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이 시작하는 ‘글로벌시대 구멍가게 경영하기(가제)’ 원고입니다.
앞으로 출간시까지 이 곳에 연재하겠습니다.
생명공학, 축복인가 재앙인가?  (5-1)
(사진 :http://www.councils.org/careers/)



3. 생명공학, 축복인가. 재앙인가?



가. 생명공학 시대의 도래



ADHD라는 병명이 있다. 의학적 설명으로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아동기에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장애로서 지속적인 주의력 산만(Inattention) 및 과다활동(Hyperactivity), 충동성(Impulsivity)을 특징으로 한다’라고 되어있다. 쉽게 우리 말로 하면 덜렁덜렁 대면서 공부못하는 아이들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그런데 막상 병원에 가면 이 증상은 기질적인 것이 아닌 유전적으로 나타나는 뇌신경 계통의 호르몬분비가 약간 비정상인 병으로 진단이 되며, 약물치료를 오랫동안 받아야 한다. 치료약을 먹으면 집중력이 높아지며 행동에 줄어든다. 약간 과장하면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것은 아이의 탓이라기 보다는 정상적인 아이들과는 다른 뇌의 구조나 호르몬의 이상에 있다고 볼 수있다. 한마디로 유전자에 문제가 있다는 말이다.





인간의 대표적인 감정인 사랑을 과학자들은 두뇌의 `화학적 작용’으로 보고 있다. 사랑의 감정을 조절하는 기관은 뇌의 시상, 시상하부, 해마, 뇌하수체로 이뤄진 변연계로 알려져 있다. 일종의 정서적 뇌인 셈. 여기서 사랑의 각 단계마다 도파민, 페닐에틸아민과 옥시토신, 엔도르핀 등의 신경조절 및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이 분비된다는 것이다. 도파민은 상대방에게 호감을 느끼는 시기에 분비된다. 대뇌의 변연계에서 화학적 작용이 시작되면서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만들어진다는 것. 이때는 상대방의 얼굴을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감을 느낀다. 사랑에 빠졌을 때는 역시 신경전달 물질인 페닐에틸아민이 만들어진다. 이것은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천연각성제 구실을 한다. 이때는 이성으로 제어하기 힘든 열정이 분출되고 행복감에 빠진다. 이때쯤 되면 사랑하는 사람을 껴안고 싶은 충돌이 일어나면서 뇌하수체에서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많은 동물실험에서 옥시토신은 짝짓기, 성적흥분, 오르가슴, 둥지 만들기, 출산이나 산란, 젖먹이기 등의 모성행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의 경우도 오르가슴을 느낄 때 옥시토신이 다량 분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 엔도르핀이 분비되는 시기는 안정을 되찾아 서로를 소중히 여기게 된다. 엔도르핀은 일종의 마약과 같은 물질로 통증을 없애주고 즐거움과 기쁨을 안겨주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이다. 사랑의 기쁨이 몸과 마음에 충만한 상태를 경험한다. 문제는 이렇게 좋은 화학 물질이 18-30개월이 지나면 사랑의 화학물질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고 사라지기 때문에, 사랑의 유효기간은 길어야 30개월이라는 슬픈 화학적 사실이다.





많은 생물학자들이 살아있는 유기체를 정보 시스템으로 본다. 도르프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정보를 흡수, 저장하고 그 정보의 결과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며……이 정보를 감지, 분류, 조직하기 위한 특수한 기관을 가진> 생물로 정의한다. 자연을 <힘의 작용에 의한 입자의 운동>으로 보았던 고전적인 뉴튼모델은 자연을 <하나의 시스템안에서 정보의 저장…과 전송>으로 정의하는 새로운 모델로 교체되었다. 이제 과학자들에게 생명이나 자연은 <과정을 기술하고 더 나아가 그 과정이 일어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나 프로그램의 집합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위에서 든 3가지 예는 최근 내가 경험했던 생명에 대한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갖고 있는 놀라운 시각에 대하여 쓴 것이다. 이제 인간의 모든 보여지는 행동, 보이지 않는 소중한 감정, 생각의 흐름이 자연이 내려준 신비로운 힘이 아니라, 물질적으로 해석이 가능한 정보 흐름의 과정이 되어버렸다. 그런데 그 결과는 인간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기업의 이익을 위한 상업의 중요한 수단이 되어가고 있다. 이제 생명을 다루는 모든 학문은 의학, 생물학, 식물학, 수의학 등등을 통털어서 ‘생명공학’이라는 이름아래 통일되고 있다. 생명공학이란 간단히 말하면 ‘생물의 기능을 이용하는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다. 과거에는 전혀 불가능했던 복잡하고 엄청나게 시간이 걸렸던 생명의 비밀을 푸는 데는 끝없이 증명되는 무어의 법칙에 힘입은 정보공학의 발달에 힘입은 바가 크다. 직렬 계산방식의 컴퓨터가 생명공학의 발전에 크게 도움을 주었다면, 이제는 역으로 병렬 방식의 유기체의 정보 처리방식이 정보공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정보공학과 생명공학의 무한한 상호 상승작용은 이제 우리의 모든 생활면에서 영향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