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은 하나고 귀는 두 개다. 누구는 하나를 말하면 둘을 들으라는 조물주의 뜻이라 한다. 인간은 조물주 뜻대로 살지 않는다. 입은 수시로 열지만 귀는 듣고 싶은 순간만 연다. 쓴 말에는 닫고, 단 말에는 연다. ‘믿음직한 말은 꾸미지 않고 꾸미는 말은 믿음직하지 않다.(信言不美 美言不信)’ 노자 《도덕경》 마지막 장에 나오는 말이다. 귀는 신언(信言)보다 미언(美言)에 솔깃해 한다. 입이 단것은 삼키고 쓴것은 뱉는 것과 같은 이치다.

흔히 중국의 시(詩)는 당나라에서 몇 발짝도 내딛지 못했다고 한다. 한자 시어가 당나라 시대에 그만큼 꽃을 피웠다는 얘기다.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시성(詩聖)’으로 불리는 두보, 시선(詩仙)으로 추앙받는 이백은 당나라 문학을 만개시킨 주인공이다. 이백(701~762)이 두보(712~770)보다 10년 정도 앞서 태어났다. ‘이태백이 놀던 달아~’ 때의 태백(太白)은 이백의 자다.

이백이 벗 왕십이에게서 ‘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추운 밤에 홀로 술잔을 기울이다 회포를 읊다)’라는 시 한 수를 받고 답신을 보냈다. 그는 장편의 답시에서 무인을 숭상하고 문인은 경시하는 당시 당나라 세태를 열거했다. 투계(鬪鷄)나 즐기는 자가 천자의 총애를 받고 변방에서 작은 공을 세운 자가 충신이나 된 듯 으스대며 다닌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자신과 같은 문인은 시부(詩賦)나 지으며 세월을 보낼 뿐 아무리 글이 뛰어나도 세상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한탄했다.

그의 마지막 시 구절은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세상을 향한 울분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세상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머리를 내저으니(世人聞此皆掉頭),
마치 봄바람이 말 귀를 스쳐가는 것과 같네(有如東風射馬耳)
이백은 자신의 글을 제대로 평가해주지 않는 세태를 ‘봄바람이 말 귀를 스치는 것(馬耳東風)’으로 표현했다. 시인다운 묘사다. 하지만 현재의 처지가 이렇더라도 억지로 부귀영화를 바라지는 말자고 스스로를 다잡으며 시를 맺는다. ‘쇠귀에 경 읽기’ 우이독경(牛耳讀經), ‘소 앞에서 거문고 타기’ 대우탄금(對牛彈琴)도 뜻이 같다.
[바람난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작게 말해도 크게 들어라
사람의 인품은 입보다 귀에서 나온다. 무엇을 말하느냐보다 어떻게 듣느냐가 그 사람이 누군지를 더 잘 보여준다. 귀를 열어라. 작게 말해도 크게 들어라.
신동열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