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철 감독, 최지만 합류 불발되자 공·수·주 갖춘 외야수 최지훈 대체 발탁 KBO리그를 대표하는 외야수로 성장하고도 골든글러브 시상식과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표팀 선발에서 연거푸 고배를 마신 최지훈(26·SSG 랜더스)에게 모처럼 '희소식'이 날아왔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6일 "피츠버그 파이리츠 최지만이 소속 팀 반대로 WBC에 출전하지 못하게 됐다"며 "최지훈을 대체 선수로 선발했다"고 밝혔다. 최지훈은 이날 구단을 통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며 "영광스러운 자리에 선발해주신 만큼 뽑아주셨으니 책임감을 있게 뛰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지난해 50인 관심 명단에 뽑혔을 때부터 최정 선배님이 '너는 갈 수 있다. 같이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같이 가서 좋은 경험도 하고, 그러다 보면 야구도 많이 늘 거다'라고 계속 말씀해주셨다"며 "그 말이 현실로 되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는데, 늦게나마 같이 갈 수 있게 되어 기쁘다. 주전으로 나가지는 못하겠지만, 맡은 역할 최선을 다해 대표팀이 좋은 성적 거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강철(kt) 대표팀 감독과 기술위원회는 팔꿈치 뼛조각 수술을 받은 최지만의 대표팀 차출을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 피츠버그 구단이 반대할 것을 대비해 대체 자원을 두루 살폈다. 최지만은 1루수 요원이지만, 대체 선수를 굳이 1루수로 한정할 필요는 없었다. 한국 야구대표팀 엔트리에는 박병호와 강백호(이상 kt) 등 1루수 요원과 외야수 중에도 1루수로 뛸 수 있는 선수가 있다. 이 감독과 기술위원회의 선택은 공·수·주 능력을 겸비한 우투좌타 외야수 최지훈이었다. 최지훈은 지난해 KBO리그에서 정규시즌(144
최지만, 소속팀 반대로 WBC 출전 무산…대체 선수 최지훈 합류"1루수 박병호 빠르게 회복…단기전엔 1루 자원보다 유틸리티 자원 필요" 조범현 한국야구위원회(KBO) 기술위원장은 1루수 최지만(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빈자리에 외야수 최지훈(SSG 랜더스)을 선발한 배경에 관해 "기존 1루수 박병호(kt wiz)의 회복 속도와 승부치기 등을 대비한 유틸리티 자원의 필요성을 두루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조범현 위원장은 6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최지만이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출전할 수 없다는 연락을 받기 전부터 여러 가지 안을 놓고 고민했다"며 "(1루수 자원인) 오재일(삼성 라이온즈), 채은성(한화 이글스) 등도 후보에 올랐지만 이강철 대표팀 감독 등 코치진과 상의한 끝에 외야수 최지훈을 선발했다"고 전했다. 이날 KBO는 최종 엔트리에 포함했던 최지만의 WBC 불참 소식을 알리면서 대체 자원으로 최지훈을 선발했다고 발표했다. 최지만은 지난해 11월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았고, 피츠버그는 선수의 부상이 염려된다며 WBC 사무국에 출전 불가 의사를 전달했다. 보통 기존 선수가 빠지면 해당 포지션의 선수를 대체 선발하기 마련이지만 대표팀은 다른 포지션의 선수를 뽑았다. WBC 대표팀은 최지만이 빠지면서 1루수 자원이 박병호, 강백호(kt) 등 두 명으로 줄었고, 외야수는 5명에서 6명으로 늘었다. 조범현 위원장은 "당초 1루수를 3명 뽑은 건 박병호의 수비 출전이 불투명했기 때문"이라며 "박병호는 정상 컨디션으로 WBC에 출전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하더라"라고 밝혔다. 박병호는 지난해 9월 오른쪽 발목 앞뒤 인대 파열 부상으로 이탈한 뒤 회복과 재활에 전념
이강철 감독, 최지만 합류 불발되자 공·수·주 갖춘 외야수 최지훈 대체 발탁 KBO리그를 대표하는 외야수로 성장하고도 골든글러브 시상식과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표팀 선발에서 연거푸 고배를 마신 최지훈(26·SSG 랜더스)에게 모처럼 '희소식'이 날아왔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6일 "피츠버그 파이리츠 최지만이 소속 팀 반대로 WBC에 출전하지 못하게 됐다"며 "최지훈을 대체 선수로 선발했다"고 밝혔다. 이강철(kt) 대표팀 감독과 기술위원회는 팔꿈치 뼛조각 수술을 받은 최지만의 대표팀 차출을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 피츠버그 구단이 반대할 것을 대비해 대체 자원을 두루 살폈다. 최지만은 1루수 요원이지만, 대체 선수를 굳이 1루수로 한정할 필요는 없었다. 한국 야구대표팀 엔트리에는 박병호와 강백호(이상 kt) 등 1루수 요원과 외야수 중에도 1루수로 뛸 수 있는 선수가 있다. 이 감독과 기술위원회의 선택은 공·수·주 능력을 겸비한 우투좌타 외야수 최지훈이었다. 최지훈은 지난해 KBO리그에서 정규시즌(144경기)과 한국시리즈(6경기), 전 경기에 출전했다. 정규시즌 성적은 타율 0.304, 10홈런, 61타점, 31도루였다. SSG는 개막전부터 정규시즌 종료일까지 1위 자리를 지키는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달성했고, 최지훈은 '일등 공신'으로 분류됐다. SSG는 최지훈의 연봉을 1억5천만원에서 3억원으로 100% 인상했다. 하지만 최지훈은 2022년 KBO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에서 4위에 그쳐 수상에 실패했다. KBO 공식 기록업체 스포츠투아이가 계산한 최지훈의 대체선수대비승리기여(WAR)는 5.48로 타자 중 4위였다. 타자 1∼3위는 모두 외야수였다. 정규시즌 최우수선수에 오른 이정후(키움 히어로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