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가 국민들 일상속으로 급속히 파고 들면서 골프인구 3백만명 시대가 오고 있다. 이제 웬만한 모임에서는 골프가 주요 화젯거리로 등장하고는 한다. 박세리 최경주의 경기가 중계되는 날에는 많은 골퍼들이 밤잠을 설친다. 그러나 국내 골프사정은 '세계에 알려진 한국골프'와는 사뭇 다르다. 서울 근교 골프장은 예나 지금이나 부킹난에 시달리고 있다. 골프장 하나를 건설하려면 '수많은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골프장이나 골프용품에는 여전히 높은 세금이 부과되고 있다. 일부 국민이나 매스컴에서는 여전히 골프앞에 '사치성'이라는 수식어를 갖다붙이곤 한다. 2003년 본격시즌을 앞둔 3월, 한국골프의 현주소를 알아본다. 지난해 국내 골프장 내장객수(연인원)는 1천4백24만명이었다. 2001년에 비해 11.2% 늘어난 것이다. 한 골퍼가 연평균 4~5회 골프장을 간다고 했을때 순수 골프인구는 2백70여만명으로 추산된다. '코리아의 스타'들이 우후죽순처럼 늘고 있는 점도 대중화를 촉진하고 있다. 불과 5년전만 하더라도 세계적 골프스타는 박세리뿐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최경주를 필두로 김미현 박지은 허석호 등이 세계 정상에 접근해 있다. 간판급 선수들의 활약과 방송사의 앞다툰 중계 등 골프대중화를 위한 선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또 골프시장 규모가 나날이 커가면서 이제는 무시못할 '산업'이 돼가고 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골프관련 시장은 총 7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골프회원권 시장(양.수도)이 2조7천9백6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골프장 매출액이 1조6천3백38억원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또 골프의류가 1조2천억원, 골프용품(클럽 볼 신발 장갑 등)이 7천억원, 골프연습장 매출액이 5천7백5억원에 달한다. 현재 국내에는 총 1백65개의 골프장이 영업중이며 올해 새로 개장되는 골프장만 약 15개에 달한다. 하지만 골프대중화를 가로막는 요인들도 적지 않다. 우선 기업의 골프접대비가 '손비'로 처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기업들의 골프접대비가 손비처리되지 않으면 기업인들의 골프장행이 지금보다 줄어들수밖에 없다. '참여정부'에서 시민단체의 목소리가 점점 커가고 있다는 점도 그렇다. 특히 환경단체들이 자연보호를 앞세워 골프장 건설을 극력 막는다면 골프장 공급은 더 한계상황으로 치달을수 밖에 없다. 경기침체도 골프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 공교롭게도 새 정부가 출범한 시점을 전후하여 국내 경기가 침체될 조짐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계좌당 5억원을 넘는 회원권이 일본처럼 10분의 1 이하로 떨어지지 말라는 법이 없다. 이와 함께 '골프관련 세금'이 어떻게 변화하느냐에 따라 한국 골프의 앞날이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골프는 엄연히 체육시설인데도 아직도 관련 산업은 사치성으로 분류돼 과세되고 있다. 골프관련 시설이나 용품에 일반세율보다 높은 고율의 세금이 부과되는 것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골프장의 종토세나 재산세 특소세는 일반세율의 5~17.5배까지 중과되고 있다. 이는 물론 그린피 인상 요인이 되어 대중화를 가로막는다. 골프클럽에도 약 28%의 특소세가 부과된다. 오히려 국산클럽이 세제상 불이익을 당하는 일도 있어 외화를 낭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골프장이나 골프용품에 부과되는 고율의 세금을 일반과세로 전환하거나 아예 폐지하지 않는한 서민들이 골프에 접근하기는 당분간 쉽지 않을 것같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