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쯤 KBS 아침마당 목요특강에 ‘역전한 인생의 5가지 비결’이라는 주제로 생방송을 한 기억이 있다. 1시간을 혼자 강연을 해야 하니, 당연히 전문(?) 방청객이 필자 앞에 자리를 잡고 앉아 적절한 타이밍에 박수도 치고, 깔깔깔 웃어도 주고, 가끔은 놀라는 감탄사를 연발하니 떨지 않고 신나게 강연을 마칠 수 있었다. 물론 이분들은 숙달된 전문 방청객들이라서 언제 웃고, 언제 박수를 치고, 언제 감탄사를 쏟아내야 하는지를 잘 아는 분들이다. 약방에 감초 같은 역할을 하는 방청객이 없었다면 자칫 밋밋한 분위기가 될 뻔했는데, 이 분들의 뜨거운 피드백(feedback) 또는 리액션(reaction) 반응이 생방송의 긴장감을 풀어주고 강의하는 사람의 기를 살려주었다.
이렇게 피드백이나 리액션은 비단 방송에서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더 나아가 직장생활의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로 얘기를 나눌 때도 상대방의 얘기에 ‘그래요! 멋져요! 그렇구나!’ 등 긍정적인 반응은 상대방을 기분 좋게 해준다. 요즘 스마트폰이 항상 손에서 떠나지 않다보니 얘기를 하면서도 스마트폰을 보고, 밥을 먹으면서도 화면에서 시선을 떼지 못하고, 걸으면서도 스마트폰 좀비가 되는 형편이고 보면, 옆에 있는 사람과도 말을 하는 게 아니라 카톡이나 메시지로 소통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치부한다.
피드백이나 리액션은 긍정적인 행동과 부정적인 행동으로 나눌 수 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책의 영향인지 대부분 칭찬과 같은 긍정적 행동은 쉽게 한다. 긍정적 행동은 특별한 화술이나 꾸밈없이 어떤 방식으로 하더라도 듣는 사람이 쉽게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칭찬과 같은 긍정적 행
ありえないありえる
아리에나이 아리에루
있을 수 없어 있을 수 있어
山本 : “ありえない”を使って、何か文章作ってみて。
야마모토 아리에나이오츠캇떼 나니까분쇼-츠쿳떼미테
中村 : “ありえないを使った文章なんてありえない”
나카무라 아리에나이오 츠캇따분쇼-난떼아리에나이
山本 : もう~ちゃんと考えてよ~。そんな例文ありえないじゃん。
야마모토 모- 챤또캉가에테요 손나레-분아리에나이쟝
中村 : ありえるだろ~。“頼んでおいて、そんな言い方ありえない”
나카무라 아리에루다로 타논데오이테 손나이–카타 아리에나이
“その偉そうな態度ありえない”
소노에라소-나타이도아리에나이
“そもそも俺に頼むなんてありえない”
소모소모 오레니 타노무난떼아리에나이
야마모토 : “있을 수 없어”를 이용해서 뭔가 문장을 만들어 봐.
나카무라 : “‘있을 수 없어’를 사용한 문장이라니 있을 수 없어”
야마모토 : 뭐야~ 제대로 생각해봐~ 그런 예문 있을 수 없잖아.
나카무라 : 있을 수 있지~ “부탁해놓고, 그런 말투는 있을 수 없어”
“그 거만한 태도 있을 수 없어”
“애당초부터 나한테 부탁한다는 건 있을 수 없어”
ありえない : 있을 수 없다
言(い)い方(かた) : 말씨, 말투, 표현
偉(えら)そうだ : 거만하다
そもそも : 애당초, 처음부터
예전에 한 부부가 나를 찾아와서 아내분만 골프를 가르쳐 주고 싶다고 했다.
그래서 남편분께 함께 배우면 좋을텐데 왜 아내분만 배우게 하려는 거냐고 물으니 자신은 왼발이 불편해서 안된다고 하는 것이었다.
정말 왼발이 많이 불편하긴 하셨다.
그리고 자기 친구도 레슨을 하는데 본인한테 "너는 발이 불편해서 골프는 안된다.고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직접 왼발에 체중을 싣지 않고 스윙을 해보이면서 이렇게 쳐도 골프는 되는 것이라고 했다.
골프란 골프클럽을 휘둘러서 공을 보내는 운동인데 자신의 체형과 신체적인 조건에 맞춰서 하면 되는 것이지 꼭 프로들이 하는 스윙을 해야만 골프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렇게해서 그 두 분은 골프에 입문을 하게 되었고 2년내에 90대 스코어를 치면서 지금도 재미있게 부부가 라운드를 즐기고 있다.
가끔 길에서 만나면 그때 골프에 입문하게 해줘서 너무나 고맙다며 인사를 건내주신다.
요즘 골프를 가르치는 젊은 코치들 중에는 자신만이 할 수 있는 기술들을 대중들에게 똑같이 가르치는 경우들이 있다.
그 대상들이 코치와 같은 신체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런 스윙을 따라서 하기란 무리가 될 것이다.
그러다보면 골프가 어려워지고 흥미를 잃게 되기 마련이다.
더구나 각종 언론매체에서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오는 골프에 대한 많은 정보들 때문에 골퍼들은 많이 혼란스러워 하기도 한다.
자신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는 골프스윙을 익히는 것이 제일 좋은 스윙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골프스윙의 원리에서 벗어나자 않도록 원리는 충분히 숙지를 하고 그 안에서 허락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화를 가져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