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일본 만큼 장수 기업이 많은 나라도 드물다.세계 2대 경제대국 일본을 지탱해 주는 버팀목은 다름 아닌 이들 장수 기업들이다.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16일자) ‘격동의 시대를 헤쳐온 100년 기업’ 특집 기사를 통해 회사를 도약시킨 혁신 경영자의 존재,시대 변화에 맞춰 발전하는 핵심 기술,지역과의 공존공영 을 3대 장수 비결로 분석,눈길을 끌었다.
이 잡지는 창업 당시의 본업을 기본축으로 하면서도 시장 변화를 재빨리 읽고 적응해온 기업만이 치열한 글로벌 경쟁을 뚫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결론지었다.일본 장수 기업의 성공 배경을 요약,소개한다.

창업자의 카리스마가 아무리 강해도 그의 철학이나 기업 문화는 30년 이상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100년 이상 생존한 장수회사에는 ‘중흥의 할아버지’로 불리는 개혁적인 경영자가 존재했다.전기전자 업계를 대표하는 도시바가 대표적인 사례다.
발명가 다나카 히사시게는 1875년 회사 설립 후 백열전구 등을 만들어 초석을 쌓았으나 수차례 경영 위기를 벗어나 도시바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킨 것은 혁신적인 경영자들이었다.
이회사는 2차 세계대전 후 노조운동이 격화돼 도산 위기를 맞았으나 제일생명보험 출신인 이시자카 타이조가 1949년부터 8년간 재임하면서 노사 갈등을 원만히 해결,경영을 정상화 시켰다.
또 1964년 도쿄올림픽이 끝난 후 경기 침체로 다시 경영난을 겪었을 때 영입된 이시카와지마 하리마중공업 회장 출신인 도코 토시오는 전국 현장을 돌고 말단 직원까지 질책과 격려하는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면서 회사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
1980년부터 7년간 사장을 맡았던 사바 쇼이치는 중전기 출신이면서도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에 눈을 떠 거대한 투자를 단행,반도체 산업의 기초를 만들었다.이들 경영자가 있었기에 도시바는 주력 산업을 생활전기용품-중전기-백색가전-반도체 및 컴퓨터 등으로 바꾸면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끊임없는 고유 기술 개발도 장수 기업의 공통점이다.
1874년 광산 경영으로 출발한 미쓰이금속은 휴대전화기 등의 배전기판에 사용되는 구리 박판에서 세계시장의 40%를 차지하는 업체다.
이회사는 광산 사업에서 쌓은 노하우를 살려 1949년 건전지 재료인 전해이산화망간 제조를 시작했으며,1967년 구리박판 사업에도 진출했다.현재 도요타자동차의 하이브리드차 ‘프리우스’에 들어가는 니켈 수소전지 재료도 생산,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창업한 지역과의 공존공영도 장수 기업의 또다른 비결이다.
우베흥산은 1897년 야마구치현 우베시에서 설립됐다.이회사는 석탄산업에서 출발한 뒤 화학 시멘트 기계 등으로 사업을 확장,현재 150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직원수는 1만명을 넘는다.
대형 다이캐스팅(주물) 시장에선 30%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창업자인 와타나베 스케사쿠씨는 ‘공존공영’을 기업 이념으로 삼아 회사와 지역 발전을 동시에 추구했다.1953년 지역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을 만든데 이어 고속도로,골프장 등 지역 발전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감행했다.
그러나 1990년 이후 거품 경제가 붕괴되고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6620억엔에 달한 부채로 인해 창업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2002년에는 주가가 100엔까지 떨어지기도 했으나 지역 주민들이 퇴직금까지 털어 회사 주식을 대량 매입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 위기를 넘기고 정상화 됐다.

장수 기업 연구가인 고베대학의 가고노 타다오 교수는 “많은 기업들이 ‘이익’ 보다는 ‘영속’에 가치를 두고 있는 데다 거래 기업이나 지역과 공존하려는 일본인들의 가치관이 장수 기업들이 많이 존재할 수 있는 토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현재 일본에는 창업 100년이 넘는 회사가 전국에 1만5207개 이며,개인 자영업자까지 포함하면 5만개를 넘는다.이중 도쿄 1부 상장회사는 201개이며,매출액 1조엔을 넘는 기업은 33개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