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관련 조례를 개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인천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한 조례 개정안에는 시가 버스업체에 지급하는 보조금 기준인 표준운송원가 산정방식을 일부 변경하는 내용이 담겼다. 시는 조례 개정에 따라 표준운송원가 산정을 위한 전문가 용역 주기를 기존 3년에서 2년으로 단축한다. 원가 산정 과정에서 시내버스 수입금 공동관리위원회 의견도 수렴하기로 했다. 또 버스업체가 부정행위나 운영기준 위반행위를 하면 행위별 벌점을 적용하고, 누적 벌점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준공영제 적용 대상에서 배제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조례 개정에 따라 준공영제 재정 운영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운송 사업자 책임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2009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했고 현재 인천에서 186개 노선(34개 업체·1천903대)을 운영 중이다. 시는 준공영제를 운영하며 노선별로 운송원가 대비 적자를 시 예산으로 지원한다. 지난해에는 준공영제 예산으로 2천656억원이 들어갔다. 인천시 관계자는 "준공영제로 인한 불필요한 낭비를 막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버스운송조합과 여러 차례 협상을 진행해 제도개선에 합의했다"며 "관련 조례도 개정된 만큼 앞으로 합의 결과가 잘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빵류에 사용할 수 없는 보존료 성분이 검출된 중국산 카스텔라 제품이 당국에 적발돼 판매가 중단됐다.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피티제이코리아(경기 하남 소재)가 수입한 '미니 카스테라'에서 0.4422g/㎏의 안식향산이 검출됐다. 안식향산은 잼, 마가린 등 일부 식품에 일정 기준 이하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첨가제지만, 빵에는 사용할 수 없다. 마가린 등 빵 원료에 쓰인 안식향산이 빵에서 검출될 가능성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기준치는 0.006g/㎏ 이하다. 이 제품은 이마트의 자체브랜드(PB) 노브랜드 매장이나 대형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도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수 대상 제품은 소비기한이 2023년 5월 31일로 표기된 제품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유통 중인 수입식품들에 대한 안전성 검사 과정에서 부적합 사실을 적발했다"며 "비슷한 시기에 수입된 동일 식품에 대해서도 수거 검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섭취를 중단하고 고객센터에 문의하거나 구매처에 반품하라고 식약처는 당부했다. /연합뉴스
한국지엠(GM) 노조가 부평공장 내 전기차 생산 유치를 위한 정책 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는 28일 기자 간담회를 열고 "미래 경쟁력 확보와 안정적인 고용을 위해 부평공장에 전기차 생산 시설을 조속히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설 투자를 촉진하려면 세액 공제율이나 보조금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며 "정책 개선을 위해 인천시와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GM 부평2공장은 말리부와 트랙스 차량 단종에 따라 지난해 11월 이후 생산 가동을 완전히 멈춘 상태다. 부평1공장에서는 트레일블레이저와 뷰익 앙코르 GX를 생산하고 있으나, 2026년 3월 트레일블레이저 단종이 예정돼 있다. 노조는 추가 신차 배정이 없을 경우 상당한 고용 타격이 우려된다며 전기차 생산 유치에 대한 정부 지원을 촉구했다. 노조는 "한국GM 부평공장은 수도권에 있다는 이유로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되고 지방세 감면 혜택에서도 지방과 차별을 받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전기차 투자에 30%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있다"며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세액공제율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GM이 개발 생산을 계획 중인 전기차 중 소형 CUV와 말리부를 부펑1∼2공장에 각각 유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인천시, 정치권의 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