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눈뜨면 맨먼저 롤커튼을 올린다. 정남향 베란다를 차지한 야생화에 아침햇살을 쬐어 주기 위함이다. 다음은 현관문을 열어 조간신문을 맞는 일이다. 잠옷바람에 부시시한 몰골이라 앞 집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현관문을 빼꼼 한 뼘 열어 살핀 다음, 잽싸게 바깥 벽에 매달아 놓은 주머니에서 신문을 낚아챈다.

서늘한 바깥 공기가 스며든 두툼한 신문을 펼쳐든다. 묵직한 견출고딕체의 1면 헤드타이틀을 보며 가슴을 쓸어내리기도, 더러는 살맛 나는 세상을 만나기도 한다. 그리고선 주마간산 격으로 각 지면의 타이틀만 훑는다. 즐겨 읽는 오피니언 섹션은 퇴근 후 한갓진 시간을 이용해 차분하게 읽곤 한다. 지면을 넘길 때면 종이신문 특유의 잉크 냄새가 번진다. 그 향기가 좋다. 오랜세월 익숙하게 길들여진 때문이다. 신문과의 첫 교감은 1969년 봄, 초등학교 6학년이 막 시작되던 무렵이다.

내가 나고자란 곳은 읍내에서 멀리 떨어진 벽촌이었다. 12가구가 전부인 조그만 마을은 과수원에 둘러싸여 고립무원과도 같았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았다. 닷새에 한번 꼴, 엿장수나 들어와야 엿이랑 사탕으로 군것질이란 걸 할 수 있을만큼 두메였다.
초등학교까지는 왕복 6km로, 추우나 더우나 눈이 오나 비가 오나 걸어 다녀야 했다. 저학년 땐 책 보자기를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로 비껴 맸지만 6학년이 되자, 중학교 입시준비로 전 과목의 교과서와 두꺼운 ‘전과’ 그리고 ‘수련장’까지 책보자기에 싸서 어깻죽지에 길게 늘어뜨려 매고 등하교를 해야만 했다.

예나 지금이나 ‘입시’는 고역이다. 그즈음 몇몇 아이들은 보란듯이 문제풀이가 실린 신문을 넘겨가며 으시대기도 했다. 몹시 부러웠다. 문제풀이가 부러웠다기 보다는 신문에 연재 중인 신동우의 인기만화 ‘풍운아 홍길동’이 부러웠다는 게 맞다. 간간이 어깨너머로 본 ‘홍길동’은 늘 감질나게 해놓고 다음 편으로 이어졌다. 어린 생각에 나름 꾀를 냈다. 입시공부를 빙자하여 아버지를 졸랐다.

“○○중학교 입시에 합격하려면 ‘소년○○일보’에 실린 시험문제를 꾸준히 풀어봐야 한다고 선생님이 말씀하셨어요”

물론 살짝 둘러댔다. 공부를 하겠다는 자식놈이 기특해 보였던지 두말없이 구독신청을 해주셨다. 이웃 집에선 댓박처럼 생긴 스피커를 통해 선택의 여지없이 공용으로 라디오를 들을 때 우리 집엔 트랜지스터 라디오가 있어서 이리저리 주파수 맞춰가며 듣고 싶은 것 찾아 들을 수 있을만큼 시골동네에선 끼니 걱정은 않았던 걸로 기억된다.

당시 ‘소년○○일보’는 ‘아침마다 집으로 배달되는 소년소녀들의 친절한 가정교사’를 표방하며 전국의 소년소녀 입시생을 주 구독층으로 공략했다. 지면은 총 4면으로 1면은 뉴스, 2면에 교양기사, 3면에 학습기사(문제풀이 등), 4면에 스포츠 관련기사를 게재하고 있었다.

읍내에서 구독을 하면 매일 아침 신문이 배달되었지만 시골은 그렇지 못했다. 산간벽지의 경우 대개 우체부를 통해 신문이 배달됐다. 특히나 가구수가 적은 우리 동네에서 매일 신문을 받아본다는 건 욕심이다. 우편물을 몰아  2~3일에 한번 꼴로 우체부 자전거가 마을에 들어왔다. 신문이라기 보다 구문이었다. 그러거나말거나 ‘홍길동’이 궁금하여 신문 오기만을 학수고대 했던 기억이 지금도 또렷하다.

종이신문의 매력(魅力) 혹은 마력(魔力)


그렇게 시작된 신문 구독은 지금껏 변함없다. 그런데 근래들어 예전에 느꼈던 종이신문 특유의 냄새가 덜하다. 종이 품질이 좋아졌던가, 아니면 내성이 생겨 후각이 무디어졌거나 감성이 메말라 버렸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세상은 바뀌었다. 한가하게 종이 신문의 추억을 들먹이기엔 종이신문에 불어닥친 현실은 냉혹하다. 그야말로 총체적 위기이다. 전철에서 신문은 거의 자취를 감췄다. 가판대에 꽂힌 신문은 거들떠 보는 이 별로 없다.

가정주부들 사이에서 ‘구독료 내고 신문 보면 바보’란 소리까지 나돈다고 한다. 심지어 인터넷에서는 ‘공짜로 종이신문 보는 방법’까지 올라와 있다.

우리나라 스마트폰 인구가 4천 38만 명을 넘어섰다. 국민 중 8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을만큼 SNS가 보편화된 까닭이다. 더하여 인터넷 매체 등 다양한 미디어가 등장한 것도 종이 신문을 나락으로 내몬 첨병 역할을 했다.

지면을 넘길 때마다 한눈에 쏙쏙 들어오는 아날로그적 온기는 종이신문만의 매력이다. 정보나 지식 습득의 효율성 면에서는 어떠한 전자미디어도 따라오지 못하는 마력 또한 종이신문에 있다.  세상이 다 바뀌어도 종이신문을 절독할 수 없는 이유이며, 종이신문이 건재해야만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