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는 경사진 눈밭에서 짜릿한 속도감을 즐기는 스포츠로 15분이상 활강
하면 대퇴부 둔부 복부의 근육이 단단해지고 맥박도 빨라지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순간적인 실수가 곧바로 부상으로 이어질 염려가 크다.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안진환(정형외과) 교수의 도움말로 스키부상 발생
양상과 예방수칙을 알아본다.

<> 스키부상의 형태 =통계에 따르면 염좌(삠)가 41%로 가장 많고 골절 33%,
피부열상및 찰과상 11%, 타박상 5%, 관절탈구 3%의 순을 차지한다.

골관절에 생긴 부상이 77%에 이른다.

부상부위는 하지가 72%로 가장 많고 상지 20%, 몸통 3.6%, 두부가 3.1%
순이다.

하지는 무릎 46%, 하퇴부(정강이) 30%, 발목 16%, 대퇴부 8% 순으로 많다.

상지는 엄지손가락부상이 37%로 가장 많다.

어깨부상이 30%를 차지하는데 20세이하의 어깨탈구는 재발이 잘 되므로
처음 치료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스키장비와 부상의 상관관계 =스키플레이트와 부츠를 연결하는 바인딩은
스키부상의 양상을 크게 좌우한다.

바인딩이 풀리면 하지손상 55%, 상지손상 32%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비해
바인딩이 풀리지 않으면 하지손상 80%, 상지손상 12%의 비율을 보여 하지
손상의 위험이 커진다.

또 손상시의 바인딩상태를 보면 모두 풀리지 않은 경우가 48%, 양쪽 모두
풀린 경우가 35%, 한쪽만 풀린 경우가 17%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엄지손가락 부상은 폴을 쥐고 있느냐 여부에 좌우되는데 양쪽 폴을 쥐고
있는 경우에는 71%의 높은 부상빈도를 나타내는 반면 양손을 모두 놓으면
19%, 한쪽 폴만 쥐고 있으면 10%가 다친다.

<> 시간대별 스키부상 추이 =외국의 경우 요일별로는 주말에 평일보다
3배이상 부상환자가 발생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목요일에 스키어 1천명당 7.2명이 부상한 반면 일요일
에는 2.8명이 다친다.

외국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시간에 충돌로 인한 사고가 흔하나
국내에서는 자신감이 지나친 경력 스키어들의 방심과 과속으로 한적한
평일에 사고를 많이 당한다는 분석이다.

하루중에는 오전 32%, 오후 68%의 사고빈도를 나타냈으며 오전 10~11시께
부상이 가장 적고 오후3~5시께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의 36%를 차지한다.

또 스키를 타기 시작한뒤 평균 3시간 정도 지났을때 부상이 가장 많이
발생해 체력이 부칠때 과욕을 부리다 다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스키휴가의 경우 체력이 많이 소모된 3일째에 가장 많이 다치고 있다.

<> 스키부상 예방수칙 =첫째 충분한 체력을 유지해야 한다.

스키에 주로 사용되는 대퇴부 둔부 복부의 근육을 평소에 단련해 둔다.

심폐기능향상을 위해서는 여름철부터 사이클 달리기를 해두는 것이 좋다.

둘째 장비의 준비및 점검을 철저히 한다.

스키부츠는 반드시 자기 발에 맞춰 신고 바인딩 플레이트 폴의 작동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헬멧 고글 등 보호장비를 착용한다.

셋째 기초적인 스키기술을 연마한다.

스키부상의 요인가운데 가장 흔한 것이 트레이닝 소홀이다.

넷째 슬로프의 안전을 미리 점검한다.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초보스키어에게 이른 아침 눈이 수북히 쌓였거나
눈이 녹았다가 얼어 빙판을 이룬 슬로프는 위험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다섯째 피로가 느껴지면 즉각 스키를 중단해야 큰 사고를 막을수 있다.

활강중에라도 피로를 느끼면 옆으로 비켜 안전지대로 내려와야 한다.

또 음주상태에서 스키를 타면 순발력이 떨어지고 순간판단력이 둔화돼
과동작을 유발하고 위험시 제동이 어려우므로 절대 금물이다.

여섯째 시작전에 충분한 스트레칭을 한다.

스키를 타기전 적어도 10분 이상 스트레칭을 해 근육을 유연하게 풀어줘야
한다.

부상자중 사전준비운동을 하지 않은 경우가 77%에 이른다.

스키를 타고 난 뒤에도 정리운동으로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면 이튿날 더욱
안전하게 스키를 탈 수 있다.

일곱째 넘어질때는 체중이 엉덩이쪽으로 실리도록 하면서 몸을 약간 옆으로
돌려 서서히 주저앉듯 넘어져야 안전하다.

또 과거 부상으로 인한 심리적 공포감에서 벗어나야 부상위험이 줄어든다.

부상원인을 분석해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여덟째 기량 습득이 어렵고 심폐장애가 있거나 나이가 많아 스키에 자신이
없는 사람들은 활강보다는 크로스 컨트리 형태의 스키가 안전하다.

스키는 여름철 운동못지 않게 수분과 체력이 소모되므로 물과 고영양식을
충분히 먹고 눈밭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막기 위해 자외선 차단크림을
바르는게 좋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