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탄소중립 정책 유지할 경우 2100년까지 2.5~3.0℃ 상승 전망
국제 연구팀 "법적 구속력 있는 목표 수립·장단기 실행정책 뒷받침 필요"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35개국의 탄소중립 정책을 분석한 결과 90%가 실행 측면의 신뢰도가 낮아 온난화를 산업혁명 이전 대비 1.5℃ 이내로 억제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각국 탄소중립 정책 90% 이행신뢰도 낮아…온난화 억제 어려워"
또 현재의 탄소중립 정책이 유지될 경우 2100년까지 기온이 2.5~3.0℃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탄소중립 정책이 대폭 강화돼 전면 시행되는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기온이 1.6~2.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조에리 로겔지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9일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각국 탄소중립 약속의 90%가 이행 면에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며 최악의 기후변화를 피하려면 법적 구속력이 있는 목표를 세우고 장단기 실행계획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로겔지 교수는 "세계 각국 기후 정책이 야심 찬 목표 설정에서 실행으로 옮겨가고 있지만 대부분 국가의 탄소중립 약속이 이행 측면에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세계는 여전히 고위험 기후변화 경로에 놓여 있고 안전한 미래 기후 달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파리 기후협정은 기온 상승을 산업혁명 이전 평균 기온보다 2℃보다 낮게, 이상적으로는 1.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방법은 가능한 한 빨리 온실가스 순 배출량이 '0'이 되도록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이며 각국은 이를 위한 목표를 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이 0.1% 이상인 35개국의 탄소중립 정책을 대상으로 법적 구속력 유무, 신뢰할만한 이행 계획 유무, 향후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 경로로 이끌 단기 계획 유무 등 기준을 적용해 이행 신뢰도를 '높음', '낮음', '매우 낮음' 등 3단계로 평가했다.

그 결과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24.2%)과 미국(11.6%)을 포함해 전체 탄소중립 정책의 90% 이상이 이행 신뢰도 면에서 '낮음' 또는 '매우 낮음' 판정을 받았다.

탄소중립 정책의 이행 신뢰도가 '높음'으로 평가된 국가는 유럽연합(EU)과 영국, 뉴질랜드뿐이었다.

연구팀은 이어 이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탄소중립 정책이 그대로 유지되는 가장 보수적인 경우부터 모든 탄소중립 정책이 완전히 시행되는 가장 낙관적인 경우까지 5가지 시나리오 가정해 미래 온실가스 배출량과 기후변화를 전망했다.

그 결과 현재의 탄소중립 정책이 유지되는 가장 보수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기온 상승 폭이 1.7~3.0℃(중간값 2.6℃)로 예상됐으며, 모든 탄소중립 정책이 완전히 이행되는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기온 상승 폭이 1.6~2.1℃(중간값 1.7℃)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팀은 이는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가 전개될 경우 파리기후협정 목표 달성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지만 현재 많은 국가의 탄소중립 정책 신뢰도가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노력이 없다면 희망 사항에 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로겔지 교수는 "중요한 문제는 각국이 탄소중립 약속을 이행할 것으로 믿을 수 있느냐는 것인데 이 결과는 세계가 안전한 기후 미래 달성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기후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잠재적 재앙에 대비하는 최선의 방법은 각국이 약속한 장단기 목표를 실천하는 것뿐"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