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라이오네스로 떠났을 때

                               토머스 하디




백 마일 밖 라이오네스로

내가 떠났을 때

나뭇가지 위에 서리는 내리고

별빛이 외로운 나를 비췄지.

백 마일 밖 라이오네스로

내가 떠났을 때.



라이오네스에 내가 머물 때

거기서 무슨 일이 생길지

어떤 예언자도 감히 말 못하고

가장 현명한 마법사도 짐작 못했지.

라이오네스에 내가 머물 때

거기서 무슨 일이 생길지.



내가 라이오네스에서 돌아왔을 때

눈에 마법을 띠고 돌아왔을 때

모두 말 없는 예감으로 눈여겨보았지.

나의 드물고 깊이 모를 광채를

내가 라이오네스에서 돌아왔을 때

눈에 마법을 띠고 돌아왔을 때!



토머스 하디(1840~1928)는 소설 《테스》와 《귀향》으로 유명한 영국 작가다. 그러나 뛰어난 시인이자 극작가이기도 하다. 그는 영국 남쪽 도체스터에서 석공인 아버지와 독서를 좋아하는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철도도 들어오지 않는 외진 곳이었다.

어린 시절의 하디는 내성적이고 몸이 약했다. 그가 학교에서 받은 교육은 약 8년뿐이었다. 16세 때 건축사무소 수습공으로 들어간 뒤로 건축 일과 소설·시 쓰기를 병행했다. 그의 시 중 가장 달콤한 것으로 꼽히는 ‘내가 라이오네스로 떠났을 때’는 서른 살 때의 사랑을 그린 것이다. 그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해 봄 하디는 교회 건물을 수리하기 위해 콘월 주에 있는 세인트 줄리엇으로 파견됐다. 그곳 목사관에 에마 기퍼드라는 처녀가 있었다. 성격이 활발하고 문학적 감수성이 풍부한 아가씨였다. 그녀는 하디의 창작에 아주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둘은 곧 사랑에 빠졌다. 그녀는 귀족 변호사의 딸로 하디보다는 신분이 높았으나 사랑에 눈먼 청춘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그곳에서 있었던 비밀스런 일의 한 면만 살짝 보여주듯 이 시를 썼다. 라이오네스는 콘월 반도와 영국해협의 실리 섬을 잇는 전설 속의 땅 이름. 중세 유럽 전설에 나오는 기사 트리스탄의 탄생지다. 지금은 바다 속에 가라앉았다고 전해진다.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비련까지 겹쳐져 라이오네스라는 말의 상징적 울림이 더욱 크다.

‘백 마일 밖 라이오네스로/ 내가 떠났을 때’로 시작해서 ‘라이오네스에 내가 머물 때’를 지나 ‘내가 라이오네스에서 돌아왔을 때’로 이어지는 순환의 이미지도 이 시를 빛내는 요소다. 그 사이에 ‘드물고 깊이 모를 광채’와 ‘마법의 눈’을 띠고 돌아온 내력이 둘만의 은밀한 사랑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둘의 결합은 처음에 경제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하디의 문학적 명성이 높아지면서 이들은 곧 결혼했다. 이후 그는 왕성하게 창작활동을 했고 도체스터 근방에 땅을 사서 저택을 지었다. 그 유명한 《테스》와 《무명의 주드》도 이곳에서 집필했다. 국왕으로부터 공로훈장을 받고, 황태자의 방문까지 받는 영예도 누렸다.

1912년 아내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그는 큰 충격을 받았다. 상심한 그는 아내를 처음 만난 세인트 줄리엇으로 순례 여행을 떠나 옛 추억에 잠기곤 했다. 그때 저 언덕에서 그녀가 봄바람에 치맛자락을 펄럭이며 다가오는 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웠던지….

그로부터 16년 뒤 그는 페르시아 시인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 시편을 읽어달라고 부탁한 뒤 조용히 눈을 감았다. 88세였다.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고 유해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그러나 장례식이 아무리 화려하고 묘소가 성지라 한들 무슨 소용이랴. 그의 영혼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그녀 곁을 떠나고 싶지 않았으니, 고인의 뜻에 따라 그의 심장은 웨스트민스터가 아닌 고향의 그녀 묘 옆에 안장됐다. 애틋한 사랑을 발견하고 가슴 뛰던 그 젊은 날의 ‘마법’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