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4천18명 늘어 3천25만7천411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1만4천624명)보다 606명 감소한 것이다.
1주일 전인 지난달 29일(1만8천864명)보다 4천240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2일(1만6천615명)보다는 1천991명 줄었다.
대부분 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확진자 수 증가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상당수 국민들이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고 있어 확진자 감소세가 완만하게 유지되는 모습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 6차 유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작년 7월3일(1만36명) 이후 31주 사이 가장 적다.
지난 29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하루 신규확진자 수는 7천412명→1만9천617명→2만414명→1만6천856명→1만4천961명→1만4천624명→1만4천18명으로, 일평균 1만5천414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으로 전날(41명)보다 7명 적다.
해외유입 확진자 중 12명(35.3%)이 중국발 입국자다.
해외유입을 제외한 국내 지역감염 사례는 1만3천984명이다.
지역별 확진자 수(해외유입 포함)는 경기 3천120명, 서울 2천299명, 부산 996명, 경남 995명, 경북 881명, 대구 862명, 인천 827명, 전남 598명, 충남 558명, 전북 541명, 광주 468명, 울산 408명, 충북 393명, 대전 353명, 강원 333명, 제주 256명, 세종 118명, 검역 12명이다.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 책임 가리기 위해 조사" 경찰이 이태원 참사를 수사하면서 사상자의 카드 사용 내역을 조회한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지난 1월 금융정보 영장을 발부받아 참사 희생자 158명과 생존자 292명 등 총 450명의 교통카드 사용 내용을 확보했다. 경찰은 검찰이 참사 당일 송은영 이태원역장이 지하철 무정차 통과 요청에 응했는지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보완 수사를 요청, 영장을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무정차 통과하지 않은 사실과 인명피해의 인과를 밝히고 이에 송 역장이 업무상 책임이 있는지 가려내려면 사상자가 실제로 이태원역을 이용했는지를 확인해야 했다는 것이다. 최근 은행에서 금융거래 정보제공 사실 통지서를 받고 이를 알게 된 유족과 부상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수사기관이 수사상 필요로 개인의 금융거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 영장을 발부받을 때 당사자가 사전 동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는 교통카드 내용뿐만 아니라 입출금 내용까지 조회됐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이에 대해 "일부 피해자의 교통카드가 일반카드와 겸용인 경우가 있어 카드사에서 입출금 내용까지 보낸 것"이라며 "수사에는 이를 전혀 활용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20일 오후 6시 46분께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한 자동차 정비소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불은 20만에 꺼졌지만, 정비소 내에 있던 50대 남성과 그의 아내가 화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비소 내부에서 '펑'하는 소리가 함께 불이 났다"는 부부의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액을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북 익산경찰서는 영화관 엘리베이터에 불을 낸 혐의(현주건조물 방화)로 10대 A군을 조사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A군은 전날 오후 2시 15분께 익산시 모현동의 한 영화관 엘리베이터에서 라이터를 이용해 전단에 불을 낸 혐의를 받고 있다. 다행히 불은 건물 내부로 옮겨붙지 않아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영화 관람객 100여명이 대피하고 엘리베이터 내부가 타 300여만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A군은 경찰 조사에서 "일회용 라이터를 갖고 있었는데 호기심에 불을 붙였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군에 대해 추가로 조사한 뒤 촉법소년인 점을 고려해 소년부에 송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