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연 대전 집회…지하철 운행 지연·소음에 시민과 마찰도(종합)

이들은 "대전역에 오가는 수많은 기차 중 극소수에서만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다"며 "코레일은 국민 철도 이용 서비스 질을 올리겠다고 하지만 장애인의 기차 이동권은 언제나 뒷순위로 밀려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교통약자법)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대전시에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운영 확대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대전의 장애인 콜택시 운전원은 차 한 대당 1.21 명에 불과하다"며 "다음 달부터 개정안이 시행되면 대전에서 충남·충북 등지로 광역 운행을 확대해야 한다.
대전시의 대책 없이는 장애인 이동권이 더욱 열악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장애인콜택시 1대당 근무 운전원 2인 보장, 장애인을 위한 중형 저상버스 도입, 바우처 택시 활성화, 이동지원 서비스 차별시정 기구 도입을 촉구했다.

이들은 열차 안에서 음향 장비를 가동하고 "불편을 끼쳐 죄송하다"면서도 "장애인의 대중교통 이동 불편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열차 안에 있던 김소율(20·유성구)씨는 "뉴스에서 전장연 행동을 자주 봤는데 대전에서도 할 줄은 몰랐다"며 "지지하는 마음에 불편을 감수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운행 지연과 객차 내 소음으로 강한 불만을 드러내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한 시민은 격앙된 채 전장연 관계자들에게 달려들다 경찰의 제지를 받기도 했다.
A(36·서구)씨는 "서울 출장을 다녀와 지하철을 탔는데 약속 시간까지 도착하지 못할 것 같다"며 "이들이 비좁은 열차 안에서 마이크와 노래를 켜놓고 소리를 질러 고막이 얼얼하다"고 말했다.
B(52·세종시)씨는 "이기적인 행동에 눈살이 찌푸려진다"며 "다수의 시민에게 손해를 끼치면서까지 무슨 권리를 주장하려는 것이냐"고 되물었다.
대전경찰청은 이날 경력 164명을 투입해 지하철 질서, 치안 관리에 나섰다.
대전교통공사는 지하철 운행 지연에 대비해 열차 2대를 배치 후 대기시키고 직원 등 40여명을 투입해 지하철 이용 승객 안내와 질서 유지를 도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