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에서 발길 이어져, 외국인 단체 관광객들도 연이어 방문푸드마켓 등 상권 활기, 밤엔 경관조명 아래 이색 벚꽃구경 가능 국내 대표 벚꽃축제인 경남 창원 진해군항제가 개막 이틀째인 26일에도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4년 만에 돌아온 진해군항제 축제장 일원은 이날도 마스크를 벗고 화사한 벚꽃과 함께 기념촬영에 나선 상춘객들로 북적댔다. 봄바람에 살랑대는 만개 직전의 벚꽃은 탐스러운 자태를 뽐내며 전국 각지의 관광객들을 불러 모으기에 충분했다. 경화역에서 폐철길을 따라 펼쳐진 벚꽃하늘 아래를 걸으며 봄을 즐기는 연인, 가족 단위 관광객들은 연신 사진을 찍으며 미소 지었다. 이날 오전 6시 대전 신탄진역에서 산악회 회원 40여명과 함께 버스를 타고 진해를 찾은 김현숙(58·대전 대덕구) 씨는 "와보니까 벚꽃이 너무 예쁘고, 날씨도 좋아서 기분이 좋다"며 웃었다. 충남 공주에서 당일치기 꽃구경에 나섰다는 40∼50대 산악동호회원들도 "공주보다 벚꽃 개화가 확실히 빠르고, 거리가 멀지만 오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입을 모았다. 관광가이드 류모(50) 씨는 "말레이시아, 대만, 필리핀 단체 관광객 60여명이 진해를 찾았다"며 "올해부터 외국인 관광객 수요가 확실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CNN 방송이 '한국에서 꼭 가봐야 할 50곳'으로 뽑은 벚꽃 명소인 여좌천에도 끊임없이 상춘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장천동 벚꽃공원에는 진해 도심에서 흔히 보이는 왕벚나무가 아닌, 가지가 주렁주렁 늘어진 능수벚나무를 감상하려는 시민들의 발길도 이어졌다. 진해 해안도로 벚꽃길(속천항∼진해루∼소죽도공원∼행암철길마을∼수치마을∼진해
여객터미널서 송환비행기 기다리다 창문 깨고 활주로로 나가 인천국제공항에서 입국 불허 판정을 받은 외국인 2명이 공항 외곽 울타리를 넘어 달아나 경찰과 출입국 당국이 추적에 나섰다. 26일 인천공항경찰단과 인천공항출입국·외국인청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20분께 인천시 중구 인천공항 제4활주로 북측 지역에서 카자흐스탄인 A(21)씨와 B(18)씨가 외곽 울타리를 넘어 공항 밖으로 도주했다. A씨 등은 지난 24일 오전 입국 불허 판정을 받았고,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출국대기실에서 송환 비행기를 기다리다가 빠져나와 터미널 1층 버스 게이트 창문을 깬 뒤 활주로 지역으로 나간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다른 카자흐스탄인들과 함께 인천공항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려고 했으나 입국이 불허된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공항 외곽 울타리 경계벽 위에는 철조망이 설치돼 있고 적외선 감시장비와 경비 센서 등 첨단 보안 시스템이 운영 중이지만 이들의 도주를 막지는 못했다. 경찰은 "침입 감지 시스템에 이상 신호가 감지됐다"는 인천공항공사의 신고받고 현장에 출동해 A씨 등의 도주 사실을 확인했고, 주변 폐쇄회로(CC)TV를 확인하면서 이들을 추적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A씨 등의 구체적인 도주 경로나 입국 불허 사유는 확인하지 못했다"며 "이동 동선을 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행안부 올해 정부조직관리지침…자율기구·총액인건비제 확대 정부가 민간 전문가를 다수 임용할 수 있도록 민간 개방직 비율 상한 폐지 확대를 검토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도 정부조직관리지침을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행안부는 신설 추진 중인 우주항공청에 적용할 조직운영 특례의 성과를 분석해 타 기관에도 확대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 특례는 우수한 민간 전문가의 채용을 확대하기 위해 전체 일반직 공무원의 20% 이내로 정한 임기제 공무원 비율 상한을 폐지하고, 유연하고 탄력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훈령으로 과 단위 연구개발조직을 구성하는 내용이다. 행안부는 또한 자율기구제 및 총액인건비제 확대 등으로 부처의 자율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정과제 및 핵심 사업에 필요한 과 단위 기구를 기관장 재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기구제를 국무조정실 등에 확대 운영한다. 신규 업무수요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대통령령인 직제 개정 없이 실·국간 일시적으로 사무를 조정하고 기구를 이관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각 부처가 인건비 총액 범위 안에서 자율적으로 조직·인력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직급조정과 인력증원 범위를 기준정원의 7%에서 10%로 올리고, 초과근무수당 등 절감 재원을 인력증원뿐 아니라 기구 신설, 직급 조정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행안부는 조직진단을 바탕으로 정부 조직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부처별 자체 진단을 통해 불필요 분야를 통합활용정원(매년 각 부처 정원의 1%)으로 지정해 재배치한다. 또 조직운영지표를 활용해 정부조직을 관리하고, 행안부와 기획재정부 합동회의를 거쳐 신속하게 직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