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는 오산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신문은 9ㆍ10일 주말판에서 신흥경제국이 개최했다는 점에서 베이징 올림픽과 유사한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비교하며 사실상 올림픽 이후 이들 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오히려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멕시코는 올림픽이 개최되기까지 20년 동안 평균 실질 경제성장률이 6.3%에 달했다.

그러나 올림픽 직전 정부가 학생 시위대를 대량학살하는 사태가 터지면서 정부의 권위가 훼손됐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정치가 포퓰리즘으로 빠지면서 경제 위기를 초래했다.

멕시코의 경제성장률은 올림픽 이후 20년 동안 평균 4.5%로 뚝 떨어졌고, 그 이후 더 하락했다.

한국은 올림픽을 개최한 해인 1988년 경제성장률이 10.6%였고, 1988년까지 3년 연속 두 자릿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올림픽 이후에는 결코 두 자릿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지 못했고, 1997년에는 외환위기까지 겪었다.

서울 올림픽 이전 20년 동안 경제성장률은 평균 9.2%였으나 서울 올림픽 이후 20년 동안 경제성장률은 5.7%로 떨어졌다.

올림픽을 개최할 즈음 멕시코와 한국은 불완전한 민주 정치와 통제된 정실 자본주의가 결합돼 경제성장에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과열된 산업화 시기를 겪은 두 나라는 올림픽 종료 후 정부의 통제를 받는 경제성장의 한계를 보였고, 훨씬 더 큰 역작용에 시달려야 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는 분석했다.

중국의 상황 역시 비슷하다.

중국 당국은 주식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인지세를 올렸다가 인하하는 등 개입했으나 시장을 통제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중국증권감독위원회는 올림픽을 앞두고 지난달 "안정이 최우선 과제"라며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부정적 논평을 삼가달라고 주문하는 회람을 금융거래인들에게 돌렸다.

그러나 시장의 안정은 공문서 정도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고 파이낸셜 타임스는 꼬집었다.

수출은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중국산 물품의 시장인 미국과 유럽이 전면적인 경기침체에 빠져들 경우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장담할 수 없다.

중국처럼 급격한 경제성장을 하는 나라에서는 물가도 복병이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위안화의 평가절상을 허용해야 하지만, 이는 수출에 찬 물을 끼얹을 수 있다.

멕시코와 한국의 실례로 볼 때 중국 경제는 올림픽이 끝난 후 앞에 놓인 장애물을 피해가기 위해 고전할 것이라고 파이낸셜 타임스는 진단했다.

(런던연합뉴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