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누구도 모른다. 어쩌면 그건 삶이 주는 선물이다. 희망과 기대를 품고 살라는 조물주의 뜻이다. 독심(讀心)은 능력이 아니라 재앙이다. 생각해봐라. 당신이 남의 마음을 온전히 들여다본다면 누구와 마주할 수 있겠는가. 또 누가 당신과 마주하려 하겠는가. 길의 끝을 미리 안다면 그 발길에 무슨 설렘이 있겠는가. 길은 그 끝을 모르기에 걷는 묘미가 있다. 화(禍)가 복(福)이 되고, 복이 화가 되는 게  세상 이치다.

중국 국경 지역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노인이 기르던 말이 국경을 넘어 오랑캐 땅으로 도망쳤다. “이를 어찌합니까.” 동네 사람들이 노인을 위로했다. 한데 노인은 의외로 태연했다.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압니까.”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도망친 말이 오랑캐의 준마를 데리고 돌아왔다. “참으로 어르신께서 말씀하신 그대로 입니다.” 이웃들의 축하에도 노인은 여전히 기쁜 내색을 하지 않았다. “이게 화가 될지 누가 압니까.”

그로부터 며칠 후, 노인의 아들은 그 말을 타다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걱정스런 표정으로 노인을 위로했다. 한데 노인은 이번에도 무표정이었다. “이게 복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오.” 아들이 다리가 부러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북방 오랑캐가 침략했다. 나라에서는 징집령을 내려 젊은이들을 모두 싸움터로 내몰았다. 하지만 다리가 부러진 노인의 아들은 전장에 불려가지 않았다. 중국 전한의 회남왕 유안이 쓴 ≪회남자≫에 나오는 얘기다.

인간만사 새옹지마(塞翁之馬)다. 변방 노인(塞翁)의 말(馬)은 인간의 길흉화복이다. 오늘의 길(吉)이 내일은 흉(凶)이 되고, 오늘의 화가 내일은 복이 되는 게 인생이다. 알 수 없는 게 내일이고, 알 수 없는 게 인생이다. 삶은 단색이 아니다. 길도 아니고 흉도 아닌 길흉이고, 복도 아니고 화도 아닌 화복이다. 복 속에 화가 있고, 화 속에 복이 있다. 그러니 세상의 길흉화복은 누구도 예단하지 못한다. 위기(危機)는 위태로움(危)과 기회(機)가 붙어 있다. 위태로움을 뒤집으면 기회가 보이고, 기회에서 방심하면 위태로워진다. 그러니 위태로움에 처하면 기회를 보고, 잘 나가면 내려올 때를 경계해야 한다.

길의 이치는 분명하다.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고,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이 있다.  햇볕이 강하면 그늘이 짙고,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있다. 눈앞의 결과로 일희일비하지 마라. 복이 화가 되고, 화가 복이 되는 세상의 변화는 끝이 없다. 그 깊이 또한 헤아리기 어렵다. 두려움에 지지 마라. 두려움은 눈치가 빠르다. 당신이 겁쟁이라는 사실을 알아채면 수시로 겁을 준다. 작은 성공에 들뜨지 마라. 작은 것에 취하면 큰것을 못본다. 겁먹지 말고 자만하지도 마라. 내일은 정말 누구도 모른다.

신동열 한경닷컴 칼럼니스트/작가/시인
[바람난 고사성어] 새옹지마(塞翁之馬)-내일은 누구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