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철호의 길 위에서 찾多!] 오늘  만해 ‘한용운’을 만난다!
 ‘푸른 산 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 시구를 되새기며 백악산 성곽길 따라 마을로 내려온다. 도성안과 밖은 기나긴 성벽을 경계로 나뉜다. 도성 안은 북촌인 삼청동. 도성 밖은 북정마을 성북동이다. 골목골목을 내려오니 삼각산 북쪽을 바라 본 집 한 채가 향나무와 함께 있다. 바람은 차갑고 눈발이 휘날린다. 하지만 따뜻한 온기가 전해지는 한옥이다. 잃어버린 나를 찾는 곳. 바로 심우장(尋牛莊)이다.


  만해 한용운의 생애 유일한 집이다. 택호를 심우장으로 정하고 그곳에서 11년 집필생활을 하며 삶을 마무리 했다. 나를 찾고 나라를 되찾으려 마지막까지 변함없이 독립운동을 했다. 아쉽게도 독립을 보지 못한 채 그의 시구처럼 님은 갔다. 하지만 심우장은 86년 세월동안 수많은 사람들에게 마음의 안식처가 되었다. 소를 찾듯 나를 찾고, 나라를 찾듯 역사를 찾은 곳이다. 3.1운동 100주년에 가족과 함께 심우장을 가고 싶다.

 
[최철호의 길 위에서 찾多!] 오늘  만해 ‘한용운’을 만난다!
1879년 충청도 홍성에서 태어난 한용운은 월정사와 백담사에서 연곡스님을 만난다. 불경 공부와 참선에 열중하며 넓은 세계를 찾아 끊임없이 연마했다. 불교의 개혁과 불경의 대중화를 위해 주제별로 역은 책도 편찬한다. <불교대전>은 불경을 엮은 최초의 책이다. 불교 근대화의 선구자다. 1918년 잡지 <유심>에서 계몽적인 글과 문학에 관심을 표출한다. 그 당시 최남선과 최린, 백용성이 글을 기고하며, 1919년 3.1 독립선언서의 기초를 쌓은 교두보다.


  민족대표 33인 중 백용성과 한용운은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만해 한용운은 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에 ‘최후의 1인까지 최후의 일각까지 정당한 의사를 쾌히 발표하라’ 라는 구절을 삽입하고 선언한다. 만천하가 만세소리에 깨어났다. 태화관에서, 탑골공원에서. 기념비각에서, 대한문앞에서, 남대문역에서, 경성역에서 독립만세운동은 불꽃처럼 전국적으로 번졌다. 만해 한용운은 체포 후 법정 최고형인 징역 3년을 선고 받는다. 출옥한 후에도 민족운동을 변함없이 펼쳤다.

 
[최철호의 길 위에서 찾多!] 오늘  만해 ‘한용운’을 만난다!
만해 한용운은 독립운동가로 민족지도자로서 의연한 삶을 살았다. 1940년 창씨개명반대운동과 1943년 학병출정반대운동도 쉼 없이 전개했다. 끼니를 이을 수 없는 궁핍한 생활 속에서도 시와 수필를 쓰고, 소설을 기고하는 작가이자 교육자였다. 일제강점기 극심한 탄압 속에서도 타협하지 않고 의연한 자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1944년 성북동 심우장에서 세상과 먼 이별을 한다. 해방 1년 전 백악산 도성 밖 북향집에서 별이 됐다.


 
[최철호의 길 위에서 찾多!] 오늘  만해 ‘한용운’을 만난다!
만해의 시(詩)처럼 이별과 갈등, 희망과 만남이 끈처럼 연결되어 있다. 정월대보름 별을 찾고, 나를 찾아 심우장(尋牛莊)을 향해 걷고 싶다. 이런 말이 있다. <행백리자 반어구십(行百里者 半於九十)> 즉 ‘길을 가는 데 처음 90리와 나머지 10리가 맞먹는다’는 것으로 세상사 어떤 일이나 처음은 쉽지만 마무리가 어렵다는 뜻이다.


  오늘 당신은 어느 길을 가고 싶습니까?  

<최철호/ 남예종예술실용전문학교 초빙교수, 성곽길 역사문화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