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핸드볼 사상 최초의 외국인 국가대표 사령탑인 홀란도 프레이타스(57·포르투갈) 감독과 킴 라스무센(50·덴마크) 감독이 한국과 유럽의 강점을 잘 융합해 한국 핸드볼의 국제 경쟁력을 되찾겠다고 다짐했다.
대한핸드볼협회는 16일 오전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남자 대표팀을 이끌게 된 프레이타스 감독과 여자 국가대표 사령탑에 선임된 라스무센 감독의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도쿄올림픽이 끝난 뒤 사상 최초의 외국인 국가대표 감독 선임 계획을 발표했고, 이달 초 프레이타스 감독과 라스무센 감독을 선임했다.
여자 대표팀을 맡은 라스무센 감독은 "북유럽식 코칭 방식과 한국의 장점을 융합해 국제무대에 통하는 핸드볼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한국은 창의적인 플레이가 돋보이는 팀"이라고 말했다.
라스무센 감독은 폴란드, 헝가리, 몬테네그로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고, 2016년에는 루마니아의 부쿠레슈티를 유럽 챔피언스리그 정상으로 이끈 지도자다.
라스무센 감독은 "감독으로서 매 경기 이기고 싶다"며 "물론 질 때도 있겠지만 그런 실패를 통해 발전하는 팀이 되고, 앞으로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겠다"고 다짐했다.
또 "아직 선수들과 만나지 못해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기는 어렵다"며 "팀워크와 소통을 중요한 가치로 삼아 좋은 성적을 내겠다"고 덧붙였다.
남자 대표팀 지휘봉을 잡은 프레이타스 감독은 "한국은 역시 빠른 팀"이라며 "그런 스피드를 유럽식 장점에 더해 새로운 스타일의 핸드볼을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2015년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에 포르투갈 대표팀을 이끌고 출전, 금메달을 획득한 프레이타스 감독은 "무엇보다 팀으로서 전술적으로 잘 훈련된 팀의 모습을 보여드리겠다"며 "예전 국제 대회에서 한국 특유의 핸드볼에 유럽 선수들이 감탄하면서 보던 때가 있었는데 그런 모습을 재현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몸싸움이나 파워 등이 다소 부족하지만 유럽이 강점을 보이는 이런 부분을 잘 접목하면 더 좋은 경기력을 보일 수 있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남자 대표팀 강전구(두산), 여자 대표팀 오사라(경남개발공사)가 동석해 신임 국가대표 감독을 환영했다.
두 선수는 "외국인 감독은 처음이지만 한국과 유럽 핸드볼의 강점을 잘 융합하면 앞으로 우리나라 핸드볼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남자 대표팀은 2023년 1월 폴란드와 스웨덴이 공동 개최하는 세계선수권을 준비하고, 여자 대표팀은 올해 12월 우리나라가 개최할 예정인 아시아선수권이 당면 목표 대회다.
올해 9월 열릴 예정이던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2023년에 열릴 경우, 그 대회와 2024년 파리올림픽이 두 외국인 감독들의 최종 지향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남녀 대표팀은 17일 진천 선수촌에 입촌해 훈련을 가하며 6월 이후 외국 전지 훈련도 계획 중이다.
'위더스제약 2022 민속씨름 평창평화장사씨름대회'가 7월 4일부터 8일까지 강원도 평창군 진부생활체육관에서 개최된다. 대한씨름협회가 주최하고 평창군체육회, 평창군씨름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대회에는 17개 실업팀 160명의 선수가 참여해 체급별 개인전(태백·금강·한라·백두)에서 경쟁한다. 단체전에는 14개 팀이 참가한다. 대회 첫날 태백급(80㎏ 이하) 예선을 시작으로 이후 태백장사 결정전, 금강장사(90㎏ 이하) 결정전, 한라장사(105㎏ 이하) 결정전, 백두장사(140㎏ 이하) 결정전, 단체전이 차례로 열린다. 대회는 모두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예선전부터 준결승전(3·4위전 포함)은 3전 2승제, 체급별 장사 결정전은 5전 3승제로 치러진다. 모든 경기는 유튜브 채널 '샅바 TV'에서 볼 수 있고, 7월 5∼8일에 열리는 경기는 MBC 스포츠 플러스에서 생중계된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부터 '장기 다이어트'…65∼66㎏ 감량 목표 6개월 넘게 이어진 '식단 조절'에 우상혁(26·국군체육부대)은 가끔 어지럼증도 느낀다. 하지만, 식단 조절의 효과를 확인한 그는 금빛 도약을 위해 식욕을 꾹 누른다. 우상혁은 미국 유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출전하고자 30일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에 들어서기 전 "계속 적게 먹어서 어지럼증도 느낀다. 앉았다가 일어날 때 휘청하기도 한다. 기립성 저혈압이 의심될 정도"라고 웃으며 "그래도 출국 전에 음식량을 조금 늘렸다. 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좋은 음식을 먹었다"고 말했다. 키 188㎝의 우상혁은 최근 67∼69㎏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7월 15일 미국 오리건주 유진에서 개막하는) 이번 세계선수권은 65∼66㎏으로 체중을 줄여서 경기를 치를 생각"이라고 말했다. 우상혁은 올해 내내 '다이어트의 괴로움'을 토로했다. 최근에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채소가 가득한 자신의 식판과 양념한 고기를 가득 담은 지인의 식판을 동시에 올리며 '장기 다이어터'의 설움을 표현하기도 했다. 우상혁은 "내가 정말 한식을 좋아한다. 한식의 중심인 쌀밥과 맵고 짠 음식이 정말 좋다"고 말하면서도 "지난해 12월부터 채소와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하고 있다. 밥은 거의 먹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을 때는 '양'을 크게 줄인다"고 밝혔다. 그는 "다이어트는 오늘부터, 내일이면 늦는다"고 스스로 다그치며 6개월을 버텼다. 식단 조절의 괴로움을 참을 수 있는 건, 이미 효과를 확인했기 때문이다. 국제 대회에서는 우상혁을 위해 직접 요리도 하는 김도균 한국육상대표팀 수직도약 코치는 "식단 조절, 즉 체중 조절은 자기 관리의 기초다. 우상혁은 지
같은 해 실내외 세계선수권 석권한 점퍼는 소토마요르 단 한 명높이뛰기 실내외 세계선수권 1위에 오른 선수도 역대 4명뿐 '진기록' 불모지 한국 육상에서 탄생한 '세계 최정상급 점퍼' 우상혁(26·국군체육부대)이 '전설' 하비에르 소토마요르(55·쿠바)만이 달성한 '남자 높이뛰기 같은 해 실내·실외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석권'에 도전한다. 올해 3월 20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2022 세계실내육상선수권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4를 뛰어 우승한 우상혁은 오는 7월 15일 미국 오리건주 유진에서 개막하는 2022 세계(실외)육상선수권에서도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다. 우상혁도 우승을 갈망한다. 지난해 열린 2020 도쿄올림픽 공동 1위 무타즈 에사 바심(카타르), 장마르코 탬베리(이탈리아)와 함께 '남자 높이뛰기 빅3'로 분류된 우상혁은 2022년 국제대회에서 4차례나 우승(2월 6일 체코 후스토페체 2m36·2월 16일 슬로바키아 반스카 비스트리차 2m35·3월 20일 세계실내육상선수권 2m34·5월 14일 도하 다이아몬드리그 2m33)하며 '현재 최고 기량을 갖춘 선수'로 조금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우상혁은 30일 미국으로 출국하며 "소토마요르는 높이뛰기의 전설적인 선수다. 소토마요르와 같이 언급되는 건 기분 좋은 일"이라며 "세계실내선수권에서 우승했으니, 유진에서도 금메달을 따겠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기록을 갈망한다. 역사를 쓰고 싶고, 이름을 남기고 싶다. 죽을 만큼 노력해야 최초 기록에 닿을 수 있다"며 "감히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건, '정말 열심히 체계적으로 준비했다는 것'이다. 얼마나 열심히 노력했는지 경기에서 보여주려고 한다.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할 기회가 왔다. 꼭,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