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9) 총무와 하인리히법칙 예측할 수 없는 재앙은 없다


총무와 하인리히 법칙 : 예측할 수없는 재앙은 없다


1920년대 미국 한 여행보험 회사의 관리자였던 허버트 W. 하인리히는 7만 5000건의 산업재해를 분석한 결과 아주 흥미로운 법칙 하나를 발견했다. 그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1931년 “산업재해 예방‘이라는 책을 발간하면서 산업 안전에 대한 1:29:300 법칙을 주장했다. 이 법칙은 산업 재해 중에서도 큰 재해가 발생했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29번의 작은 재해가 발생했고, 또 운 좋게 재난은 피했지만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 뻔한 사건이 300번 있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확률로 환산하면,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고의 발생 확률은 90.9%, 경미한 재해의 발생 확률은 8.8%, 큰 재해의 발생 확률은 0.3%라는 것이다. 하인리히 법칙은 어떤 상황에서든 문제되는 현상이나 오류를 초기에 신속히 발견해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큰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김민주의 경제법칙 101 중에서)


크든 작든 늘 회원들 간의 작용과 반작용이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그 관계가 언제나 순탄치만은 않다. 그리고 어느 날 갑자기 뭔가가 ‘뻥~’하고 터진다. 작게는 사소한 말다툼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고, 몇 몇 회원이 탈퇴하는 경우도 있고, 심하면 모임 자체가 깨져버리기도 한다. 이런 사태로까지 번지지 않게 하려면 총무는 늘 노심초사하면서 모임을 애지중지해가며 돌봐야 한다. 어떤 모임이든 나쁜 사람은 싫어한다. 그래서 나쁜 사람끼리 모여있는 모임은 없다. 모두 다 좋은 사람이다. 그런데도 알력과 파벌이 생기게 마련이다. 서로 마음이 잘 맞는 사람은 더 자주 대화하고 그러다 보면, 자기들이 속한 모임의 발전 방향을 같이 고민하는 일이 잦아진다. 그러다 보면 수 많은 모임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그 모임이 개인들에게 갖는 의미가 남달라진다. 그리고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을 모색한다. 그런데 목적은 같지만 어떻게 좋아질 것인가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으로 들어가면 또 중구난방이 된다. 그럼 갈등이 시작된다. 갈등의 원인은 이런 것 말고도 다양하다.


이런 갈등은 늘 총무가 미세조정을 해가야 한다. 차이를 완전히 없애려고 할 필요는 없다. 그럴 수도 없는 게 사람의 생각이다. 뱀 10마리는 한 방향으로 몰고 갈 수있지만, 사람 생각은 열 명도 같이 몰고 갈 수 없다고 한다. 총무는 모임의 방향에서 회원들이 회장을 너무 앞서가거나 뒤처지게 하지도 말고 적당히, 더나가 열성적으로 같이 나가겠다고 하게 하면 최고다. 웬만한 총무의 능력과 성격과 재능을 타고 나지 않고는 그러기는 정말 어렵다. 하지만 모임이 깨지지 않고 그런대로라도 잘 굴러가게 할 수는 있다. 어쩌면 그게 더 우선일 수 있다. 세상의 많은 모임이 있지만 몇 년이라도 유지되는 경우가 그리 흔치 않다. 조직의 목적은 발전보다 존속이 더 먼저이다. 모임의 목적도 그렇다. 일단 생겼으면 얼마나 오랫동안 존재하는 가가 최상의 목적이다. 오래하다 보면 발전도 있다. 깨지면 퇴보뿐이지만, 존재하면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발전이 회장의 존재이유라면, 존속이 총무의 존재이유라고 볼 수있다. 왜냐하면 회장은 앞을 보고 이끄는 존재이지만, 총무는 옆과 뒤를 보며 모임의 결속을 다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총무가 회원들간의 작은 갈등이 큰 갈등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다 보면, 회원 간의 사이는 크게 벌어지지 않는다. 의견의 차이가 있을 지언정 서로 완전히 다른 생각은 아니며 세월이 가다보면 언젠가 좁혀질 수 있는 차이라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홍재화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