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12월 31일 22시 20분, 탈서울을 위해 버스에 올랐습니다.
100分 후면 2013년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맙니다.

버스 앞쪽 TV화면에선 매년 이 시간대 고정물인 ‘연기대상 시상’ 장면이 흘러 나옵니다.
아쉬움과 설렘이 교차하는 특별한 시간대에 방송사 종무식과도 같은 시상식이
전파를 타고 전국 방방곡곡으로 퍼져 나갑니다.
수상 남발에 지리한 수상소감은 매년 판박이처럼 되풀이 됩니다.
짜증난 시청자들의 ‘전파 낭비’란 질책에도 아랑곳 않을 만큼
공중파들의 배짱은 두둑한가 봅니다.

자정 10초 전, 시끌벅적 왁자지껄한 화면은 카운트다운 모드로 바뀝니다.

“~오, 사, 삼, 이, 일~ Adieu 2013, Welcome 2014”

가고 오는 해의 경계는 무심합니다.
도로의 속도 방지턱과 같은 구분도 없습니다.
버스는 무심한 해의 경계를 넘어 미끄러지듯 내달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바다와 접한 곳 중, 일출 명소로 이런 곳을 꼽습니다.
동해에는 강릉 정동진, 동해 추암, 울산 간절곶
남해에는 남해 금산 보리암, 여수 돌산 향일암
서해에는 당진 왜목마을 등이지요.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갑오년 첫 해오름 기운을 받기 위해 택한 곳은 ‘금산 보리암’입니다.
보리암은, 강화도 보문사, 양양 낙산사 홍련암, 여수 향일암과 함께 천년이 넘은
4대 해수관음사찰 중 한 곳이랍니다.
서울을 출발해 해를 바꿔가며 천리길을 달려 남해 금산 탐방센터 주차장에 닿았습니다.
주차 공간이 협소한지, 해돋이 인파가 엄청 많이 몰린 탓인지
어둠이 가시지 않은 새벽 5시인데도, 차도 사람도 넘쳐 납니다.
산길 역시 이마에 불을 밝힌 산객들로 장사진을 이루고 있습니다.
새해 첫날 꼭두새벽의 대한민국은 이렇듯 信心이 절절합니다.
다행히도 날씨가 푹한데다 맑기까지 해, 오롯한 해돋이가 기대되네요.

완만하던 산길이 조금씩 가팔라지면서 여기저기서 가쁜 숨을 토해 냅니다.
랜턴 불빛에 의지해 된비알을 오르는데 두 개의 바위굴이 어스름 사이로 드러납니다.
‘쌍홍문’입니다. 신라초기, 원효대사가 “두 굴이 마치 쌍무지개 같다”하여 지금껏
‘쌍홍문(雙虹門)’으로 불리어지고 있답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열반의 경지에 이른 원효대사의 눈에는 아름다운 쌍무지개로 보였겠으나
사바의 미혹한 중생 눈에는 뻥뚫린 해골처럼 괴이쩍게만 보입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쌍홍문을 통과해 보리암에 이르니 그야말로 인산인해입니다.
절마당, 난간, 바위벼랑…어디에도 발 디딜 곳은 없습니다.
도저히 비집고 들 틈이 없어 보리암 뒤편 산비탈에 겨우 자릴 잡았습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07시 00분, 어스름이 걷히며 푸른 새벽 기운이 사방으로 번집니다.
제석봉, 일월봉, 화엄봉, 대장봉이 보리암을 호위하듯 기립해 있고
해수관음상에선 상서로운 기운이 느껴집니다.
주변 풍광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기도빨(?)이 좋다는 게 괜한 말은 아닌 듯 싶네요.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07시 37분, 동쪽하늘에 붉은 기운이 뻗치는가 싶더니 구름층을 뚫고
갑오년 첫해가 장엄하게 솟아오르자, 여기저기서 탄성이 터져 나옵니다.
순간, 해오름 모습은 수많은 스마트폰 속으로 저장됩니다.
또한 수많은 이들의 가슴 속에도 깊이 저장되었습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보리암 마당에 우뚝 서있는 해수관음상은 태양의 기운을 흡입하며 다도해를 껴안습니다.
이처럼 유명한 관음사찰들이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소리(音)를 본(觀)다’는
의미의 ‘관음(觀音)’ 즉, 바닷가의 파도소리(海潮音)를 듣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사람이 잠을 자면서도 해조음에 집중하고 있으면 깨달음을 얻는다고도 하지요.
귀로 소리를 들어서 깨달음을 얻어 도를 통하면 곧 해수관음보살인 것입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조선시대를 열기 전, 태조 이성계는 지리산으로, 계룡산으로 들어가
임금이 되길 바라며 치성을 올렸지만 답이 없자, 이곳 보리암을 찾았습니다.
태조는 “이곳에서 내 소원이 이루어진다면 이 산을 비단으로 감싸겠다”고 약속했지요.
그리고선 100일 동안 머물며 정성을 다해 임금이 되길 소원하며 제를 올렸습니다.
그런데 용케도 조선의 임금이 되었습니다. 태조는 난감했습니다.

‘무슨 수로 이 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쌀 것인가’
한번 뱉은 말을 체통 없이 주워 담을 수도 없는 노릇이라 고민에 빠졌습니다.
그때 한 신하가 나서 묘책을 일러 주었습니다.

“어명을 내려 산 이름을 비단 금(錦), 뫼 산(山)자를 써 錦山이라 하십시오.
그러면 훗날 사람들도 실제 비단을 두른 것이나 다름없다 생각할 것입니다.”

이에 태조가 매우 흡족했다는 설이 전해져오고 있는데, 어쩌면
‘눈 가리고 아옹’이란 말도 이때부터 나오지 않았나 싶은 대목입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저마다 무엇을 소원했을까요?
모두들 새해 첫 태양의 기운을 듬뿍 받아서인지 표정들이 환합니다.
다시 금산의 정상으로 향합니다. 정상에서 일출을 본 산객들이 쏟아져 내려 옵니다.
교행이 힘들 정도로 번잡했지만 날이 날인지라 양보와 배려가 돋보이네요.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암봉으로 이루어진 정상에 섰습니다.
그 사이 아침햇살은 산자락을 온통 붉게 물들여 놓았습니다.
금빛 비단을 펼쳐 놓은 것입니다. 제대로 錦山입니다.
정상표시석에 음각된 ‘錦山’의 서체가 금산의 산세만큼이나 매력적입니다.
여느 산 정상석에 무심히 새겨진 명조체나 고딕체가 아닌,
둥글둥글 부드러우면서도 아름다운 ‘소전체’라 느낌이 참 좋습니다.
도장 서체로 널리 활용되고 있어 그리 낯설지 않지요.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세상살이 또한 고딕체나 명조체 처럼 각지고 모나고 정형화되면 무미하지요.
‘소전체’를 닮아 둥글둥글 부드럽고 아름다웠으면 좋겠습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동쪽을 향해 두팔을 벌렸습니다. 다도해가 가슴 가득 들어옵니다.
메워진 가슴을 활짝 열었습니다. 찬공기가 폐부 깊숙이 스밉니다.   하산을 서둘렀습니다. 해돋이를 보기 위해 함께 내려온 일행들과
산 들머리에서 09시에 만나기로 했지요.
정상주를 홀짝거리다 보니 어느새 약속 30분 전입니다.
‘기도빨’ 좋다는 남해 금산 보리암에서...
금산 구석구석을 두루 둘러보지 못해 아쉬움이 많습니다.
시간 여유를 가지고 다시 찾아와 금산을 제대로 품으렵니다.
지금은 당장, 산악마라톤 모드로 전환해 일행들에게 민폐는
끼치지 않도록 하는 게 우선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