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계와 언론학계 과도하게 대표돼…사회적 합의 필요" 국민의힘이 추천한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들이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야당 주도로 방송법 개정안 본회의 직회부 안건을 의결한 데 대해 "사회적 합의를 못 이뤄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이날 여당 퇴장 후 야당이 단독 가결한 방송법 개정안은 KBS·MBC·EBS 등 공영방송의 이사회 구성과 사장 선임 절차를 바꾸는 내용을 골자로 해 일명 '공영방송 지배구조법'으로도 불린다. 국민의힘 추천 인사인 안형환 부위원장과 김효재 상임위원은 이날 과방위 산회 후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영방송 지배구조는 전문성과 다양성 확보를 위해 여야가 충분하게 논의한 후 사회적 합의를 이뤄 개정돼야 하는데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두 위원은 법안 처리 적절성뿐만 아니라 법안 내용에도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먼저 안 부위원장은 "개정안을 보면 KBS 이사회 구성 시 사회 각 분야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가 거의 없다"며 "방송 미디어 전문가뿐만 아니라 법률, 경제, 회계 등 전문가가 들어와야 하는데 방송, 언론학계와 직능단체가 과잉 대표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사 수도 배로 대폭 확대하는데 EBS 같은 경우 21명으로 하는 게 타당하다"라며 "적정한 인원에 대한 고려 없이 무조건 양적으로 늘리는 게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불러올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안 부위원장은 이번 방송법 개정안이 "상당히 문제가 많은 법안이다. 만약 본회의에서 통과된다면 대통령이 결단을 내릴 필요가 있다"며 "공영방송 이사진 임기는 내년 하반기까지라 여유가 있는 만큼 좀 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는 21일 정기이사회를 열어 민병우 MBC플레이비 대표이사를 신임 MBC 감사로 내정했다. 민 내정자는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MBC에 기자로 입사한 뒤 MBC 보도국 편집1센터장, 보도본부장을 거쳐 2021년부터 MBC플레이비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감사 선임은 오는 22일 정기주주총회에서 확정된다. 임기는 3년이다. /연합뉴스
미세먼지 경보·기업 공시 등 기존 'AI 보도' 역량 더욱 강화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와 국가기간통신망 사업자인 KT가 초거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언론 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협력에 나섰다. 양사는 21일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에서 협약식을 열어 초거대 AI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협약에서 언론 산업 내 AI 접목 분야를 발굴하고, AI 기술 연구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언론 산업 내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AI 사용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제반 활동도 벌이기로 했다. 초거대 AI란 기존의 AI를 뛰어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한 차세대 AI로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론 능력을 통해 마치 인간처럼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채팅 형태로 서비스하는 초거대 AI 언어모델 '챗GPT'가 등장하면서 대중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연합뉴스는 미세먼지 경보와 기상 특보, 상장기업 실적공시 등의 기사 초안을 AI로 생성하고 있으며, 엔씨소프트와 협업을 통해 국내 최초로 기계학습 기반의 AI를 날씨 기사 작성에 적용하는 등 최신 AI 기술을 활용한 보도 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