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위치 등으로 대체급식, 돌봄교실도 미운영·축소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31일 전국적인 총파업을 벌이면서 학교 급식과 학생 돌봄에 차질이 발생했다.학교 급식실에서는 샌드위치 등 대체급식이 제공됐고, 일부 학부모들은 도시락 등을 보내기도 했다.◇ 대체식 영양 우려…"월요일엔 밥 먹고 싶어요"이날 오전 서울 동작구 영화초등학교 앞에서 만난 한 학부모는 "대체 급식으로 샌드위치가 나온다는 공지를 받았다"며 "애가 샌드위치를 안 좋아해서 빵을 추가로 사서 보냈다"고 걱정했다.이 학교 급식실에서는 오전 11시 20분께가 되자 저학년부터 오늘 메뉴로 현미강정, 꿀떡, 오렌지주스, 햄치즈샌드위치 등이 제공됐다.학생들은 낯선 메뉴를 받아 들고 해맑게 먹었고, 일부는 엄마가 싸준 도시락을 먹기도 했다.이를 지켜보던 영양교사는 "아이들이 이걸 먹고 배고플 게 가장 걱정된다"며 "아무래도 햄이랑 치즈가 내용물이라서 사실 샌드위치 사용한 것 자체가 부담스럽다"고 우려했다.한 2학년 남학생은 "엄마가 오이를 싸줘서 샌드위치랑 같이 먹었는데 맛있었다"면서도 "다음 주 월요일에는 원래 나오던 밥을 먹고 싶다"고 말했다.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파업에 참여한 학교 비정규직은 전체 인원 2만4천789명의 5.24%인 1천298명으로 집계됐다.급식에 차질이 발생한 학교는 148곳으로 1천265개 학교 중 10.47%였다.유치원 방과 후 과정, 초등돌봄교실, 특수학교는 정상적으로 운영됐다.서울 외 다른 지역에서도 급식 차질이 벌어졌고, 일부 학교에서는 돌봄교실도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강원도교육청은 도내 7천448명 중 24.1%인 1천798명이 총
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일인 31일 대구에서는 교육공무직 8천139명 중 708명(8.7%)이 투쟁에 동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대체식 제공 학교는 전체 483개교 중 71개교(14.7%)다. 초등학교 6학년·4학년 아들을 둔 한 학부모(수성구·40대)는 "빵이 제공된다고 학교에서 알림장이 왔으나 도시락을 싸서 보냈다"며 "하루짜리 파업이긴 하지만 걱정이 된다"라고 말했다. 달성군의 한 30대 학부모 A씨는 "올해 유치원 원아 모집 자체도 미달하여서 한 반에 정원도 다 차지 않았다"라며 "아이들도 부족해서 미달이 나는 상황이라 해고하는 게 맞는데도 오히려 직고용을 담보로 파업을 요구하는 게 곱게만 보이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경북에서는 교육공무직 9천719명 중 852명(8.8%) 파업에 참여했다. 전체 학교 946개교 중 166개교(17.5%)가 급식을 중단했다. 이 중 158개교가 빵 또는 음료 등 대체 급식을 제공했으며, 8개교 학사 일정 조정해 단축수업 실시했다. 학교 비정규직 연대 회의는 이날 오전 10시 대구시교육청과 오전 10시 30분 경북도교육청 앞에서 각기 총파업 집회에 나섰다. 대구에서는 노조원 약 500명이 모여 1.8㎞ 거리를, 경북에서는 350명이 집결해 2.6㎞를 행진했다. 대구 집회에서는 유치원 방과 후 전담사, 급식실 조리사, 인지유치원에서 해고된 특수교육실무원이 현장 발언을 이어갔다. 권영자(55) 전국여성노조 대구지부 조리사지회 부지회장은 "작년 폐 CT 결과 저도 폐 결절을 진단받았다"라며 "아이들을 위해 맛있는 밥을 지은 제가 왜 죽음을 걱정해야 하는지, 신학기 일할 수 없는 근로 조건을 만들어 놓고 차별을 겪고 있다"라고 말했다. 최영아(44) 민주노총 공공운수 전국교육
급식과 돌봄 업무에 종사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1일 총파업에 나선 가운데 서울에서는 1천300명가량이 파업에 참여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오전 11시 기준 서울지역 유·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 교육 공무직 2만4천789명 가운데 총 1천298명(5.24%)이 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25일 파업 때(1천382명 참여·5.58%)보다는 참여율이 0.34%포인트 줄었다. 이에 따라 서울 학교 총 1천413곳 중 148곳(10.47%)에서 급식에 차질이 빚어졌다. 1천265개교(89.53%)는 급식이 정상 운영됐다. 급식 차질을 빚은 148개교 중 145개 학교에서는 대체급식을 실시했다. 144개 학교에서는 빵이나 음료 등 대체식을 제공했고 1개 학교에서는 도시락을 지참하게 했다. 3개 학교에서는 학사일정 조정 등을 이유로 급식이 실시되지 않았다. 초등학교 돌봄 교실은 580개 모두 100% 정상 운영됐다. 돌봄은 9개 학교 소속 노동자가 파업에 참여했으나 일부라도 운영 시 정상 학교로 집계됐다. 유치원 방과 후 과정 293개, 특수학교 11개 모두 100% 정상 운영됐다. 직종별 파업 참가 인원은 조리실무사(593명)가 가장 많았으며 특수교육실무사(151명), 조리사(128명), 유치원 교육실무사(14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시교육청은 자체적으로 파악한 결과 세종·강원·충북·경남지역의 파업 참가율이 20%를 넘었고, 서울은 17개 시·도 가운데 참여율이 가장 낮았다고 밝혔다. 학교비정규직노조와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로 이루어진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와 급식실 폐암 종합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이날 하루 파업에 나섰다. 교육당국은 이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