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연구진, '온실가스→고부가가치 요소' 전환 촉매 개발
요소 합성 때 전류효율·생산속도 개선…"요소 자체 생산 원천기술 기대"

권영국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구리 내에 원자 수준의 틈을 제어하는 기술을 적용, 이산화탄소와 질산염을 고부가가치 물질인 요소로 전환하는 촉매 소재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권 교수팀은 같은 과 송현곤 교수팀과 함께 리튬화 공정을 통해 촉매 내부의 원자 수준 틈을 구현했다.
역시 같은 과 이현욱 교수팀은 원자 수준의 틈이 생성되는 것을 실시간 투과 전자현미경(TEM) 분석으로 관측하고 규명했다.
이를 통해 구리 나노입자의 두 면 사이에 원자 수준의 틈을 도입, 이산화탄소와 질산염의 전기화학적 공동환원 반응에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촉매를 생성했다.
특히 이 촉매를 통한 요소 합성 과정에서 전류 효율과 생산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생성된 촉매 중 틈의 거리가 6옹스트롬(Å·100억분의 1m)에 가까운 구리 촉매는 기존 구리 촉매보다 요소 생산 속도는 약 17배, 요소 전류밀도는 19배 이상 향상된 수준을 보였다.
이는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내용 중 최고 수치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50시간 안정성 시험도 통과, 안정성에 대한 검증을 했다.
권 교수는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질소화합물의 동시환원 분야가 초기 연구단계인 만큼 기초연구를 통해 이해를 넓히는 동시에 촉매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함께 진행하는 것이 기술 상업화에 필수적"이라면서 "현재 수입에 의존하는 요소를 국내에서 자체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이며, 이를 발전시키면 탄소중립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에서 권위 있는 학술지인 '에너지와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3월 28일 자 온라인 게재됐고,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5월 17일 출판됐다.
/연합뉴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