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울루 벤투(포르투갈) 감독의 후임으로 한국 축구대표팀 사령탑이 처음 치르는 경기가 한일전이 될까. 3월 A매치 상대 후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일본축구협회 고위 관계자가 한일전도 고려할만하다고 언급했다. 스포츠호치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소리마치 야스하루 일본축구협회 기술위원장은 2일 기술위원회 회의 후 취재진과 진행한 온라인 인터뷰에서 일본 국가대표팀의 3월 A매치 상대국과 관련한 상황을 설명했다. 일본은 올해 첫 국제축구연맹(FIFA) A매치 주간(3월 20∼28일)인 3월 24일(도쿄)과 28일(오사카)에 국가대표팀 친선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소리마치 위원장은 일본의 상대국과 관련해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강호를 찾고 있는 단계다"라고 밝혔다. 그는 "FIFA 랭킹이 일본보다 위이고, 월드컵 단골 출전 국가가 우리에게는 고맙다"라고 상대국의 기준을 제시했다. 현재 일본의 FIFA 랭킹은 20위이고, 한국은 25위다. 이날 인터뷰에서 FIFA 랭킹은 일본보다 낮지만 한국과의 대결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소리마치 위원장은 "확실히 한국도 월드컵 16강에 진출한 강국이니 고려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아시아 국가는 3월 A매치 기간 친선경기 상대를 고르기가 여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기간 유럽에서는 2024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2024) 예선이 열린다. 북중미-카리브해 지역에서는 2022-2023시즌 네이션스리그를, 아프리카에서는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치른다. 결국 남미나 아시아 국가 중에서 A매치 상대를 찾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역시 3월 A매치 기간 두 차례 친선경기를 치르려는 우리나라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2022 카타르 월드컵을 끝으
신태용 인니 대표팀 감독 아들…"자신감 가지라는 말씀 가장 많이 해주시죠" 신태용(53) 인도네시아 축구 대표팀 감독의 아들인 신재원(25)이 아버지가 '레전드'로 남아 있는 K리그2 성남FC에서 선수 생활의 전성기를 꿈꾸고 있다. 신재원은 2일 경남 남해스포츠파크에서 열린 K리그 동계 훈련 미디어캠프에서 "성남에 오게 돼서 감사하다. 올해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임하고 있다"며 "팀의 목표가 1부 승격인 만큼 저도 그걸 이룰 수 있게 힘이 되겠다"고 새 시즌 각오를 밝혔다. 신재원은 어린 시절부터 신 감독의 아들로 잘 알려졌지만, 울산 학성고와 고려대에서 핵심 역할을 하며 자신의 기량만으로도 유망주로 존재감을 떨친 선수다. 그 덕에 2019시즌을 앞두고 K리그1 FC서울에 자유 선발을 통해 프로 무대를 밟았으나 아직은 프로의 높은 벽을 실감하는 중이다. 서울에서 첫해 리그 2경기 출전에 그친 뒤 2020년 K리그2 안산 그리너스로 임대됐고, 복귀한 2021년 서울에서도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지난 시즌엔 K리그1 수원FC로 이적했으나 7경기 출전에 그쳤고, 결국 또 한 번 팀을 옮기게 됐다. 신재원은 "성남의 제의가 왔을 때는 크게 고민하지 않았다. 저에게 아주 특별한 팀이었기 때문"이라고 단언했다. 성남은 아버지 신태용 감독의 족적이 거대하게 남은 곳이다. 신 감독은 1992년부터 2004년까지 선수로 401경기에 출전해 99골 68도움을 남겨 성남의 '레전드'로 꼽힌다. K리그에선 성남 유니폼만 입었던 신 감독은 1992년 신인상, 1995년과 2001년 최우수선수상(MVP)을 받았고, K리그 베스트11 9회, K리그 최초 60(골)-60(도움)클럽 가입을 일궜다. 신 감독이 뛰는 동안 성남은 K리그, 대한축구협회(FA)
"감독 자리 떠나보니 소중함 절감…'무한 경쟁' 통해 도전적인 축구 펼치고파" K리그2 성남FC 지휘봉을 잡고 프로축구 현장 지도자로 복귀한 이기형(49) 감독은 '이기는 형'이라는 별명에 걸맞은 성적으로 1부리그 복귀를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불태웠다. 이 감독은 2일 경남 남해스포츠파크에서 열린 K리그 동계 전지 훈련 미디어캠프에 참석해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고 새로운 선수들과 함께 새로운 팀으로 새로 출발한다는 각오로 팀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2020시즌 부산 아이파크 감독대행을 끝으로 현장 지도자로 나서지 못했던 이 감독은 지난 시즌 K리그1 최하위에 머문 성남의 지휘봉을 지난해 12월부터 잡고 프로 사령탑으로 복귀했다. 성남 선수단은 지난달 태국 치앙마이에서 구슬땀을 흘렸고, 1일부터 18일까지 남해에서 2차 훈련을 진행한다. 이 감독은 "강도 높은 훈련을 통해서 선수들을 빨리 알아갔다. 미팅과 소통으로 전술이 생각보다 빠르게 입혀져 연습 경기 결과도 좋았고, 선수들의 공격과 수비 전술 이해도도 높아졌다"며 "짧은 시간을 고려하면 성과는 만족스럽다"고 자평했다. 지상 목표는 단연 '승격'이다. 이 감독은 "일단은 '다이렉트' 승격을 원하고 있다. 다만 시즌을 치르다 보면 여러 가지 변수도 있을 테니 플레이오프를 가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승격을 목표로 두고 있다"고 힘줘 말했다. 지휘봉을 내려놓는 동안 한국프로축구연맹 기술연구그룹(TSG)에서 활동한 시간은 복귀를 꿈꾸고 준비하는 밑거름이 됐다. 이 감독은 "TSG로 일하면서 감독으로 복귀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더라. 추후 팀을 맡게 되면 어떻게 할지 데이터를 쌓아왔는데, 그게 지쳐갈 때쯤 팀을 맡게 돼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