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하늘재’고갯마루를 들머리로 포암산을 오를 계획이었다.
그런데 코스가 살짝 바뀌었다.


5월 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하늘재에서 포암산 구간이 입산통제라는
산방 측의 안내에 따라 하늘재 숲길이 시작되는 ‘미륵사지’ 입구에서
왼쪽 산비탈로 숨어? 들기로 했다.
그러나 이 정보엔 약간의 미스가 있었다. 나중에야 안 사실이다.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가 봄철 산불조심기간인 것은 맞다.
그러나 탐방로 통제기간은 3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이다.


고로, 포암산을 찾은 날이 2월 15일이었으니 통제기간은 아니었다.
괜히 죄인 마냥 샛길로 숨어든 꼴이 되었으니 원!


하늘재 길은 신라 제8대 아달라왕이 북진을 위해 개척한 길로
소백산의 죽령길 보다도 2년이나 먼저 열린 우리나라 最古 옛길이다.


충북 충주 미륵리와 경북 문경 관음리를 잇는 이 길은 고려초기 석굴사원터인
미륵리사지에서 시작된다.


조령5악에 꼽히는 충주 포암산에 오르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절터에는 석불입상을 비롯, 석탑, 석등, 돌거북 등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고려시대 화려했던 사찰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이곳 미륵석불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북향 석불’이다.
마의태자가 금강산으로 가다가 이곳에 머물렀다는 전설을 담고 있어
마의태자 자화상으로 불리기도 한다.


미륵사지 입구에서 옛길을 버리고, 낙엽 수북한 산비탈로 들어섰다.
전나무와 굴참나무 울창한 숲길을 따라 얼추 1시간쯤 걸었을까,
시야가 탁 트인 암릉에 이르렀다.


조령5악에 꼽히는 충주 포암산에 오르다


너럭바위에 올라앉은 고사목과 노송의 어울림이 시선을 멎게 한다.
더하여 첩첩이 이어진 잔설 희끗한 산들이 반갑게 손짓하니
그냥 지나치는 건 예의?가 아닌 듯 하여 잠시 걸음을 멈췄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남으로 우뚝한 것이 주흘산과 조령산, 북으로 기운찬 것이
월악산과 대미산이 아닐까, 어림잡아 보나 자신은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암릉을 지나 길은 다시 숲속 능선으로 이어진다.
능선 등로엔 잔설이 수북하고 양지바른 산비탈엔 낙엽이 수북하다.
잔가지 사이로 포암산 봉우리가 우뚝 모습을 드러낸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포암산 정상을 900m 앞둔 지점에서 하늘재로 이어진 등로와 만난다.
여기서부터 백두대간 길이다.


조령5악에 꼽히는 충주 포암산에 오르다


능선길을 오르락내리락 걷다가 책을 포개놓은 듯 한 바위지대를 만나
장애물 경기 하듯 통과하고나면 다시 곧추 선 철계단과 맞닥뜨린다.
철계단에 매달려 용을 쓰고나니 그제야 돌무더기 아래 정상표시석이
빼꼼히 얼굴울 내민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백두대간 주능선 상에 있는 포암산 정상(962m)이다.
포암산은 월악산국립공원의 가장 남쪽에 속해 있다.
날씨는 푹해져 봄날 같다. 응달에 잔설도 스러져간다. 겨울의 끝자락이다.


충북 수안보와 경북 문경에 걸쳐 있는 포암산은 인근의 월악산, 주흘산,
조령산, 신선봉과 함께 조령5악으로 손꼽힐만큼 산세 또한 빼어나다.


조령5악에 꼽히는 충주 포암산에 오르다


정상에서 만수봉 방향으로 내려서는데 웬걸…
조금 전의 봄날 느낌은 다시 반납해야 했다.
응달진 가파른 산비탈에 잔설이 얼어붙어 발을 내디딜 수가 없다.
배낭을 내려 신발에 아이젠을 걸었다.
몇몇은 푹한 날씨만 믿고 아이젠을 챙기지 않은 탓에
일행들의 도움으로 간신히 결빙구간을 벗어날 수 있었다.
경험상, 4월 중순까진 아이젠을 챙겨야 하는 이유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정상에서 900m 내려선 삼거리에서 만수봉(4.1km) 방향 백두대간 길을 버리고
왼쪽 만수계곡으로 방향을 틀었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스산한 황갈색의 만수계곡은 겨울을 탈탈 털어내는 분위기다.
아마도 푸르렀던 여름을 기억하고, 화려했던 지난 가을을
그리워하고 있을지 모른다.
초목은 곧 봄비에 움트고 봄바람에 숲향 날리며
싱그런 숲으로 돌아와 산객을 보듬으리라.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계곡을 따라 이어진 등로 바닥은 층층이 겹쳐진 널돌지대다.
이것도 일종의 ‘주상절리’현상인가?
안으로 깊숙이 패어 들어간 널돌층이 눈에 들어왔다.
다가가 안을 들여다 봤다. 석회암동굴의 석순처럼 동굴 천장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그대로 얼어붙어 얼음순이 솟아 있다.
자연 생성된 구덩이일까, 인공 조성된 방공호일까?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만수교를 0.5km를 앞둔 지점에서 길은 세갈래로 갈라진다.
철계단으로 오르면 만수봉, 왼쪽 다리를 건너면 계곡순환 자연관찰로다.
만수계곡 자연관찰로는 계곡을 순환하는 2km의 힐링 코스다.


조령5악에 꼽히는 충주 포암산에 오르다


하단부가 V자형으로 깊게 벗겨진 소나무가 눈에 띈다. 송유 채취 흔적이다.
일제강점기 때 수탈한 흔적이 지금껏 고스란히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이렇게 마구잡이로 채취한 송진을 가마로 옮겨와 송유를 추출했다.
추출된 송유는 전쟁통에 항공기 연료로 사용했다니…원!


조령5악에 꼽히는 충주 포암산에 오르다


조령5악에 꼽히는 충주 포암산에 오르다


미륵사지를 들머리(S)로 하여 포암산 정상을 찍고 만수계곡을 거쳐
날머리(G) 만수탐방지원센터까지,
U자 모양 궤적을 그리며 산행을 마무리했다.


(산행거리 8km, 4시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