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앙정가

                            송순




인간 세상 떠나와도 내 몸이 겨를 없다.

이것도 보려 하고 저것도 들으려 하고

바람도 쐬려 하고 달도 맞으려 하니

밤일랑 언제 줍고 고기는 언제 낚고

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떨어진 꽃은 누가 쓸까.

아침이 부족하니 저녁이라 싫겠는가.

오늘이 부족하니 내일이라 넉넉하랴.

이 산에 앉아 보고 저 산에 걸어 보니

번거로운 마음에 버릴 일이 아주 없다.

쉴 사이 없거든 길이나 전하리라.

다만 푸른 지팡이만 다 무디어 가는구나.

(부분)



조선 중기 문신 송순(1493~1582)의 ‘면앙정가(俛仰亭歌)’. 41세에 관직에서 잠시 물러나 고향인 전남 담양에 내려와 지은 가사(歌辭)다. 제목의 ‘면앙정(俛仰亭)’은 그가 지은 정자 이름이자 호(號)다.

정자는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간소한 규모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퇴계 이황을 비롯한 유명 인사들과 학문을 토론하던 곳이기도 하다.

‘면앙정가’는 “반복·점층·대구법 등으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리고 경치 또한 실감나게 묘사한 절창”으로 평가받고 있다.

첫 부분의 서사에서는 면앙정이 있는 제월봉의 모습을 묘사했고, 두 번째 부분인 본사에서는 면앙정에서 바라본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했다. 앞부분에서 시선을 먼 곳으로 점차 이동하며 근·원경, 뒷부분에선 면앙정의 사계 풍경을 그렸다. 마지막 결사 부분은 ‘이렇게 지내는 것도 모두 역군은(亦君恩: 역시 임금의 은혜)이샷다’라며 유학자로서의 충절을 표하고 있다.

인용한 부분은 ‘면앙정가’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구절로 우리말의 묘미를 절묘하게 드러냈다. 속세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났지만 자연을 향유하느라 한가로울 겨를이 없다는 대목이 시인의 내면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런 중에 달도 맞아야 하고 알밤도 주워야 하며 낚시도 해야 하는데 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떨어진 꽃은 누가 쓸 것인가 하고 익살스레 묻는다. 벼슬할 때의 바쁜 일과보다 전원의 느긋한 즐거움이 더 크다는 얘기다.

이런 정서는 그가 역사의 부침 속에서도 신망과 존경을 두루 받은 배경이기도 하다. 그의 시대는 4대 사화 등 혼란의 격변기였다. 그 속에서 50여년간 벼슬하면서 단 한 번 1년의 귀양살이만 할 정도로 그의 삶은 안온했다. 인품이 뛰어난 데다 성격이 너그럽고, 의리가 있으며,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두루 사귄 덕분이다.

그를 두고 ‘하늘이 낸 완인’(이황)이라거나 ‘온 세상의 선비가 모두 송순의 문하로 모여들었다’(성수침)고들 했다. 그는 77세까지 관직에 있었다.

그의 시조 ‘십 년을 경영하여’도 이런 성정을 잘 보여준다.



십 년을 경영하여 초가삼간 지어내니

나 한 칸 달 한 칸에 청풍 한 칸 맡겨 두고

강산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놓고 보리라.



초가집 한 채 지어놓고 세상을 다 들여놓은 듯 행복해하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내가 묵을 방 한 칸, 달이 들어올 방 한 칸, 거기에 청풍이 노닐 방 한 칸. 더 이상 들여놓을 데 없는 강산까지 병풍처럼 둘러놓고 보니 남부러울 게 없다.

초가삼간이 천하를 품을 만큼 커다란 집, 우주의 집이 됐으니 이 얼마나 여유로운가. 사람들이 면앙정을 자주 찾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