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장이 아이디어를 내면 조직원은 박수를 친다. 아이디어가 좋고 참신하다고. 한데 솔직히 아이디어보다 윗사람에 대한 예의로 박수치는 사람이 더 많다. 그 예의에는 두려움이 끼어 있다. 밉보이면 밥줄이 끊길 수도 있다는. 우리는 흔히 누군가를 ‘사람’보다 ‘그가 가진 것’으로 평가한다. 세상에 ‘남의 것’을 빌려서 주인행세하려는 자들이 늘어나는 이유다.
전국시대 초나라에 소해휼이라는 재상이 있었다. 북방의 나라들이 그를 몹시 두려워했다. 초나라 선왕은 이웃 나라들이 그를 그렇게 두려워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어느 날 강을(江乙)이라는 신하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북방 국가들이 어찌 소해휼을 그리 두려워하는가?”
강을이 말했다. “전하, 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호랑이가 여우 한 마리를 잡았습니다. 잡아 먹히려는 순간 여우가 말했습니다. ‘잠깐 기다리게나. 천제(天帝)께서 나를 모든 짐승의 왕으로 임명하셨네. 거짓이다 싶으면 나를 따라와 보시게. 모두 내가 두려워 달아날 테니.’ 호랑이는 여우 뒤를 따라갔습니다. 과연 여우의 말대로 모든 짐승들이 놀라 달아났습니다. 사실 짐승들은 여우 뒤의 자신을 보고 달아났지만 정작 호랑이는 그걸 깨닫지 못했습니다. 북방 국가들이 소해휼을 두려워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실은 소해휼의 뒤에 있는 초나라의 막강한 군세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전한의 유향이 전국시대 책략가를 엮은 ≪전국책≫에 나오는 얘기로, 여우(狐)가 호랑이(虎)의 위세(威)를 빌려(假) 호기를 부린다는 호가호위(狐假虎威)는 여기에서 유래했다. 남의 위세를 마치 자기 것인 양 훔쳐다 쓰는 게 어디 여우뿐이 겠는가. 입만 열면 인맥과시로 이야기를 채우는 사람, 틈만 나면 자기자랑을 촘촘히 끼어넣는 사람…. 모두 ‘내’가 아닌 ‘내 것’으로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자들이다.
재물·권력·명예·지식, 그게 뭐든 자랑삼아 내보이지 마라. 자긍과 자존은 안으로 품을 때 더 빛이 나는 법이다. “공작은 사람들 앞에서 그 화려한 꼬리깃털을 감춘다. 그게 공작의 자긍이다.” 니체가 ≪선악을 넘어서≫에서 한 말이다. 내보이는 데 급급하면 자칫 남의 것까지 훔친다. 한데 훔친 것을 오래 쓰면 그게 원래 내 것인 양 착각한다. 남의 위세를 빌려 목에 힘주는 것만큼 꼴불견도 없다.
귀한 인연을 꽃피우는 소개매너 현대시대에는 소개하고 소개받는 매너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어떻게 소개를 하고 소개를 받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에 대한 이미지도 많이 바뀐다. 그런 만큼 소개매너를 제대로 익히는 것이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요즘같은 네트워킹 시대에는 좋은 사람을 많이 아는 것만큼 소중한 재산은 없다. 단 한번을 만났더라도 상대를 기억하게 하는 소개매너를 익혀두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사람을 소개하는 사소한 원칙 소개 원칙은 세 가지다. 첫 번째, 너무 지나치게 오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얼마 전에 지인이 나를 사람들에게 이렇게 소개한 적이 있었다. ‘퍼스널이미지브랜딩 업계에서 최고이신 박영실박사님을 소개해드립니다. 제가 만나본 분들 중 가장 멋진 분이시죠!’ 이런 소개는 소개를 받는 당사자도 부담스럽다. 왜냐하면 이런 소개는 어떤 이에게는 상대적인 박탈감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소개에서도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이 핵심 두 번째, 너무 개인적인 소개는 생략한다. 예를 들어서, 얼마 전에 마흔이 되신 또는 얼마 전에 결혼 십 주년을 맞이하신 등등의 소개는 너무 앞서간다. 소개를 받는 당사자가 밝히기를 꺼려할 수도 있는 너무 상세한 신상정보를 첫 소개멘트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너무 개인적인 소개는 피하기 세 번째, 상호 소개 시 차별 없이 평등하게 한다. 예를 들어서, A씨는 대기업 대표를 30년 동안 해오신 분이시고 B씨는 작은 동네슈퍼를 5년째 하고 있는 분이세요. 라는 소개는 바람직하지 않다. 기억에 남는 소개 사례 이런 경우에는 ‘늘 제게 좋은 기운을 주
중요성과 긴급성CEO 주관의 경영 회의가 시작과 동시에 고성이다. CEO의 “아니 그 프로젝트가 얼마나 중요한 줄 모릅니까? 어떻게 일이 이지경이 되도록 만들었습니까? 본부장이 무엇을 했습니까?”담당 본부장 뿐 아니라 모든 본부장이 고개를 숙이고 있다. 올해 10대 과제 중 하나인A프로젝트가 무산 위기에 처했다. 작년 말, 10대 전략과제로 선정되어 별도 T/F조직까지 갖추고 5개월 넘게 추진한 과제가 서류 등 기본 자료를 챙기지 못해 심사에서 탈락되었다.한 달 전 경영회의에서 심사에 통과하도록 만전을 다하라는 CEO지시가 있었음에도 기본자료가 미비하여 탈락을 하게 된 것이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재택근무, 담당자의 코로나확진 등 여러 사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누군가 하겠지?’하는 조직 분위기였다.회사 재무 성과에 지대한 영향을 주며, CEO중점 관심 사항인 반드시 해야만 하는 과제였다.기획팀 B부장이 담당하는 일은 중기 전략 수립과 중요 과제에 대한 점검과 피드백이다.CEO는 최근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에 따른 ‘비상경영’을 기획팀에 요청하였다.이 업무를 담당한 B부장은 시급하지 않은 다른 업무는 모두 뒤로 하고 이 업무에 매진했다.비상 상황에서의 방향, 전략, 시나리오별 방안을 작성하여 보고를 하면 계속 추가 지시가 떨어졌다. 추가 지시사항을 조치하면서 B부장은 자신이 해왔던 일을 거의 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매일 야근을 하며 비상경영 방안을 모색하고 보고하는 기간이 3주가 지났다. 3주의 시간 동안 미루어 놓았던 일 중에 당장 하지 않으면 안되는 일들이 발생하였다. B부장은 작성을 마친 비상경영 방안 최종 보고서만 보고하고 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