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콘텐츠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을 읽은 것은 고등학생 시절 어느 겨울이었다. 몸이 아파 병석에서 그 책을 읽었는지 아니면 그 책을 읽자 몸이 아파졌는지는 분명...
미국과 러시아 사이의 냉전은 두 나라가 연합해서 추축국과 싸웠던 2차 세계대전이 채 끝나기 전에 시작됐다. 공산주의에 호의적이었던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
실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말끔하게 제거해준다는 공기 살균·소독제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는 모양이다. 살균제를 뿌려주는 스...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이 대폭 올랐다. 서울의 전년 대비 인상률은 19.9%이고 공무원과 공공기관 특혜분양 논란이 거센 세종시는 7...
지난주 중국 최대의 소셜미디어 웨이보는 나이키 운동화로 그야말로 불이 났다. 25일 오전 나이키 운동화 네 켤레를 ‘화형’에 처하는...
도덕적으로 옳고 그름의 기준은 ‘사회적 협동’의 관점에서 판단돼야 한다. 로빈슨 크루소 같이 고립돼 자급자족하는 개인은 자신의 행복...
한때 미얀마는 우리보다 잘살았다. 그런데 1960년대 초 비슷한 시기에 쿠데타가 일어나 두 나라가 모두 군부 통치의 진흙탕에 빠졌다. 한 세기가 바뀌어도...
경제적 자유는 경시하면서도 언론·사상·집회의 자유 등 시민적 자유와 참정권을 의미하는 정치적 자유는 중시하는 게 오늘날 사회주의...
정작 본인은 정치를 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히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대선 적합도 여론조사 1~2위다. 정치 전문기자, 칼럼니스트, 심지어 일반인까지 그가 ...
요즘 우리 사회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이슈 가운데 하나가 복지 문제다. 선거철을 맞아 원칙과 형평성이 심히 부족한 돈 뿌리기가 난무하고 있다. 코로나19...
연일 확진자가 400명을 웃돌고 있다.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집단감염도 심각하고,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은밀한 전파도 계속되고 있다. 언제라도 전국적 ...
재정 포퓰리즘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여야의 정치적 담합으로 일사천리 국회를 통과했다. 코로나19 재난 극복을 위한 4차 재난지원...
게임이론은 사람들의 유인을 분석해 전략적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관찰될지를 예측한다. 게임이론을 정치적 투표 분석에 적용한 이론 중에 중앙투표자 정리(me...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어디를 선택해야 합니까?”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전쟁으로 시작된 미·중 무역전쟁이 중국 자...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들이 개발이 예정된 토지를 사놓은 일은 도덕적 기반이 많이 허물어진 우리 사회에서도 충격적인 사건이다. 내부자 거래는 어느 사...
3월 3일은 ‘납세자의 날’이다. 필자는 대학에서 세무를 강의하면서 33년째 세법개론 교과서를 발간했다. 1989년부터 2000년까...
경제란 무엇인가? 《세속적 철학자들》의 저자로 잘 알려진 경제학자 로버트 헤일브로너에 따르면, 사회가 필요로 하는 물질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경제다....
백악관 주인이 바뀐 지 벌써 한 달이 됐다. 지금 세계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미국의 리더십 회복과 미·중 패권전쟁의 향배다. 당장 워싱턴...
문재인 정부가 내놓는 정책은 하나같이 좌파 사회주의 색깔이 뚜렷하다. 나눔, 배려, 포용, 유대 등 사회주의 체제에 고유한 도덕적 가치를 전제하는 정책을...
영국의 헨리 8세는 100%에 가까웠던 은화의 은 함량을 25%로 줄였다. 그러자 금화가 유통에서 사라졌다. 1558년 엘리자베스 1세가 집권한 뒤 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