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침실로

    –가장 아름답고 오랜 것은 오직 꿈속에만 있어라

                                  이상화




마돈나, 지금은 밤도 모든 목거지에 다니노라, 피곤하여 돌아가련도다.

아, 너도 먼동이 트기 전으로 수밀도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오너라.



마돈나, 오려무나. 네 집에서 눈으로 유전하던 진주는 다 두고 몸만 오너라.

빨리 가자. 우리는 밝음이 오면 어딘지 모르게 숨는 두 별이어라.



마돈나, 구석지고도 어둔 마음의 거리에서 나는 두려워 떨며 기다리노라.

아, 어느덧 첫닭이 울고- 뭇 개가 짖도다. 나의 아씨여, 너도 듣느냐.



마돈나, 지난 밤이 새도록 내 손수 닦아 둔 침실로 가자 침실로!

낡은 달은 빠지려는데 내 귀가 듣는 발자국- 오 너의 것이냐?



마돈나, 짧은 심지를 더우잡고 눈물도 없이 하소연하는 내 마음의 촛불을 봐라.

양털 같은 바람결에도 질식이 되어 얕푸른 연기로 꺼지려는도다.



마돈나, 오너라. 가자. 앞산 그리매가 도깨비처럼 발도 없이 가까이 오도다.

아, 행여나 누가 볼는지- 가슴이 뛰누나.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마돈나, 날이 새련다. 빨리 오려무나. 사원의 쇠북이 우리를 비웃기 전에

네 손이 내 목을 안아라. 우리도 이 밤과 같이 오랜 나라로 가고 말자.



마돈나,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다리 건너 있는 내 침실 열 이도 없느니

아, 바람이 불도다. 그와 같이 가볍게 오려무나. 나의 아씨여, 네가 오느냐?



마돈나, 가엾어라. 나는 미치고 말았는가. 없는 소리를 내 귀가 들음은-

내 몸에 피란 피- 가슴의 샘이 말라 버린 듯 마음과 몸이 타려는도다.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 갈 테면 우리가 가자. 끄을려 가지 말고

너는 내 말을 믿는 마리아- 내 침실이 부활의 동굴임을 네야 알련만…



마돈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엮는 꿈, 사람이 안고 궁구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느니

아, 어린애 가슴처럼 세월 모르는 나의 침실로 가자.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마돈나,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도다.

아, 안개가 사라지기 전으로 네가 와야지.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이상화(1901~1943)의 ‘나의 침실로’는 1923년 9월 동인지 《백조》 3호에 실렸다. ‘마돈나’가 누구인지를 놓고 온갖 말이 나왔다. 가장 흥미를 끈 것은 함흥 출신 여성 유보화(柳寶華)라는 설이다. 팔봉(八峯) 김기진(金基鎭)의 회고에 따르면 이 시는 ‘폐가 나쁜 이북 여성을 사랑했던’ 상화의 아픈 사연에서 나왔다.



이상화는 조혼 풍습에 따라 일찍 중매결혼을 했으나 애정 없는 생활에 회의를 느꼈다. 그러다가 일본 유학 중에 만난 유보화라는 신여성과 사랑에 빠졌다. 1923년 관동대지진 직후 급히 귀국한 그는 서울 가회동 취운정(翠雲亭)에 새살림을 차렸다.

문제는 그녀의 건강이었다. 팔봉의 부인이 “상화 씨의 애인은 참 미인인데 폐가 나쁘대요. 내가 봐도 오래 살지 못하겠던데요”라고 한 걸 보면 병세가 이미 깊었던 모양이다. 1924년엔 더 나빠지더니 결국 ‘짧은 심지’처럼 안타까운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시에 나오는 ‘마돈나, 짧은 심지를 더우잡고 눈물도 없이 하소연하는 내 맘의 촛불을 봐라./ 양털 같은 바람결에도 질식이 되어, 얕푸른 연기로 꺼지려는도다’와 같이 그녀는 꺼져갔다.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 순간처럼.

다른 얘기도 있다. 그가 18세에 이 시를 썼다는 것이다. 18세 때라면 1919년이다. 상화가 일본으로 유학 간 게 1922년이니까 일본에서 유보화를 만나기 전이다. 이 분석에는 또 다른 여인이 등장한다. 상화는 열여덟 살 때 서순애라는 여인과 결혼했는데, 그 무렵 상화에게 또 다른 여인이 있었다. 경남 출신으로 여고를 졸업한 손필련이란 여인이었다. 이 시를 손필련과 한창 연애중일 때 썼다는 얘기다. 그 해에 상화가 결혼한 몸이었기에 그들의 사랑은 세상의 인정을 받을 수 없었고, 그래서 꿈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노래했을 수도 있다.

다른 해석도 많다. 마돈나가 성모 마리아의 상징이라는 얘기다. 대구의 이상화 고택에서 가까운 남산동에 성모당이 있다. ‘나의 침실로’가 바로 이곳 성모당을 배경으로 탄생했다는 것이다. 이 관점에 따르면 시에 나오는 ‘침실’은 정신적 안식을 찾고 활력을 주는 꿈과 부활의 동굴을 의미한다. 성모당의 동굴에서 시의 모티브를 얻었고, ‘마돈나’도 성모당의 마리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란 얘기다.

아무튼 이런 분석의 배경에는 시의 부제로 쓰인 구절이 함께 작용하고 있다. ‘가장 아름답고 오랜 것은 오직 꿈속에만 있어라’가 그것이다. 침실이야말로 그 아름답고 오랜 것을 꿈속에서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자 부활의 공간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침실은 희망을 잉태하는 또 다른 곳이기도 하다.

엊그제 전 타계한 마광수 교수는 이 시를 “애인과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서러워하며 단말마적 정사(情事) 및 정사(情死)의 장소를 찾아 헤매는 시인의 관능적 열정을 노래한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대구 계산동, 달성공원 서남쪽 언덕에 ‘상화 시비(詩碑)’가 있다. 1948년 우리나라에서 맨 처음 세워진 문학비라고 한다. 검은 오석으로 된 비석 앞면에 상화의 열한 살 난 셋째아들이 쓴 ‘나의 침실로’ 한 대목이 새겨져 있다. 순정한 아이의 필체가 전문 서예가의 세련미보다 더 감동적으로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