다.千臂(천비) : 천 개의 팔. / 擁(옹) : ~을 안다. / 星屑(성설) : 별 부스러기, 별 조각. [한역의 직역]겨울나무 저녁이 되어도 팔 거두지 않고또 누워 느긋이 쉬지도 않으며하늘 가운데의 별 안아 보려고곧게 서서 겨울 밤을 지키는데눈 온 아침에 끝없이 반짝임은천 개의 팔이 별 조각 안은 것 [한역 노트]역자가 칼럼을 집필한 이래로 지금까지 같은 제목의 시로 독자들
우짤란지 김원준 엄마 말씀이자가, 자가저러다가우짤란지 모르겠데이결국엔크게 다칠낀데그래, 보라카이그 높은 이름에 먹칠했지더 어떤 망칠일 있겠노?돈, 그기 머라꼬!? [표준어 버전]어쩌려는지 엄마 말씀이쟤가, 쟤가저러다가어쩌려는지 모르겠다결국엔크게 다칠 건데그래, 보거라그 높은 이름에 먹칠했지더 어떤 망칠일 있겠느냐?돈, 그게 무엇이라고!? [태헌의 한역]將如何(장여하) 母曰彼兒吾彼兒(모왈피아오피아)不知如彼將如何(부지여피장여하)行行至終局(행행지종국)庶幾受傷多(서기수상다)是也請細看(시야청세간)高名遂蒙瑕(고명수몽하)誤事焉有甚於此(오사언유심어차)金錢彼又何物耶(금전피우하물야) [주석]* 將如何(장여하) : 장차 어쩔까, 장차 어찌할까?母曰(모왈) : 어머니가 ~라고 말씀하시다. ‘母曰’ 다음의 모든 내용이 어머니가 하신 말씀이다. / 彼兒(피아) : 저 아이, 쟤. / 吾彼兒(오피아) : 우리 저 아이. ‘吾’는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不知(부지) : 알지 못하다, 모르겠다. / 如彼(여피) : 저와 같이, 저와 같아서. 역자가 “저러다가”의 의미로 사용한 말이다.行行(행행) : 가고 가다. 어떤 상태를 지속한다는 의미로 쓴 말이다. / 至終局(종국) : 종국에 이르러, 결국에는.庶幾(서기) : 거의, 아마. / 受傷多(수상다) : 상처받은 것이 많다, 상처를 많이 입다. ※ 이 구절은 원시의 “크게 다칠낀데”를 다소 의역한 표현이다.是也(시야) : 옳거니, 그래! / 請細看(청세간) : 자세히 보거라. ‘細’는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高名(고명) :
초겨울 편지 김용택 앞산에고운 잎다 졌답니다빈 산을 그리며저 강에흰눈내리겠지요 눈 내리기 전에한번 보고 싶습니다 [태헌의 한역]初冬書信(초동서신) 前山佳葉落紛紛(전산가엽락분분)雪懷空山將下江(설회공산장하강)白雪飛前願逢君(백설비전원봉군) [주석]* 初冬(초동) : 초겨울. / 書信(서신) : 편지.前山(전산) : 앞산. / 佳葉(가엽) : 아름다운 잎, 고운 잎. / 落紛紛(낙분분) : 분분하게 떨어지다. 원시의 ‘다 지다’를 다소 의역한 표현이다.雪(설) : 눈. / 懷(회) : ~을 그리워하다. / 空山(공산) : 빈 산. / 將(장) : 장차. / 下江(하강) : 강에 내리다.白雪(백설) : 흰 눈. / 飛前(비전) : 날기 전에, 내리기 전에. / 願(원) : ~을 원하다, ~을 하고 싶다. / 逢君(봉군) : 그대를 만나다. [한역의 직역]초겨울 편지 앞산에 고운 잎 분분히 졌습니다눈이 빈 산 그리며 장차 강에 내리겠죠흰 눈 날리기 전에 그대 보고 싶습니다 [한역 노트]이 시는 한 마디로 말해 시로 쓴 편지이다. 그런데 시로 보기에도 짧지만 편지로 보기에는 더더욱 짧다. 그러나 글이 짧아도 엽서에 적을 내용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리하여 제목이 “초겨울 엽서”가 아니라 “초겨울 편지”가 되었을 것이다. 또 편지도 그냥 편지가 아니라 일종의 연애편지이므로, 연애편지 치고는 확실히 “짧은 편지”라고 할 수 있겠다. 역자는 “짧은 편지”라고 하면 언제나 떠오르는 사춘기 시절의 추억이 하나 있다. 정확하게는 역자가 기억하고 있는 한 고향 친구의 에피소드이다. 머리도 좋고 공부도 잘했지만 어려서부터 유난히 장난기가 심했던 그 친구가, 같은 중학교 같은 학년이었지만
讚先笑先生(찬선소선생)姜聲尉(강성위)皆謂笑招福(개위소초복)世稀多笑人(세희다소인)對人吾先笑(대인오선소)誰向吾人顰(수향오인빈) 【自注(자주)】先笑金周植先生之雅號也先生曾學於高大久務於大宇亦專於事業今卽保家奉母伴鶴自適(선소금주식선생지아호야선생증학어고대구무어대우역전어사업금즉보가봉모반학자적) [주석]* 讚(찬) : ~를 기리다. 타인을 위하여 지어주는 시문에 많이 사용되는 말이다. / 先笑先生(선소선생) : 선소 선생님.皆謂(개위) : 모두가 ~라고 하다. / 笑招福(소초복) : 웃음이 복을 부르다.世稀(세희) : 세상에는 ~이 드물다. / 多笑人(다소인) : 많이 웃는 사람.對人(대인) : 남을 대하다, 남을 만나다. / 吾先笑(오선소) : 내가 먼저 웃다.誰(수) : 누가. / 向吾人(향오인) : 나를 향하여, 나에게. ‘吾人’은 ‘나’라는 뜻이다. / 顰(빈) : 얼굴을 찡그리다, 이맛살을 찌푸리다. * 自注(자주) : 자기 작품에 자기가 주석을 붙인 것. / 先笑金周植先生之雅號也(선소김주식선생지아호야) : 선소는 김주식 선생의 아호이다. / 曾學於高大(증학어고대) : 일찍이 고려대에서 공부를 하다. / 久務於大宇(구무어대우) : 오래도록 대우에서 근무하다. / 亦專於事業(역전어사업) : 또한 사업에 전념하다. / 今卽(금즉) : 지금인 즉, 지금은. / 保家(보가) : 가족을 보전하다, 가족을 거느리다. / 奉母(봉모) : 모친을 봉양하다. / 伴鶴(반학) : 학과 짝하다. 은자처럼 지낸다는 말이다. / 自適(자적) : 유유자적이다. [번역]선소 선생을 기리며 다들 웃음이 복 부른다 하면서도세상에는 많이 웃는 사람 드물지남을 대하여 내가 먼저 웃는다면누가 나를 향해 얼굴을 찡그리랴 【자주
늦가을 고증식 된서리 때려야 얼음골사과제 맛이 돌듯 폭풍우 건너야마침내 단풍잎 불붙듯 울음 없이타오른 사랑이 사랑이랴 [태헌의 한역]晩秋(만추) 嚴霜飛墮(엄상비타)蘋果味鮮(빈과미선)經風歷雨(경풍력우)楓葉欲燃(풍엽욕연)無啼有熱(무제유열)愛戀何全(애련하전) [주석]* 晩秋(만추) : 늦가을.嚴霜(엄상) : 된서리. / 飛墮(비타) : 날아 떨어지다. “때려야”를 문맥에 맞게 한역한 표현이다.蘋果(빈과) : 사과. ※ 원시의 ‘얼음골’은 시화(詩化)시키지 못하였다. 얼음골은 밀양 얼음골을 가리킨다. / 味鮮(미선) : 맛이 좋다. 원시의 “제 맛이 돌듯”을 간략히 한역한 표현이다.經風歷雨(경풍력우) : 바람을 겪고 비를 겪다, 풍우를 겪다. ※ 이 구절은 원시의 “폭풍우 건너야”를 다소 의역한 표현이다.楓葉(풍엽) : 단풍잎. / 欲燃(욕연) : 불이 붙으려고 하다.無啼(무제) : 울음이 없다. / 有熱(유열) : 뜨거움이 있다. 역자가 “타오른 사랑”의 ‘타오른’을 다소 의역한 표현이다.愛戀(애련) : 사랑. / 何全(하전) : 어찌 온전하랴!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역자가 “사랑이 / 사랑이랴”를 다소 의역한 표현이다. [한역의 직역]늦가을 된서리 날아 떨어져야사과 맛이 좋아지고바람 겪고 비 겪어야단풍잎 불붙으려 하듯울음 없이 뜨거움만 있다면사랑이 어찌 온전하랴! [한역노트]이 시의 소개가 살짝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역자와 비슷하게 지금을 아직도 늦가을로 여기는 사람이 많겠지만, 초겨울로 간주하는 사람 역시 적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가을과 겨울이 갈마드는 이런 환절기가 되면 우리의 신체뿐만 아니
<사진 제공 : 송태영님>낙엽 공재동 가을나무들엽서를 쓴다 나뭇가지하늘에 푹 담갔다가파란 물감을찍어 내어 나무들우수수엽서를 날린다 아무도 없는빈 뜨락에 나무들이보내는가을의 엽서 [태헌의 한역]落葉(낙엽) 秋日樹木修葉書(추일수목수엽서)深浸樹枝天空中(심침수지천공중)靑墨點來錄居諸(청묵점래록거저) 樹木淅瀝飛葉書(수목석력비엽서)無人蕭條空庭上(무인소조공정상)見送秋日葉書儲(견송추일엽서저) [주석]* 落葉(낙엽) : 낙엽.秋日(추일) : 가을, 가을날. / 樹木(수목) : 나무, 나무들. / 修葉書(수엽서) : 엽서를 쓰다. ‘修’는 편지를 쓴다는 의미이다. ‘葉書’는 잎사귀에 쓴 글이라는 뜻으로 전통 시기에는 주로 불경(佛經)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는데, 근·현대에는 전하는 내용과 보내는 이·받는 이의 주소를 적을 수 있도록 만든 한 장으로 된 우편물을 주로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深浸(심침) : ~을 깊이 담그다, ~을 푹 담그다. / 樹枝(수지) : 나뭇가지. / 天空中(천공중) : 하늘 가운데에, 하늘에.靑墨(청묵) : 파란 먹물. 역자가 파란 물감이라는 뜻으로 사용한 말이다. / 點來(점래) : (물감 따위를) 찍어오다. / 錄居諸(녹거저) : 세월을 기록하다. ‘居諸’는 해와 달, 또는 시간이나 세월을 가리킨다. 이 대목은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淅瀝(석력) : 눈·비·바람·낙엽 등의 소리. 쏴아, 우수수. / 飛葉書(비엽서) : 엽서를 날리다, 엽서를 보내다.無人(무인) : 사람이 없다. / 蕭條(소조) : 쓸쓸하다. / 空庭上(공정상) : 빈
단풍 이상국 나무는 할 말이 많은 것이다그래서 잎잎이 마음을 담아내는 것이다 봄에 겨우 만났는데가을에 헤어져야 하다니슬픔으로 몸이 뜨거운 것이다 그래서 물감 같은 눈물을 뚝뚝 흘리며계곡에 몸을 던지는 것이다. [태헌의 한역]丹楓(단풍) 樹木多有所欲言(수목다유소욕언)是故葉葉藏心魂(시고엽엽장심혼)春日?逢秋日別(춘일재봉추일별)傷悲滿滿身自熱(상비만만신자열)恰如顔料淚滴瀝(흡여안료루적력)今向溪谷身自擲(금향계곡신자척) [주석]* 丹楓(단풍) : 단풍.樹木(수목) : 수목, 나무. / 多有(다유) : ~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이 많이 있다. / 所欲言(소욕언) : 하고 싶은 말.是故(시고) : 이 때문에, 그래서. / 葉葉(엽엽) : 잎마다, 모든 잎. / 藏(장) : ~을 감추다, ~을 간직하다. / 心魂(심혼) : 마음.春日(춘일) : 봄날, 봄. / ?逢(재봉) : 겨우 만나다, 간신히 만나다. / 秋日(추일) : 가을날, 가을. / 別(별) : 헤어지다.傷悲(상비) : 슬픔. / 滿滿(만만) : 가득하다. / 身(신) : 몸. / 自(자) : 저절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熱(열) : 뜨겁다.恰如(흡여) : 마치 ~와 같다. / 顔料(안료) : 물감. / 淚(누) : 눈물. / 滴瀝(적력) : (물방울 등이) 뚝뚝 떨어지다. 또는 그 소리.今(금) : 지금, 이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向溪谷(향계곡) : 계곡을 향하여, 계곡으로, 계곡에. / 自(자) : 스스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擲(척) : ~을 던지다. 이 구절에서 ‘擲’의 목적어는 ‘身’이다. [한역의 직역]단풍 나무는 하고 싶은 말이 많았다그래서 나뭇잎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소치는 아이는 상기 아니 일었느냐재 너머 사래긴 밭을 언제 갈려 하나니 1. 남구만(南九萬) 선생의 한역 : ≪약천집(藥泉集)≫東方明否鸕鴣已鳴(동방명부로고이명)飯牛兒胡爲眠在房(반우아호위면재방)山外有田壟畝闊(산외유전롱무활)今猶不起何時耕(금유불기하시경) [주석]東方(동방) : 동방, 동쪽. / 明否(명부) : 밝았느냐? / 鸕鴣(노고) : 노고지리라는 뜻으로 쓴 한자어인 듯한데 이 말의 출처나 용례(用例)가 확인되지 않는다. 보통 鸕는 가마우지를 가리키고, 鴣는 자고새를 가리킨다. / 已(이) : 이미, 벌써. / 鳴(명) : 울다.飯牛兒(반우아) : 소를 먹이는 아이, 소치는 아이. / 胡爲(호위) : 어째서, 무엇 때문에. / 眠在房(면재방) : 방에서 잠을 자다.山外(산외) : 산 밖, 산 너머. / 有田(유전) : 밭이 있다, 있는 밭. / 壟畝(농무) : 밭이랑. / 闊(활) : 넓다.今(금) : 지금. / 猶不起(유불기) : 아직 일어나지 않다. / 何時(하시) : 어느 때, 언제. / 耕(경) : 밭을 갈다. [한역의 직역]동방이 밝았느냐? 노고지리가 이미 운다소 먹이는 아이는 어찌 방에서 잠만 자냐?산 너머에 있는 밭은 이랑이 넓고 넓은데지금도 아직 일어나지 않으니 언제 갈꼬? 2. 이형상(李衡祥) 선생의 한역 : ≪병와집(甁窩集)≫東方欲曙未(동방욕서미)鶬庚已先鳴(창경이선명)可憎牧竪輩(가증목수배)尙耽短長更(상탐단장경)上平田畝長(상평전무장)恐未趁日耕(공미진일경) [주석]欲曙未(욕서미) : 밝아지려는가?鶬庚(창경) : 꾀꼬리. 이 한자어가 노고지리라는 의미로 쓰인 예를 역자는 찾지 못하였다. / 已先(이선) : 이미 먼저, 이미 앞서.可憎(가증) : 밉살스럽다, 얄밉다. / 牧竪輩(목수배) : 소를 치
풍경 달다 정호승 운주사 와불님을 뵙고돌아오는 길에그대 가슴의 처마 끝에풍경을 달고 돌아왔다먼데서 바람 불어와풍경소리 들리면보고 싶은 내 마음이찾아간 줄 알아라 [태헌의 한역]掛風磬(괘풍경) 雲住有臥佛(운주유와불)往謁將歸來(왕알장귀래)君胸簷牙端(군흉첨아단)吾掛風磬回(오괘풍경회)風自遠處到(풍자원처도)假使磬聲聞(가사경성문)須知吾心子(수지오심자)懷君自訪君(회군자방군) [주석]* 掛風磬(괘풍경) : 풍경을 달다.雲住(운주) : 운주사(雲住寺). 전남 화순(和順)에 있는 사찰 이름. / 有(유) : ~이 있다. / 臥佛(와불) : 와불. 운주사 경내에 있는, 누워 있는 불상을 가리킨다.往謁(왕알) : 가서 뵙다, 가서 찾아뵙다. / 將(장) : 장차, ~을 하려고 하다. / 歸來(귀래) : 돌아오다.君胸(군흉) : 그대 가슴, 그대 마음. / 簷牙端(첨아단) : 처마 끝.吾(오) : 나.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서 생략된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回(회) : 돌아오다.風(풍) : 바람. / 自遠處(자원처) : 먼 곳으로부터. / 到(도) : 이르다, 도착하다. ※ 이 한역시 구절을 직역하면 ‘바람이 먼 곳으로부터 <불어>오다’가 된다.假使(가사) : 만약. / 磬聲(경성) : 풍경소리. ‘風磬聲(풍경성)’을 줄인 말이다. / 聞(문) : 듣다, 들리다.須知(수지) : 마땅히 알아야 한다. 원시의 “알아라”를 한역한 표현이다. / 心子(심자) : 내심, 마음. 아래 구에서 이어지는 내용을 고려하여 역자가 선택한 한역어(漢譯語)이다.懷君(회군) : 그대를 그리워하다. / 自(자) : 스스로, 저절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訪君(방군) : 그대를 방문하다. ※ 이 구절은 &ldquo
풀꽃 나태주 자세히 보아야예쁘다오래 보아야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태헌의 한역]草花(초화) 細觀卽娟(세관즉연)久觀應憐(구관응련)爾汝亦然(이여역연) [주석]*草花(초화) : 풀꽃.細觀(세관) : 자세히 보다. / 卽(즉) : 즉, ~하면. / 娟(연) : 예쁘다.久觀(구관) : 오래 보다. / 應(응) : 응당. / 憐(연) : 어여삐 여기다, 사랑하다, 사랑스럽다.爾汝(이여) : 너, 그대. / 亦(역) : 또, 또한. / 然(연) : 그러하다, 그렇다. [한역의 직역]풀꽃 자세히 보면 예쁘다오래 보면 사랑스럽다너 또한 그렇다 [한역 노트]이 시는 어쩌면 나태주 시인의 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지고 가장 사랑받는 시가 아닐까 싶다. 시인의 공로를 기리기 위하여 시인의 고향인 공주에 설립한 문학관 이름이 “풀꽃”이고, 시인을 “풀꽃” 시인으로 칭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보면, 이 시를 시인의 출세작(出世作)으로 보아도 무방할 듯하다. “풀꽃”을 소재로 한 이 시가 대상을 ‘보는 법’에 대하여 얘기한 것이기 때문에, 역자는 최근에 접한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라는 책에서 다룬 소로(H. D. Thoreau)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미국의 사상가이자 문학가인 소로는 기존의 이념을 초월하여 ‘보는 법’을 강조했는데 인식의 실재보다 자연의 실재에 더 큰 관심을 가졌고, 지식보다는 ‘보는 힘’을 중시하였다. 소로가 새롭게 보는 법으로 제시한 것이 마음의 렌즈를 닦고 스캔하듯이 지혜를 보는 것이라면, 나태주 시인이 제시한 보는 법은 돋보기를 대고 가만히 응시하듯 지혜를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세히, 그리고 오랫동안 보면 세상에 아름답지 않은 것
가을 강준모 형제들이 소리를 모아엄니 보청기 하나 해드렸다놀이터 낙엽지는 소리도 듣고창가에 달빛 돋는 소리도 담고돌아온 소리는 반가운데덩달아 엄니 잔소리도 돌아오고아버지 욱하는 소리도 따라왔다돌아온 소리에 소음도 따라와엄니 하는 말이내 안에는 귀뚜라미 한 마리사는구나 하신다 [태헌의 한역]秋(추) 母親耳中補聽器(모친이중보청기)子女集音待秋呈(자녀집음대추정)可聞戱場落葉響(가문희장락엽향)又得窓邊月光聲(우득창변월광성)回來聲音固愉悅(회래성음고유열)母誹父嗔亦現形(모비부진역현형)聲音來時帶騷音(성음래시대소음)母云吾內蟋蟀生(모운오내실솔생) [주석]* 秋(추) : 가을.母親(모친) : 모친, 어머니. / 耳中(이중) : 귓속. / 補聽器(보청기) : 보청기. 오늘날 중국인들은 조청기(助聽器)라는 표현을 쓴다.子女(자녀) : 자녀, 자식들. / 集音(집음) : 소리를 모으다. / 待秋(대추) : 가을을 기다리다.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呈(정) : 드리다, 바치다.可聞(가문) : ~을 들을 수 있다. / 戱場(희장) : 노는 마당, 놀이터. / 落葉響(낙엽향) : 낙엽 소리, 나뭇잎이 떨어지는 소리.又(우) : 또, 또한. / 得(득) : ~을 얻다, ~을 얻을 수 있다. / 窓邊(창변) : 창가. / 月光聲(월광성) : 달빛 소리. 원시의 “달빛 돋는 소리”를 간략히 표현한 말이다.回來(회래) : 돌아오다. / 聲音(성음) : 소리. / 固(고) : 진실로, 정말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愉悅(유열) : 유쾌하고 기쁘다, 반갑다.母誹(모비) : 어머니가 잔소리하다, 어머니의 잔소리. 父嗔(부진) : 아버지가 성을 내다, 아버지의 역정(逆
가을 소리 미상 한여름 물어물어찾아간 너의 집 앞수줍은 코스모스어설픈 허수아비네 얼굴보이지 않고가을 소리 들리네 [태헌의 한역]秋響(추향) 盛夏問而問(성하문이문)君家吾尋訪(군가오심방)秋英含羞立(추영함수립)草人頗醜狀(초인파추상)四顧君不見(사고군불견)但只聞秋響(단지문추향) [주석]* 秋響(추향) : 가을 소리.盛夏(성하) : 한여름. / 問而問(문이문) : 묻고 또 묻다.君家(군가) : 그대의 집. / 吾(오) : 나. / 尋訪(심방) : 찾아가다, 방문하다.秋英(추영) : 가을꽃, 코스모스. / 含羞(함수) : 부끄러움을 머금다, 부끄럽게. / 立(입) : 서다.草人(초인) : 허수아비. / 頗(파) : 자못, 퍽.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醜狀(추상) : 못난 모습, 어설픈 모습.四顧(사고) : 사방을 돌아보다.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君不見(군불견) : 그대가 보이지 않다. 원시의 “네 얼굴 / 보이지 않고”를 간략히 표현한 말이다.但只(단지) : 단지, 다만.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聞(문) : ~을 듣다, ~이 들리다. [한역의 직역]가을 소리 한여름부터 묻고 물어그대의 집 내가 찾았더니코스모스 수줍게 섰는데허수아비는 퍽 어설픈 모습사방 돌아봐도 그대 보이지 않고그저 가을 소리만 들리네 [한역 노트]역자는 이 시를 소개하기에 앞서 적지 않은 고민을 해야 했다. 작자가 확인되지 않아 게재 허락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익명의 읽을 꺼리를 한역(漢譯)하여 소개하는 것이 과연 합당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역자는 이 코너의 열렬한 독자인
애평선 양광모 땅과 하늘이 만나지평선을 만들고 물과 하늘이 만나수평선을 만들고 나의 그리움과 너의 그리움이 만나애평선을 만든다 흐린 날,더 멀리 보인다 [태헌의 한역]愛平線(애평선) 地天逢作地平線(지천봉작지평선)水天逢作水平線(수천봉작수평선)爾我思作愛平線(이아사작애평선)陰日遠處分明見(음일원처분명견) [주석]* 愛平線(애평선) : 애평선. 시인의 자가어(自家語:자기 스스로가 만든 말)를 한자어로 적은 것이다.地天(지천) : 땅과 하늘. / 逢(봉) : 만나다. / 作(작) : ~을 만들다. / 地平線(지평선) : 지평선.水天(수천) : <바닷>물과 하늘. / 水平線(수평선) : 수평선.爾我思(이아사) : 역자가 ‘爾我之思(이아지사)’, 곧 ‘너와 나의 그리움’이라는 뜻으로 사용한 말이다.陰日(음일) : 흐린 날. / 遠處(원처) : 먼 곳. / 分明(분명) : 또렷하다, 또렷하게. / 見(견) : ~이 보이다. ※ 이 구절의 “遠處” 이하는 원시의 “더 멀리 보인다”를 살짝 고쳐 한문식으로 옮겨본 것이다. [한역의 직역]애평선 땅과 하늘이 만나 지평선을 만들고물과 하늘이 만나 수평선을 만들고너와 나의 그리움이 애평선을 만든다흐린 날에 먼 곳이 또렷하게 보인다 [한역 노트]누구나 그렇겠지만, 어린 시절에 말은 알아도 뜻은 몰랐던 단어가 제법 있었을 것이다. 역자의 경우는 어른들이 이따금 사용하던 욕설이나 어른들이 부르던 노래에 특히 이런 말들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모르는 게 워낙 많아 별로 궁금하지도 않았지만, 어쩌다 무엇인가를 물어보면 혼나기 일쑤였던 터라, 뜻도 모른 채 익혀 따라 쓰고 따라 부르고는 했던 기억이 새삼스럽기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