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상위 500대 기업 국민연금 가입자 기준 고용 현황 조사 IT전기전자 고용 늘어…'5대 그룹 유일 공채' 삼성전자 6천768명 순고용
작년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소비 부진과 언택트 근무 등의 여파로 쿠팡을 비롯한 유통과 금융 업종에서는 고용 감소폭이 컸던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반도체 부진 등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삼성전자를 포함한 IT전기전자 업종에서 고용이 늘어 500대 기업 전체의 순고용 감소 사태는 방어했다.
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460개 기업을 대상으로 국민연금 가입자 기준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지난해 순고용 인원(취득자 수-상실자 수)은 2만2천334명으로 2021년 12월 말 국민연금 가입자(153만5천158명) 대비 1.5% 증가에 그쳐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500대 기업 중 조사 기간 내 분할·합병 등으로 전년 대비 10% 이상 변동이 있었던 40곳은 제외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의 순고용 인원이 1만6천81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500대 기업 전체 순고용 인원의 75.3%에 달하는 수치다.
이어 건설·건자재(3천312명), 식음료(2천798명), 운송(2천168명), 자동차·부품(1천906명), 조선·기계·설비(1천537명), 석유화학(1천203명), 제약(1천131명) 등의 순이었다.
삼성전자가 작년 6천768명을 순고용해 전체 증가의 30% 이상을 책임졌다.
삼성전자는 국내 5대 그룹 중 유일하게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유지, 작년 9월과 10월에만 2천863명을 순고용했다.
4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LG이노텍도 2천716명을 순고용했다.
작년 7월 경북 구미시와 카메라모듈 생산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함에 따라 향후 연간 1천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이외에도 SCK컴퍼니(옛 스타벅스커피코리아, 1천934명), SK하이닉스(1천797명), LG에너지솔루션(1천443명), LG디스플레이(1천340명), CJ올리브영(1천193명), 대한항공(1천186명) 등도 순고용이 늘었다.
반면 유통, 은행, 통신, 보험 업종 등은 순고용 인원이 감소했다.
특히 유통 업종의 순고용 인원 감소폭이 5천377명으로 가장 컸고, 이어 은행(-2천614명), 통신(-1천3명), 보험(-866명), 상사(-285명), 생활용품(-274명), 증권(-30명) 업종 순이었다.
유통 업종은 코로나 여파로 인한 수익성 악화 등으로 인원 감축을 비롯한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은행과 보험 업종은 디지털금융 전환에 따른 지점망 축소, 희망퇴직 등의 여파로 고용 인원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별로는 쿠팡의 지난해 순고용 인원이 4천903명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고, 이마트(-1천174명)와 롯데쇼핑(-1천29명)도 구조조정에 따른 인원 감축으로 순고용이 감소했다.
한국씨티은행(-1천48명)은 소매금융 축소에 따른 대규모 인력 감축으로 순고용이 줄었고, 인력난을 겪는 삼성중공업(-488명)과 대우조선해양(-148명), 현대중공업(-102명) 등도 국민연금 상실자가 취득자보다 더 많았다.
시멘트·석탄산업 퇴직예정자 재교육·재고용 강원 삼척시가 고용노동부 노사발전재단 주관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1억6천만원을 확보했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인구 급감, 고령화, 낮은 경제지표 등 어려운 지역 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일자리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상생협의회 구성 운영, 기업체 간담회, 시민 토론회, 공론화 프로그램 운영, 연구조사사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 시 노사민정협의회,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는 이번 사업은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진행한다. 시 관계자는 22일 "쇠퇴하는 시멘트·석탄산업 퇴직예정자 재교육 및 재고용 등 지역의 일자리 비즈니스모델을 구체화하고, 미래지향적인 지역 기반 일자리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급식 조리노동자 등 산재 시달려…복리후생 차별도 없애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경기교육공무직본부)는 22일 임금체계 개편과 복리후생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에서 고공 농성에 들어갔다. 성지현 경기교육공무직본부 지부장은 이날 오전 5시께 약 3m 높이의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현관 캐노피 위에 홀로 올라가 텐트를 설치하고 농성을 시작했다. 경기교육공무직본부는 오전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교육청과 교육감협의회는 노조와의 2022년도 집단 임금교섭을 아직도 끝내지 못하고 있다"며 "교육당국은 노조가 제시한 단일임금체계 도입안과 관련해서도 '개선 필요에 공감하지만, 노조와 협의하기는 힘들다'는 말도 안 되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교육청 편의에 따라 직종별로 임금을 구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모든 학교의 비정규직 근로자에게 단일한 기본급 체계를 적용해야 한다"며 "특히 유치원 방과후 전담사의 경우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도교육청만 유일하게 20만원 적은 기본급을 받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노조는 교육당국이 산업 재해를 막기 위한 근로 환경 개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급식 조리노동자 1명당 120명을 책임지는 인력 배치 기준은 근로 환경을 최악으로 치닫게 하고 있다"며 "얼마 전 교육부는 경기도 내 학교 급식종사자 115명이 폐암 의심 소견을 보였다고 발표했지만, 경기도교육감은 한 마디 사과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도교육청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사과하고, 근로 환경 개선책을 신속히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기교육
정부, 크레디트스위스 임직원 보너스 지급 보류 명령스위스노총 "CS 경영진 최근 2년간 보너스 반납해야" 위기에 빠진 스위스 2위 은행 크레디트스위스(CS)가 1위 UBS에 30억 스위스프랑(4조2천억 원)에 긴급 매각됨에 따라 스위스에서 수만 명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고 AFP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FP에 따르면 이번 매각 소식은 은행·금융업으로 유명한 이 나라 전체에 충격파를 보냈다. 스위스노동조합총연맹(SGB)은 이날 성명을 내고 "직간접적으로 수만개의 일자리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단체 공보담당자는 AFP에 "많은 외주직원과 서비스업체들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SGB 산하 은행 노조인 스위스은행원연합회(SBPV)는 "많은 일자리가 위험해졌다"라며 크레디트스위스 소속 직원들이 불확실성에 직면해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UBS와 CS의 임직원 규모는 도합 글로벌 기준 약 12만명이고 이 중 스위스 국내에만 3만7천명이 있으나, 양 은행이 합병하면 중복되는 일자리는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에서도 CS 임직원들의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더 위태롭다. 특히 CS의 스위스 국내 근무자 1만7천명과 위기의 진원지인 이 은행의 투자은행(IB) 부문 근무자 1만7천명의 실직 가능성이 가장 크다. 하지만 현 UBS 쪽 일자리 중 상당수도 없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합병 후 조직개편 과정에서 UBS만 자리를 지킨다는 보장은 없기 때문이다. 스위스 바젤 소재 민간 싱크탱크 'BAK 이코노믹스'는 UBS와 CS의 합병으로 양사 국내 부문 임직원 1만2천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스위스의 연기금들이 사회적으로 책임성 있는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