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지연을 수반하는 시위는 절대 용인할 수 없습니다."오세훈 서울시장은 3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이미 발생한 손해액에 대해서는 반드시 손해배상을 받을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이날 "전장연이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예측 못한 상황에서 지하철이 지연되면서 손해보는 시민이 약자"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현재 서울지하철의 장애인 이동권이 전세계적으로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도 했다. 전장연의 이동권 관련해서 요구사항이 지나치다는 지적이다. 그는 "런던, 뉴욕의 지하철은 장애인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비율이 69~71%돼 장애인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접근이 어렵다고 한다"며 "서울지하철은 한 5%되는 것으로 나오는데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전장연이 주장하는 탈시설 역시 찬반양론이 있는 내용이고, 이미 서울시는 예산을 충분히 반영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편성해주길 바라는 증액 예산을 반영해주지 않았다고 해서 서울시 지하철을 세우는 형태의 시위가 용인되야 하겠나"며 "이런 논리적 모순을 지적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무관용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오 시장은 "사회적으로 정부에 바라는게 있다고 해서 지하철의 운행에 방해가 되는 형태의 시위를 한다고 하면 대중교통의 정시성이 파괴되는 것은 물론이고, 사회적인 기본 질서가 유지될 수 없다"며 "지하철 지연을 수반하는 시위에는 무관용 원칙을 지킬 것이고, 이 원칙에는 조금도 양보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는 30일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본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백화점·면세점 노동자의 건강권과 휴식권을 지키기 위한 의무휴업 제도 도입을 촉구했다. 노조는 "롯데·신세계·현대 등 주요 면세점들은 '연중무휴'를 내걸고 있고 주요 백화점은 1월에 신정과 설날이 함께 있었다는 이유로 2월 정기휴점을 아예 시행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노조는 백화점의 경우 주 1회, 면세점은 월 1회 의무휴업을 도입하는 내용으로 유통산업발전법을 개정하라고 정부와 국회에 요구했다. 현행법에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일만 규정돼 있다. 노조는 "주요 백화점에 건강권·휴식권 침해 우려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올해 정기휴점 계획을 공유하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지만 모두 회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갑작스럽게 별세한 고 노옥희 울산시교육감의 철학과 뜻을 이어가기 위한 '노옥희 재단' 추진위원회가 30일 출범했다. 이날 추진위원 20여명은 울산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옥희 선생님이 펼쳐 나가고자 했던 세상을 함께 꿈꾸고, 실천하고, 만들어나가기 위해 재단을 만들자는 제안까지 나아가게 됐다"며 추진위 출범 취지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재단을 만드는 것은 단순히 노 선생님 한 분을 추모하고 기억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며 "선생님이 이루고자 했던 뜻과 가치, 더 나은 세상을 향한 노력을 더 많은 사람이 더 다양하고 넓은 방법으로 펼치기 위한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노 선생님이 생전에 이루고자 했던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는 다양한 방안을 사업으로 실천하고, 그 방향에 동의하는 분을 모아 재단을 준비할 것"이라며 "준비 과정은 투명하게 시민에게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추진위는 노 교육감의 남편인 천창수 씨 등 3명을 공동추진위원장으로 하고, 4개의 팀으로 구성된 사무국을 통해 출범 준비를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