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말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나 깨달았다. 군 복무를 마치던 때다. 우리 집이 빼꼼히 올려다보이는 길지 않은 골목길에 낯선 아낙네가 아이를 업고 서성거렸다. 가로등이 들어와 어둡지는 않았지만, 싸락눈을 맞으며 우리집 대문을 바라보는 걸 창문으로 내려다보고 있으니 안쓰러웠다. 어머니가 “초인종을 누르길래 나갔더니 아버지 회사 직원 부인이라며 사장님 오실 때까지 밖에서 기다리겠다고 하더라”라고 궁금증을 풀어줬다. 어머니가 “들어와 기다리라고 해도 막무가내로 저렇게 서 있다”라며 불편해했다.
늦은 밤에 귀가한 아버지를 대문 앞에서 붙잡고 그 여인이 얘기했지만, 아버지는 듣지 않고 발길을 돌렸다. 그날 밤 아버지는 집에 들어오지 않았다. 이튿날 퇴근한 아버지가 집 우편함에서 봉투를 꺼내 들고 들어와 어머니와 말씀을 나누는 소리가 났다. 내가 얼른 나가서 “어제 그 부인이 안 돼서 많지는 않은 돈을 넣은 봉투를 드렸으나 한사코 받지 않아 아이 업은 포대기 안에 넣어드렸다”고 자랑스레 말씀드렸다. 아버지는 대번에 “쓸데없는 짓 했다”라며 나무랐다.
방에 불려들어가자 아버지는 어제 그 여인은 김 과장의 부인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김 과장은 내가 몇 번 만난 일이 있는 직원이었다. 은행의 권고로 회사 구조조정을 하면서 십여 명을 감원했다며 김 과장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아버지가 가장 신임하고 아끼는 직원이어서 모두 그의 잔류를 의심하지 않았는데 감원명단 맨 앞에 나왔다고 했다. “그 친구는 어느 곳에 가서라도 무슨 일이든 잘 해낼 수 있기에 명단에 첫 번째로 넣었다”고 했다. 이어 아버지는 “그는 회사에 꼭 필요한 직원이지만,
현대인이 걷는 이유와 우리의 선조들, 불과 50~60여 년 전의 세대들이 걷던 이유는 다르다. 이전에는 생존하기 위하여 걸었지만, 이제는 건강하게 살기 위하여 걷는다. ‘걷기의 종말’이 오기 직전에 인간이 걸어야 할 세 가지 이유와 맞닥뜨렸다.
1 본원적 기능 – 종말
나는 걷기의 기능을 둘로 나누었다. 본원적 기능과 파생적 기능. 본원적 기능은 말 그대로 걷기의 근원적 이유, 인간이 태곳적부터 걸었던 이유는 생존하기 위하여서이다. 달리 이곳에서 저곳으로 갈만한 수단이라고는 절대 다수의 사람에게는 두 다리가 유일했다. 맹수로부터 도망가기 위해서, 논밭에 농사짓기 위해서, 전쟁하기 위해서, 장사하기 위해서 인간은 걷고 뛰었다. 걷지 않으면 죽음이던 시절에는 잘 뛰고 잘 걷는 것이 생존의 절대적 조건이었다. 이처럼 생존을 위하여 걸을 수밖에 없었을 때는 걸어가는 그 자체에 대한 의식이 끼어들 여지는 거의 없었다.
근세 이전의 문헌에서 걷는다는 행위에 대하여 특별하게 언급되는 것은 ‘사유하기 위한 도구’로서 걷기일 뿐이었다. 이처럼 걷는 것 자체가 주된 행위의 목적이 된 적은 없다. 군인에게는 전쟁하기 위하여 걸었고, 농부는 농토로 가기 위해 걸었고, 장사꾼은 장사하기 위하여 걸었다. 비록 ‘걷기’의 가장 본원적인 행위가 바로 장소이동, 즉 교통기능이기는 했지만, 그 자체가 목적성을 가졌다거나 의미를 부여받지는 못하였다. 그런데 한국이 근대화되고 자동차, 버스, 기차가 대중교통 수단이 되면서 우리는 굳이 잘 뛰거나 잘 걸을 필요가 없어졌다. 걷기란 인간에게 계급이 생긴 이후로 권력이나 재력을 가진 사람이 하는 일은 아니었다. 힘이 있는 자는 서민은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