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정치권 '편향된 헌재' 비판엔 "동의 못 해""제3자 변제, 대법 판결 인정하되 집행 방법 관한 것…모순 아냐" 김형두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는 작년 국회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 심사 과정에 대해 "여러 가지 우려스러운 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28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법제사법위원회의 검수완박 법안 심사가 공개적이고 합리적인 토론을 거쳤다고 보는가'라는 국민의힘 전주혜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법원행정처 차장이었던 그는 검수완박 입법 과정을 가까이에서 지켜봤다. 그는 전 의원이 '본회의장에서 갑자기 고발인의 이의신청권을 폐지한다는 내용이 추가됐다'고 지적하자 "저도 소위원회와 법사위 전체회의, 본회의를 볼 때 왜 빠졌던 게 들어갔나 이상하게 생각은 했다"며 "(검수완박법이 헌법소원 등으로) 사건화가 되면 면밀하게 살펴보겠다"고 했다. 다만 김 후보자는 자신이 당시 "검사의 수사권 박탈은 위헌이라는 견해가 유력하다"고 했다는 전 의원 지적에는 "제가 위헌성이 유력하다고 이야기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당시 법원행정처가 헌법학자들의 논문과 교과서를 정리해보니 '검사의 영장 청구권이 헌법에 있는데 이런 식으로 하면 헌법에 반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한 분들이 더 많았다"며 "우리가 조사해보니 더 많은 사람이 위헌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것을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 법무부가 검찰의 수사개시범위를 넓히겠다며 내놓은 일명 '검수원복'(검찰 수사권 원상 복구) 시행령이 상위 규범인 '검수완박법'의 입법 취지와 상반된다는 민주당 권칠승 의원의 물음에는 "자세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전에 작성된 계엄령 문건 의혹의 핵심 인물인 조현천(64) 전 기무사령관이 해외 도피를 끝내고 5년여만에 귀국한다. 28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조 전 사령관은 미국에서 출발해 29일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 기무사 계엄령 문건 사건을 배당받은 서울서부지검은 조 전 사령관 입국과 동시에 기소 중지된 사건을 재기해 수사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조 전 사령관은 2017년 2월 '계엄령 문건작성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계엄령 검토 문건을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이를 한민구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한 의혹을 받는다. 군과 검찰이 2018년 7월 합동수사단을 구성해 수사했으나 조 전 사령관이 해외로 도주했다는 이유로 기소중지 처분을 내렸다. 조 전 사령관은 2017년 9월 전역한 후 같은 해 12월 미국으로 출국해 귀국하지 않았다. 그는 지난해 9월 현지 변호인을 통해 자진 귀국해 검찰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김용빈(51) 대우조선해양건설 회장이 자본시장법 위반과 횡령·배임 혐의로 28일 구속됐다. 서울남부지법 유환우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김 회장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을 한 뒤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유 부장판사는 "증거인멸과 도망의 염려가 있으며 혐의가 인정되는 범죄 사실만으로도 사안이 중대하다"고 밝혔다. 김 회장과 같은 혐의를 받는 대우조선해양건설 임직원 3명의 영장은 기각됐다. 일부 범죄사실과 가담 정도에 다툼의 여지가 있어 방어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이유에서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단장 단성한)은 지난 23일 김 회장과 임직원 3명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에 따르면 김 회장 등은 2018년 실소유한 콜센터 운영대행업체 한국코퍼레이션(현 엠피씨플러스)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빌린 돈으로 증자 대금을 납입했다. 이후 유상증자가 완료되자 이를 인출해 차입금을 갚은 혐의를 받는다. 2020년 3월 한국코퍼레이션 주식거래가 정지되기 직전 미공개 중요 정보를 미리 입수하고 보유주식을 처분해 손실을 회피한 혐의도 있다. 또 장기간 법인카드를 사적으로 유용해 회삿돈 1억원가량을 횡령하고 회사에 손해를 끼친 배임 혐의도 적용됐다. 앞서 한국코퍼레이션 소액주주들은 지난해 2월 김 회장 등을 자본시장법 위반과 배임 등 혐의로 서울남부지검에 고소했다. 한국코퍼레이션의 대주주는 현재 엘림투자조합으로 변경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