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외야수 요시다 마사타카(29)가 잭폿을 터뜨리며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 입성했다.
MLB닷컴, ESPN 등 미국 현지 복수 매체들은 8일(한국시간) "요시다가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기간 5년, 9천만 달러(약 1천186억원) 규모의 대형 계약을 맺었다"고 보도했다.
ESPN은 "일본 프로야구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활약한 요시다는 포스팅 시스템으로 미국 진출을 노렸고, 계약 개시 첫날 보스턴과 도장을 찍었다"며 "보스턴은 오릭스 구단에 포스팅 비용 1천537만5천달러를 지불하는 등 요시다를 영입하기 위해 총 1억540만 달러(1천388억원)를 지출했다"고 전했다.
요시다는 빼어난 출루 능력과 장타력을 겸비한 일본프로야구 슈퍼스타다.
그는 프로 데뷔 2년 만인 2017시즌부터 올 시즌까지 매년 3할대 고타율을 작성했다.
2022시즌엔 타율 0.335, 21홈런, 88타점을 올리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그는 2020시즌, 2021시즌 퍼시픽리그 타격왕에 올랐고, 2021시즌과 올 시즌엔 2년 연속 퍼시픽리그 OPS(출루율+장타율)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ESPN은 "요시다는 특히 선구안이 뛰어나다"며 "2022시즌 80개의 볼넷을 얻어내는 동안 삼진은 41차례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포스팅시스템은 자유계약선수(FA) 신분이 아닌 MLB 이외 리그 소속 선수가 빅리그 진출에 도전할 경우 원소속팀 허락을 받은 뒤 MLB 구단들과 계약 협상을 하는 규약이다.
원소속팀은 계약 규모에 따라 이적 구단으로부터 포스팅 금액을 받을 수 있다.
일본 최고의 외야수가 포스팅 총액 1억 달러를 돌파하면서 KBO리그 최고의 외야수 이정후(키움 히어로즈)의 몸값에도 관심이 쏠린다.
2023년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연봉 조정청문회가 막을 올렸다. 최지만(32·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올해 연봉은 이달 중순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2일(한국시간) AP통신에 따르면, MLB 연봉조정위원회는 이날 올해 첫 평결을 내고 시애틀 매리너스 구단의 손을 들어줬다. 시애틀의 구원 투수 디에고 카스티요는 올해 연봉으로 322만5천달러를 요구했지만, 연봉 조정 청문 패널 세 명은 295만달러를 제시한 시애틀 구단의 편을 들었다. 연봉 조정위원회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 외야수 헌터 렌프로의 청문회도 진행했으며 조만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달 18일까지 23명의 선수와 소속 구단이 연봉 조정위원회의 결정을 기다린다. 연봉 조정위원회는 빅리그에서 풀타임 3년 이상을 뛴 선수와 그의 소속 구단이 연봉에 합의하지 못했을 때 이를 중재하는 일을 한다. 세 명의 패널이 양측의 의견을 듣고 한쪽의 의견을 최종 연봉으로 결정한다. 최지만은 2023년 연봉으로 540만달러(약 66억원)를 희망했고, 피츠버그는 465만달러(57억원)로 평행선을 달리다가 연봉 조정위원회에 이르렀다. 최지만은 2년 전에도 전 소속팀 탬파베이 레이스와 연봉 조정위원회에서 맞붙어 185만달러를 제시한 탬파베이를 꺾고 자신이 원했던 245만달러를 연봉으로 받아냈다. /연합뉴스
올겨울 세 차례나 방출대기 시련을 겪었던 박효준(27)이 소속 팀 빅리그 구단인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스프링캠프에 초청받지 못했다.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애틀랜타 구단은 2일(한국시간) 2023시즌 스프링캠프에 참가하는 26명의 초청 선수 명단을 공개했고, 박효준은 이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애틀랜타 스프링캠프는 빅리그 로스터에 포함된 40명과 26명의 초청 선수 등 총 66명이 훈련한다. 빅리그 훈련 기회조차 잡지 못한 박효준은 사실상 전력 외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여 난관이 예상된다. 박효준은 2021년 MLB 승격에 성공했고, 2022년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 빅리그 23경기에 출전해 타율 0.216, 3홈런, 14타점의 성적을 올리며 가능성을 인정받는 듯했다. 그러나 박효준은 2022시즌을 마친 뒤 방출대기 돼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됐다. 그는 보스턴에서도 방출됐고, 애틀랜타에 새 둥지를 틀었다. 시련은 계속됐다. 박효준은 애틀랜타에서 또다시 방출대기 된 뒤 영입 의사를 밝힌 팀이 나오지 않아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박효준은 새 시즌 애틀랜타 산하 마이너리그 트리플 A 구단인 귀넷 스트라이퍼스 소속으로 뛰게 된다. 입지가 좁아진 박효준은 최근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표팀 승선도 불발됐다. /연합뉴스
팀당 162경기 대장정 시작…인터리그 20→46경기로 대폭 확대샌디에이고, 4월 30일 멕시코에서 샌프란시스코와 2연전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서 세 번째 시즌을 맞이하는 김하성(28·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이 콜로라도 로키스와 맞대결로 출발한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1일(한국시간) MLB 개막전을 포함한 정규시즌 일정을 확정해 발표했다. 김하성의 소속팀 샌디에이고는 우리 시간으로 3월 31일 오전 6시 10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펫코 파크에서 콜로라도와 개막 2연전을 시작한다. ESPN이 개막전에 1번 타자 2루수로 출전할 것으로 예상한 김하성은 지난 시즌 콜로라도를 상대로 19경기에 출전해 타율 0.277, 18안타, 8타점을 올렸다. 같은 시간에는 최지만(31)의 새 소속팀인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프로그레시브 필드에서 신시내티 레즈와 개막전을 치른다. 최지만은 4번 타자 1루수로 나설 전망이다. 지난 시즌 막판 피츠버그에서 빅리그 데뷔에 성공한 배지환(24)도 데뷔 첫 개막전 출전을 노린다. 코리안 빅리거 맏형 류현진(36)의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부시 스타디움에서 열릴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방문 경기로 2023시즌을 시작한다. 지난해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을 받고 7월 중 복귀가 목표인 류현진은 이번 시즌으로 토론토와 4년 계약이 끝난다. 한국인 빅리거의 맞대결도 기다린다. 김하성의 샌디에이고와 최지만의 피츠버그는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 동안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PNC파크에서 3연전을 벌인다. 7월 25일부터는 펫코 파크로 장소를 옮겨서 다시 3경기를 치른다. 류현진과 김하성의 사상 첫 맞대결 성사 여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