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탈리아 연구팀에서 코로나19는 2019년 10월 부터 이미 전파가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중국 공산정부의 행동은 느리고 부패하고 무책임했다. 1월 21일이 돼서야 비로소 중국 정부는 ‘우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를 ‘사스’와 ‘중동호흡기증후군’에 해당하는 '을(乙)류' 전염병으로 지정하고 대응책은 중국 정부의 대응책 중 가장 강력한 '갑(甲)류' 전염병 수준으로 상향키로 했다. 한국 정부는 1월 3일자로 인천공항에 들어오는 직항편에 대하여 검역을 강화했다. 1월 20일 한국에 입국하려는 중국인 관광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로 확정되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중앙방역대책본부’를 가동한다. 이때부터가 구글상으로 보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한때는 우한바이러스라고 불리는 바이러스에 대한 경각심이 급격히 높아진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는 온 세계가 변했다.
앞으로 온 세상이 변할 것이다. 누구나 안다. 그런데 어떻게 변할까? 아무도 말을 못한다. 게다가 세상이 변할 때 한국은 어떻게 변하고, 나같이 신발, 그것도 신발의 주류시장이 아닌 ‘맨발같은 신발’같은 지극히 틈새시장에서 겨우 움직이는 구멍가게 상인들은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지 막막하다. 그렇다고 미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될 유산이 있거나 자산을 쌓아놓지도 못하고 뛰어난 학벌이나 두뇌를 갖지 못한 평범한 사람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심히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책을 읽으려해도 아직 책은 없고, 그나마 경제기사들은 경제통계나 이제껏 있던 것들을 논리적으로 분석한 것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분석하는 것은 추세분석으로 현재 세상이 흘러가는 대로 갈 것이다 라는 정도는 가능하지만, 어떻게 언제 변할 지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 즉, 변곡점을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어렵고 또 하나는 어떤 방향으로 변할 지를 예상하기 어렵다. 실제로 2019년 말에 나왔던 2020년도 예측서들은 현 시점에서 하나도 맞는 게 없다. 코로나바이러스를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떤 방식으로 미래를 예측하든 간에 미래는 지금보다 밝지 않을 것 같다. 그렇지만 다른 나라보다 덜 타격입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른 기업은 죽을 쒀도 나의 무지외반증 치료용 맨발 신발을 파는 필맥스는 성장해야 하고, 각 개인은 그래도 발전하고 풍족한 삶을 영위해야 한다. 늘 그렇듯이 이런 시도는 예측과 실제, 대책과 실제 실행 내용은 많이 어긋나게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만들어야 한다. 세상은 늘 변하니까. 겁나는 신세계에 적응하기 위하여, 그 와중에 발전하기 위하여 ......
홍재화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