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추념식 앞두고 '김일성 공산폭동' 현수막
오영훈 지사 "왜곡·비방 처벌 4·3특별법 개정안 신속 처리해야"
제주에서 4·3 제75주년 희생자 추념식을 앞두고 '4·3은 김일성의 공산폭동'이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등장해 도민사회의 성토가 쏟아지고 있다.

현수막은 전날 도내 주요 거리인 제주시청 인근과 오라동, 노형동 등 80여곳에 내걸렸다.
현수막에는 "제주4·3 사건은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하여 김일성과 남로당이 일으킨 공산폭동이다"라고 적혀 있다.
이들 현수막은 우리공화당, 자유당, 자유민주당, 자유통일당 등 4개 정당과 자유논객연합 명의로 돼 있다.
연구소는 "막말을 넘어 4·3 희생자와 유족들은 물론 제주도민에게 씻을 수 없는 모욕감을 주고 있다"며 "명백히 역사를 왜곡한 현수막을 철거하라"고 요구했다.
제주4·3평화재단에는 "4·3을 왜곡하는 현수막 철거를 해당 정당 등에 요청해달라"는 도민들의 전화가 이어졌다.
오영훈 제주지사도 이날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최근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4·3 망언에 이어 일부 보수 정당까지 4·3을 폄훼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현수막을 도내 곳곳에 설치해 충격을 주고 있다"고 개탄했다.
오 지사는 "4·3 명예훼손과 역사 왜곡 방지를 위해 국회는 4·3 진상조사 결과와 희생자, 유족, 관련 단체를 모욕·비방하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하는 경우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주4·3특별법 개정안을 신속하게 처리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무분별한 정당 현수막 설치를 제재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도 주문했다.

그는 이어 "유추해보면 김일성, 모스크바 등의 상부 지령을 받아서 시행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4·3도 상부의 지시를 받은 것으로 보이며 도민 자발적으로 일어났다는 것은 황당한 주장"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위원은 전당대회 직전 제주·경남 연설회, 개인 SNS 등을 통해 "북한 드라마 등에서 김일성의 4·3 사주설 등의 내용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북한 김일성이 지시했다'는 입장을되풀이했다.
정부 진상조사보고서에 의하면 4·3은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대회에서의 경찰 발포 사건과 이어진 경찰의 과도한 검거 작전 등이 도화선이 됐다.
또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무장봉기는 남로당 중앙당 지시 없이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진상조사보고서를 토대로 4·3은 제주도의 특수한 여건과 3·1절 발포사건 이후 비롯된 경찰·서북청년단과 제주도민과의 갈등, 그로 인해 빚어진 긴장 상황을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으로) 5·10 단독선거 반대 투쟁과 접목해 일으킨 사건으로 판단했다.
정부 차원의 제주4·3 진상규명은 23년 전인 2000년 4·3특별법이 제정된 이후부터 본격 착수됐다.
정부 진상조사보고서에는 제주4·3 당시 적게는 1만4천명, 많게는 3만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잠정 보고됐다.
/연합뉴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