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5시 28분께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리의 한 야산에서 산불이 나 산림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는 대원 92명과 진화차 등 장비 13대를 투입해 진화에 나서 오후 9시 30분 현재 70%가량 진압했다. 다만, 불이 남아있는 지역이 급경사와 암석지대여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불로 현재까지 인명피해나 시설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소실된 면적은 1.2㏊가량으로 조사됐다.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관계자는 "야간 진화전략을 수립해 불을 끄고 있는데 여의치 않을 경우 방화선을 구축해 불이 확산하지 않도록 한 뒤 내일 날이 밝으면 헬기를 동원해 남은 불을 끌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시, 광화문광장 추모대회도 불허…"다른 단체가 먼저 신청"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가족이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 추모공간을 설치하고 싶다는 의사를 정부와 서울시에 전달했다. 서울시는 '열린광장' 원칙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경찰은 추모 행사를 하루 앞두고 광장에 기동대를 배치했다. 3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의 '10·29 이태원 참사 대응 태스크포스(TF)'는 지난달 30일 유가족을 대표해 이태원 참사 행정안전부 지원단에 추모공간을 광화문광장 내 세종로공원에 설치할 수 있을지 문의했다. 지원단에는 서울시 관계자도 참석했다. 유가족 측은 "윗선의 책임도 요구할 겸 정부서울청사 앞에 있는 세종로공원에 분향소를 설치하겠다고 문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튿날 시는 광화문광장에 추모공간을 설치할 수 없다는 답변을 민변 측에 전달했다. 시 관계자는 "담당 부서에서 열린광장 운영원칙을 검토한 결과 모든 시민이 이용하는 개방된 휴게 공간에 고정물을 설치하는 것은 안전 등의 문제로 어렵다는 의견을 보내왔다"고 설명했다. 시는 유가족 측에 녹사평역사 내 플랫폼이 있는 지하 4층에 임시 추모공간과 소통공간을 설치하자고 제안했다. 유가족 측은 이에 대한 의견을 아직 밝히지 않았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등은 이태원 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4일 광화문광장에서 시민추모대회를 열도록 허가해달라고 시에 광장 사용을 신청했으나 이 역시 불허 통보를 받았다. 시는 유가족 단체가 낸 광장 사용 신청을 최종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이달 1일 통보했다. 지난달 26일에도 KBS가 먼저 신청한 일정이 있다는 이유로 단체의 신청을 돌려보낸 바 있다. 앞서 KBS는 문화제 촬영을 위해 이날 오후 2시부터 4일 오전 11시까지 광장 사용 허가를 받았다. 단체는 "KBS가 추모대회 개최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서울시가 반려 사유로 제시한 KBS 촬영은 불허 이유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KBS는 "촬영 이후 세트 철거 작업 등을 최대한 서둘러 추모제 행사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 이러한 내용을 서울시에도 통보했다"고 언론에 밝히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그날 유가족 측이 신청한 시간에 KBS 외 다른 전시단체도 먼저 사용 허가를 받았다"며 "시가 일정을 조율할 수 없으니 불허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유가족 협의회 등은 4일 집회 허가를 받은 광화문광장 옆 세종대로 3개 차로에서 예정대로 참사 100일 추모 행사를 열 예정이다. 집회를 앞두고 경찰은 이날 오후 늦게 광화문광장에 기동대 10개 중대를 투입했다. 서울시도 광장 내 세종로공원에 천막을 설치했다. 경찰은 기동대 투입이 서울시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으나 서울시 관계자는 "현장 관리용 천막만 설치했을 뿐 별도로 기동대 투입을 요청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측근들의 뇌물 의혹 등 주요 사건을 맡은 서울중앙지법 재판장들이 유임됐다.대법원은 3일 지방법원 부장판사 466명과 지방법원 판사 404명 등 법관 총 870명의 인사를 발표했다. 발령일은 이달 20일과 다음달 1일이다. 대장동 일당의 배임 사건과 곽상도 전 의원 뇌물 수수 사건 재판 등을 담당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 이준철 부장판사는 이번 전보 대상에서 빠졌다.이 대표 측근인 정진상 전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의 위례·대장동 개발 특혜 사건 재판과 불법 대선자금 수수 혐의로 기소된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등의 재판을 맡은 형사합의23부 조병구 부장판사도 이동하지 않는다.이날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게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한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의 마성영·김정곤·장용범 부장판사도 법원에 그대로 남았다.다음달 문을 여는 수원회생법원과 부산회생법원에 회생·파산 분야 재판 경력을 갖추고 연구 활동을 꾸준히 해온 판사가 집중적으로 배치됐다. 수원회생법원에서 부장판사 4명과 판사 10명, 부산회생법원에서는 부장판사 3명과 판사 6명이 일하게 된다. 시범 시행 중인 의료·건설 분야 전문 법관 제도는 확대된다. 지난해 정기 인사에서 서울중앙지법에 의료 전문 부장판사 1명과 건설 전문 부장판사 3명이 배치된 데 이어 올해는 서울중앙지법에 의료 분야 1명, 건설 분야 4명이 추가로 들어간다. 수원지법에서도 건설 사건 전문 부장판사 1명이 선발됐다.올해 법원을 떠나는 지방법원 부장판사와 판사는 모두 40명(부장판사 32명, 대법원 재판연구관 4명, 판사 4명)으로 지난해 50명(부장판사 40명, 재판연구관 5명, 판사 4명, 사법연수원 교수 1명)보다 10명 줄었다.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