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중고 수학여행 작년 대비 3배, 수련회 4.5배로 껑충"수학여행의 '수'자만 나와도 애들이 '저희 정말 가요?'라면서 엄청나게 좋아해요"코로나19 감소세로 일상회복 속도가 빨라지면서 학교에서 사라졌던 풍경도 하나둘씩 되살아나고 있다.그중의 하나가 수학여행과 수련회다.1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각 초·중·고(총 1천320교)에서 신청받은 수학여행(소규모테마형교육여행) 계획은 601개로 지난해 추진된 수(201개)보다 3배 늘었다.수련회도 올해 640개가 접수되면서 지난해(143개)에 비해 4.5배 늘었다.학교들이 지난해까지만 해도 설문을 통해서 안 가기로 결정한 곳이 많았지만 새학기가 되면서 새로 한 설문에서는 코로나19 안정세와 더불어 수학여행을 가기로 결정한 학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부터 2년간 초·중·고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으로 수련회와 수학여행을 갈 수 없었다.2022년부터 방역 지침이 완화돼 행사가 재개됐지만 실내마스크 착용 등 각종 제한과 유행 증가세로 참여율은 코로나19 이전처럼 높지 못했다.이처럼 수학여행과 수련회를 가게 된 학교 분위기는 모처럼 설레고 있다.서울 지역의 한 고등학교 담임 교사는 "아이들이 수학여행을 듣자마자 믿기지 않는다면서 매우 좋아했다.작년과 재작년에는 제대로 된 체험활동을 하지 못했는데 이번엔 가게 돼서 아이들이 많이 설레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서울 지역 고등학교 교사인 최민재 전국중등교사노조 위원장은 "우리도 부산이랑 강원도로 가기로 했다.고1, 고2 모두 간다"며 "지금 아이들도 중학교 때 거의 간 친구들이 없을
학교폭력을 저지르고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던 중학생이 행정 실수로 원래 학교로 다시 돌아오는 일이 발생했다. 이 학생은 이전 학교로 다시 돌아온 이후에도 또 학교폭력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31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도내 한 중학교에 다니는 A 군은 지난해 같은 학교 여학생에게 성희롱성 발언을 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에 넘겨졌다.학폭위는 A 군에게 피해 학생 접촉·협박 등 금지(2호)와 교내 봉사(3호) 6시간 조치했고, 조치 이행 기간은 같은 해 12월 31일까지였다.이후 A 군의 부모는 교육 환경을 바꿔 아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올해 3월2일 인근의 다른 중학교로 A 군을 전학 보냈다.그러나 A 군은 19일 만인 이달 21일 원래 재학 중이던 학교로 다시 돌아왔다.A 군이 전학 간 학교 측에서 A 군이 학교폭력 조치 사항인 교내 봉사 6시간 중 2시간을 기간 내에 이행하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 학적 변동을 취소해 전학이 무효가 됐기 때문이다.교육지원청에 따르면 학교폭력으로 인해 받은 조치 사항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해당 학교에서 이행하도록 학교폭력 사안 매뉴얼에 규정돼 있다.A 군이 전학 간 학교 측에서 이를 근거로 A 군의 전학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A 군이 원래 다니던 학교 측은 "학폭 조치 사항을 이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학 절차를 밟게 한 것은 행정 실수"라면서 "A 군이 학교에 제대로 나오지 않은 데다가 교내 봉사를 하라는 교사의 지시를 따르지 않아 조치 사항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A 군이 징계가 아닌 자발적으로 전학을 간 것이지만, 학교 측의 실수로 다시 원래 학교로 돌아오게 되자 A 군에게 피해를 당한 여학생
서울대 자연대 A교수는 지난겨울 계절학기에 한 학생의 황당한 부탁을 받았다. 월요일 예정된 계절학기 대면 기말고사를 온라인 시험으로 대체할 수 없겠느냐는 것이었다. 주말에 제주도 여행을 갔는데, 비행기가 연착돼 제시간에 시험장에 도착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게 이유였다. A교수는 “2년 넘는 코로나 생활로 온라인 시험, 대체 과제 등에 익숙해진 학생들이 정상적인 대학생활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31일 대학가에 따르면 2020~2021년 입학한 ‘코로나 학번’ 학생들이 오프라인 대학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 학번은 대학 정규 교육과정의 대면 수업과 시험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동아리·학생회 활동 참여도 저조한 편이다.한국외국어대 체코·슬로바키아어과 4학년에 재학 중인 김모씨(22)는 이번 학기에 1학년 필수 전공수업인 체코어 회화 수업을 재수강하려다가 포기했다. 같이 수업을 듣는 1학년 학생들만큼 회화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자신이 없어서다. 김씨는 “20학번으로 코로나 시기에 대학생활을 시작해 온라인 수업만 듣다 보니, 대면으로 외국어 회화 수업에 참여하기 어려웠다”며 “교수들도 토론과 회화에 적극적인 23학번과 참여가 저조한 20~22학번이 비교된다는 말을 한다”고 전했다.동아리와 학생회도 ‘코로나 학번 공백’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대 동아리연합회는 학생사회의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지만 코로나를 기점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 2020년부터 4년 연속 연합회장 출마자가 나오지 않아 올해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 중이다.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