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해변서 낙뢰사고 6명 중경상…최대한 빠른 응급처치가 관건
낙뢰 피해자 호흡·맥박 없으면 인공호흡·심폐소생술 함께 실시
낙뢰 시 주변 사람에게 위험 줄 수 있어 대피 시 5∼10m 떨어져야
10일 강원 양양의 설악해변에서 발생한 낙뢰 사고로 20∼40대 남성 6명이 중경상을 입은 가운데 낙뢰 사고에 대한 예방과 대처 방법에 관심이 쏠린다.

이는 2020년(8만2천651회)보다 51% 정도 증가한 수준이고, 최근 10년 평균(11만6천회)보다 8%가량 많다.
시기별로는 여름철인 6∼8월에 전체 낙뢰의 71.5%가 집중됐다.
행정안전부의 국민행동요령을 보면 낙뢰 예보 시에는 등산, 골프, 낚시 등 야외활동을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다.
부득이 외출 시에는 우산보다는 비옷을 준비해야 한다.
낙뢰가 발생하면 야외의 높은 곳에서는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벌판이나 평지에서는 몸을 가능한 한 낮게 하고 물이 없는 움푹 파인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특히 낙뢰는 주위 사람에게도 위험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대피할 때는 다른 사람들과는 5∼10m 이상 떨어져야 한다.
또 무릎을 굽혀 자세를 낮추고 손을 무릎에 놓은 상태에서 앞으로 구부리고 발을 모아야 한다.
낙뢰에 의한 감전 사고 시 가능한 한 빨리 119에 연락 후 최대한 빨리 응급처치해야 한다.
낙뢰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주변인들과 함께 낙뢰 피해자를 옮기고 의식 여부를 살핀다.
의식이 없다면 호흡·맥박 여부를 확인하고 호흡이 멎어 있을 때는 인공호흡을, 맥박도 멎어 있으면 인공호흡과 함께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피해자가 맥박이 뛰고 숨을 쉬고 있다면 주변인들과 함께 피해자의 다른 상처를 가능한 한 빨리 찾는다.
몸에서 낙뢰가 들어가고 빠져나온 부위의 화상 정도를 체크하면서 신경계 피해와 골절 여부, 청각과 시각의 손상 여부를 체크한다.
의식이 있는 경우 주변인들과 함께 피해자 자신이 가장 편한 자세로 안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의 의식이 분명하고 건강해 보여도 감전은 몸의 안쪽 깊숙이까지 화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빨리 병원에서 응급 진찰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연합뉴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