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장례절차를 지켜보며 적지 않은 문화차이를 느꼈다. 지역과 상황, 가족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병원에서 돌아가신 할아버지는 장례식장이 만 실이라 집으로 모셔왔다. 냉장 시설이 돼있는 관을 처음 본 순간이었다.

냉장시설이 갖춰진 관으로 최근에는 보냉제를 사용해 드라이 아이스를 넣을었을때보다 몸이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한다./RJ통신
이틀 뒤 고별식이 열렸다. 유족들의 인사말이 끝난 뒤 조문객들은 제단에 전시된 꽃을 꺾어 할아버지의 관을 장식하며 작별을 고했다.
우리는 할아버지를 모시고 화장장으로 이동했다. 마지막 가족들만 들어가는 방에 모여 관 뚜껑을 열고 손자들은 할아버지 얼굴에 볼을 비비기도 하고 사진도 찍는 모습들이 참 보기 좋았다.
화장을 마친 할아버지를 모시고 장례식장에 돌아오니 조문객들은 식사를 하며 한줌의 재로 돌아온 할아버지를 맞아 술을 올리고 고인에 대한 추억을 떠올렸다.

장례메이크업 서비스업체에서 인형을 통해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RJ통신
전통을 중시하는 일본에서도 실용성과 IT와 융합되는 장례문화로 조금씩 변화하는 추세다.
“자택공양”은 고인의 유골을 자택에 모시는 것으로 유지와 관리가 힘들며 비싼 무덤보다는 “정든 집에서 잔다.”라는 선전구호로 관람객에게 설명했다.
일본인들은 자기 묘를 미리 사놓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통 50만 엔부터 시작한다.
업체 관계자에게 일본에 이런 전통이 있냐는 질문에 “약 10여 년 전부터 시작됐으며 이제부터 우리가 더욱 확장시키겠다”고 한다. 유골을 여러 곳에 분산해서 안치하는 경우도 있기에 가능한 문화다.
자택공양의 장점은 “고인을 항상 가까이서 느낄 수 있으며 정든 장소에서의 안정감, 추석이나 한식 때 따로 시간을 내지 않아도 되는 점과 비용절감이다.

자택공양용 제품. 아래 함속에 유골이 들어가고 단 위에는 고인의 사진 등을 놓을 수 있다./RJ통신

목거리 뒤쪽에 작은 공간이 있어 고인의 유골을 넣고 잠글수 있도록 설계됐다./RJ통신
고무나무에서 생산하는 유상의 수액으로 만든 거대한 풍선(지름 2~3m)에 유골을 넣어 헬륨을 주입해 하늘로 띄우면 약2시간 후 고도 30~35Km(성층권)부근에서 기압의 팽창으로 우주에 뿌려지는 형식이다. 이는 길게는 약 240년 동안 우주궤도를 돈다고 한다. 비용은 기본 24만 엔이며 부부나 형제가 동시에 치를 경우 12만 엔이 추가되며 애완동물은 18만 엔이다.

우주 장에 쓰이는 천연고무로 제작된 풍선/RJ통신
장례산업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가족구성원이 된 반려동물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시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전시회 참가부스가운데 유일한 외국기업인 ㈜융합기술의 정연식대표는 스마트 봉인함을 선보였다. 납골당 안이 보이는 투명 화면에 고인의 사진 및 동영상 시연이 가능한 제품으로 디지털과 융화를 시도하는 일본의 장례문화변화 덕분에 업체들이 문의가 늘고 있다고 한다.

유일하게 해외업체로 참가한 (주)융합기술의 스마트 봉인함/RJ통신

쓰레기 쌓인 방안에서 발견 된 고독사 현장과 화장실에서 사망한 현장/RJ통신

고독사로 사망한 뒤 수일 후 발견된 현장의 미니어쳐/RJ통신
RJ통신/ kimjeonguk.kr@gmail.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