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간격 두고 차수 높여가며 접종→독감처럼 연 1회 정례화
확진·위중증 감소·국민 70% 자연면역…외국도 연례접종 전환
'적극 권고' 대상 고령층 60세 이상→65세 이상으로 좁혀
유행안정-높은 면역수준에 코로나 백신 '중증예방'으로 전환
정부가 22일 올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독감처럼 기본적으로 연 1회만 실시하기로 한 것은 현재의 유행세가 안정적이며 국민의 면역 수준이 높다는 상황 판단에서 나온 결정이다.

그동안 3~6개월 일정 간격을 두고 백신 접종이 반복됐던 것이 이처럼 연례화되면서 백신 접종 정책의 목표는 '유행 억제'에서 '중증·사망 예방'으로 바뀌게 됐다.

정부는 22일 올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10~11월 중 연 1회만 실시하되 면역저하자는 연 2회 실시하도록 하겠다는 내용의 '2023년 코로나19 백신접종 기본방향'을 발표했다.

코로나19 백신은 백신 접종 후 일정 간격(3~6개월)을 두는 방식으로 실시돼 왔다.

작년 하반기부터는 접종의 명칭을 'N차백신'에서 '동절기 접종' 식으로 바꾸며 차수 중심이 아닌 시기 중심으로 접종정책을 전환했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독감과 비슷한 방식으로 실시하기로 한 데에는 현재의 방역 상황과 국민의 면역 수준이 우선 고려됐다.

지난달 코로나19 환자와 사망자수는 작년 7월 이후 최저를 기록했으며, 세계적으로도 감소하는 추세다.

신규 위중증 환자수는 1월 1주 정점을 찍은 뒤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사망자수 역시 최근 5주 연속 감소하고 있다.

작년 12월 실시된 전국민 항체가 조사 결과에서 국민의 3분의 2 이상인 70.1%가 코로나19에 대한 자연면역을 갖고 있고, 항체가가 10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것도 확인됐다.

유행안정-높은 면역수준에 코로나 백신 '중증예방'으로 전환
재감염 소요기간은 점차 늘어나 지난 2월 기준 2회 감염 추정사례의 평균 소요기간은 309일(약 10개월)로, 작년 7월 161일(약 5개월)의 2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해외 연구에서도 접종과 감염으로 획득한 복합면역이 장기간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랐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참여한 한 연구에서 1~2회 접종 또는 감염 후 12개월 경과시 입원·중증화 예방효과는 97.4%, 재감염예방효과는 41.8%로 나타났다.

영국 보건안전청(UKHSA)의 조사에 따르면 3차 이상 접종한 65세 이상 고령층의 입원예방효과는 6개월 51.1%, 1년 이상 53.6% 유지됐다.

사망예방효과는 10개월이 경과해도 56.9%였다.

해외 주요 국가들도 한국처럼 접종을 연례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은 일반인구가 아닌 고위험군에 한해 봄·가을 추가접종을 권고하고 있고, 미국은 기초접종을 완료한 국민에게 연 1회(가을) 추가접종을 권고했다.

일본 역시 코로나19 접종을 연 1회 이상 연례 접종으로 전환했다.

국내 백신 접종이 정기 접종으로 전환됨에 따라 백신 접종 정책의 목표는 유행 억제에서 중증·사망 예방으로 변경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증·사망 예방이 백신 접종의 목적이지만, 예상치 못한 신규변이 출현 등으로 확진자나 중증·사망자가 많이 늘어날 경우 유행억제를 위한 접종이 시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항암치료자, 면역억제제 복용자, 조혈모세포 이식환자 등 면역저하자는 연 2회 접종 대상자로 정했고,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접종을 적극 권고하기로 했다.

여기서 고위험군은 만 65세 이상 고령층,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면역저하자, 당뇨병, 천식 등 기저질환자다.

정부는 그동안은 고령층을 '60세 이상'으로 봤지만, 범위를 '65세 이상'으로 좁혔다.

60~64세의 누적치명률이 0.08%로, 65~69세 0.16%의 절반 수준인 점을 고려했다.

유행안정-높은 면역수준에 코로나 백신 '중증예방'으로 전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