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특파원 칼럼
  •  한국계 美기업에 투자 늘려야

    한국계 美기업에 투자 늘려야

    “미국 국적인 제가 창업한 회사는 한국 기업 투자 혜택을 못 받겠네요?”지난달 3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서 열린 한국인 벤...

  •  월가의 흥분 "Japan is back"

    월가의 흥분 "Japan is back"

    월가는 한국에 대한 관심을 잃어버린 지 오래다. 1970~1990년대 고성장, 2000년대 마진 확대 등 성공 스토리가 더는 없다는 게 원인이다. 정부의...

  •  포스트코로나, 재택근무의 명암

    포스트코로나, 재택근무의 명암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과 워싱턴DC 근교 알링턴시가 티격태격하고 있다. 아마존이 제2 본사 입지로 알링턴을 선정한 2018년만 해도 상상도 ...

  •  사드 보복 망령부터 떨쳐내자

    사드 보복 망령부터 떨쳐내자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냉각되고 있다. ‘제2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중국의 상황을...

  •  짙어지는 美 경기침체 그림자

    짙어지는 美 경기침체 그림자

    “기준금리를 한 번 더 올리면 문 닫는 은행을 또 보게 될 겁니다.”(스티브 므누신 전 미국 재무장관)미국판 다보스포럼이라고 불리는...

  •  일본 수출규제 4년이 남긴 것

    일본 수출규제 4년이 남긴 것

    “100% 일본제를 쓰던 삼성과 LG가 물량의 20%를 한국 중소기업에 배정하고 있다.”한 경영 컨설턴트가 전한 2019년 일본의 ...

  •  월가가 우려하는 위기의 그림자

    월가가 우려하는 위기의 그림자

    미국 뉴욕 월가에서 인플레이션은 더 이상 가장 큰 걱정거리가 아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4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신용 경...

  •  프랑스의 안일한 對中 전략

    프랑스의 안일한 對中 전략

    ‘프랑스는 유럽의 중국’이라는 말이 있다. 좋은 의미는 아니다. 주변국에 대한 배려가 부족할 때가 있다는 지적이 담겨 있다. 프랑스...

  •  AI 개발에도 브레이크가 필요하다

    AI 개발에도 브레이크가 필요하다

    “인공지능(AI) 알고리즘으로 학습한 자동차 자율주행 기능은 잠재적으로 사람을 해칠 위험이 있습니다. 현기증 날 정도로 AI가 빠르게 발전하는...

  •  오너경영 재평가하는 일본

    오너경영 재평가하는 일본

    일본 최대 외식업체 젠쇼홀딩스(244배),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그룹의 손자회사 Z홀딩스(236배), 유니클로의 패스트리테일링(160배), 반도...

  •  차별적 美반도체법, 방관할 건가

    차별적 美반도체법, 방관할 건가

    지난 15일 미국 워싱턴에 있는 외신기자센터. 한국과 대만 일본 특파원을 상대로 한 설명회에서 “반도체지원법상 보조금 요건이 너무 엄격한 것 ...

  •  이제 한국이 美에 요구할 차례다

    이제 한국이 美에 요구할 차례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지난 13일 알래스카의 석유 시추 계획인 ‘윌로 프로젝트(The Willow drilling project)&rsqu...

  •  한국이 대만에 역전당한 이유

    한국이 대만에 역전당한 이유

    2019년 7월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미국을 방문했다. 당시 차이 총통은 미 정계 고위 인사를 아무도 만나지 못했다. 4년이 지난 뒤 상황은 완전히 달라...

  •  중국 '부추'를 어쩌나

    중국 '부추'를 어쩌나

    중국에선 개인투자자를 흔히 ‘주차이(菜·부추)’라고 한다. 한국의 개미와 비슷하지만, 담긴 뜻은 더 처절하다. 손실을 ...

  •  분열의 시대, 기업의 생존 전략은

    분열의 시대, 기업의 생존 전략은

    작년 7월 17일 중국 난징시는 같은 달 말 열릴 예정이던 ‘애니메이션 코스프레’ 행사를 돌연 취소했다. 행사 자체는 일본과 직접적...

  •  불완전한 챗GPT, 규제도 필요

    불완전한 챗GPT, 규제도 필요

    “미국 의학계에서도 챗GPT가 이슈입니다. 얼마 전 한 응급의학과 의사가 챗GPT에 환자의 증세를 입력했더니 병명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근거로...

  •  헝그리정신 없이는 구글도 망한다

    헝그리정신 없이는 구글도 망한다

    최근 월가의 가장 뜨거운 이슈는 인플레이션이나 미 중앙은행(Fed)의 긴축이 아니다. 인공지능(AI) 챗봇이다.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은 지난 사흘간 시...

  •  IRA, 테슬라법 되나

    IRA, 테슬라법 되나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태생부터 기형적이다. 법안을 처음 고안한 민주당 주류엔 ‘설거지용’ 법안이었다. 조 바이든 대통...

  •  中·日관계를 다시 주목하는 이유

    中·日관계를 다시 주목하는 이유

    ‘중국과 일본은 여전히 가깝다.’중국이 지난 29일 일본인에 대한 비자 제한을 철회한 것을 보면서 든 생각이다. 중국과 일본은 역시...

  •  그들이 실리콘밸리에 남은 이유

    그들이 실리콘밸리에 남은 이유

    “설사 정리해고를 당한다고 해도 한국 기업으로 다시 돌아갈 생각은 없습니다.”최근 실리콘밸리에선 칼바람이 거세다. 하지만 정보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