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이 걷는 이유와 우리의 선조들, 불과 50~60여 년 전의 세대들이 걷던 이유는 다르다. 이전에는 생존하기 위하여 걸었지만, 이제는 건강하게 살기 위하여 걷는다. ‘걷기의 종말’이 오기 직전에 인간이 걸어야 할 세 가지 이유와 맞닥뜨렸다.
1 본원적 기능 – 종말
나는 걷기의 기능을 둘로 나누었다. 본원적 기능과 파생적 기능. 본원적 기능은 말 그대로 걷기의 근원적 이유, 인간이 태곳적부터 걸었던 이유는 생존하기 위하여서이다. 달리 이곳에서 저곳으로 갈만한 수단이라고는 절대 다수의 사람에게는 두 다리가 유일했다. 맹수로부터 도망가기 위해서, 논밭에 농사짓기 위해서, 전쟁하기 위해서, 장사하기 위해서 인간은 걷고 뛰었다. 걷지 않으면 죽음이던 시절에는 잘 뛰고 잘 걷는 것이 생존의 절대적 조건이었다. 이처럼 생존을 위하여 걸을 수밖에 없었을 때는 걸어가는 그 자체에 대한 의식이 끼어들 여지는 거의 없었다.
근세 이전의 문헌에서 걷는다는 행위에 대하여 특별하게 언급되는 것은 ‘사유하기 위한 도구’로서 걷기일 뿐이었다. 이처럼 걷는 것 자체가 주된 행위의 목적이 된 적은 없다. 군인에게는 전쟁하기 위하여 걸었고, 농부는 농토로 가기 위해 걸었고, 장사꾼은 장사하기 위하여 걸었다. 비록 ‘걷기’의 가장 본원적인 행위가 바로 장소이동, 즉 교통기능이기는 했지만, 그 자체가 목적성을 가졌다거나 의미를 부여받지는 못하였다. 그런데 한국이 근대화되고 자동차, 버스, 기차가 대중교통 수단이 되면서 우리는 굳이 잘 뛰거나 잘 걸을 필요가 없어졌다. 걷기란 인간에게 계급이 생긴 이후로 권력이나 재력을 가진 사람이 하는 일은 아니었다. 힘이 있는 자는 서민은 함
양지한 프로의 '양손 핸드포워드(퍼스트)의 의미'
골프의 수많은 기본기를 이야기하지만 어드레스만큼 중요한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어드레스는 스윙의 축이 되며 움직임의 기본 방향성입니다. 올바른 척추 각만큼 중요한 것은 어드레스 시 양손의 위치입니다.
양손의 위치에 따라서 많은 부분들이 달라집니다. 어드레스 시 양손의 위치가 몸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면 생각보다 클럽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그 상태로 스윙을 시작하게 된다면 클럽헤드가 닫힌 상태로 스윙이 유지될 확률은 높아지며 그로 인해 볼의 방향성은 내 생각보다는 왼쪽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양손의 위치가 지나치게 왼쪽 허벅지보다 바깥쪽으로 나가 있다면 클럽헤드는 열려 있는 채로 어드레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슬라이스 성 구질이 생성될 확률도 올라갑니다. 이것의 정확한 이유는 클럽헤드의 넥(neck)부분과 샤프트가 연결되면서 생긴 오프셋(off-set)으로 인해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클럽헤드의 성질을 잘 이용한다면 충분히 좋은 임팩트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골퍼들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어드레스의 상태 그대로 돌아오면서 임팩트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양손의 핸드 포워드(퍼스트)는 오른손의 힌징(hinge) 각도를 미리 잡아 주며 아이언의 경우 다운블로의 임팩트를 가능하게 하는 제1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핸드 포워드는 양손이 왼쪽 허벅지 안쪽까지를 최대점으로 기준을 잡고 본인의 스윙을 점검하면 좋습니다. 물론 백스윙의 정상적인 회전과 올바른 스윙 궤도가 병행돼야 핸드퍼스트를 잘한 어드레스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골프 스윙에 있어 손목의 역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