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시에만 집에서 나오지 않고 고립·은둔한채 살아가는 청년이 1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 등 경제적 어려움으로 숨어버린 청년이 4.5%나 되는 셈이다. 서울시는 이들을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최초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서울시에 살고 있는 만19~39세 청년 5513명 및 청년 거주 5221가구를 대상으로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병행한 결과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청년 중 고립·은둔 청년 비율은 4.5%로 최대 12만9000명에 이를 것으로 산출됐다. 전국 청년으로 대상을 넓히면 61만명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다.

서울시는 ‘고립’은 현재 정서적 또는 물리적 고립상태에 놓인 자로 고립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되는 경우로, ‘은둔’은 현재 외출이 거의 없이 집에서만 생활하며 은둔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되고,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 활동이 없던 경우로 규정했다.

청년들이 고립과 은둔을 택한 가장 큰 이유는 실직과 취업의 어려움(45.5%)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심리적, 정신적인 어려움(40.9%)’, ‘다른 사람과 대화하거나 함께 활동하는 등 인간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움(40.3%)’ 순이었다.

고립·은둔청년은 서울시 청년 전체 평균보다 성인기 전후로 더 많은 부정적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이전에는 ‘가족 중 누군가가 정서적으로 힘들어했던 경험(62.1%)’, ‘집안 형편이 갑자기 어려워진 경험(57.8%)’, ‘지인으로부터 괴롭힘과 따돌림을 당했던 경험(57.2%)’ 등이 있던 것으로 조사됐다. 성인기 이후에는 ‘원하던 시기에 취업을 못했거나(64.6%)’, ‘원했던 직장에 들어가지 못했던 경험(60.7%)’ 등 주로 취업 실패 등에 대한 경험을 안고 있는 것으로 확인다.

고립·은둔청년의 55.6%는 거의 외출 하지 않고 집에서만 생활하고 있었다. 생활의 지속기간은 ‘1년 이상~3년 미만(28.1%)’, ‘3년 이상~5년 미만(16.7%)’, ‘10년 이상(11.5%)’ 순으로 나타났다. 은둔 생활이 5년 이상 장기화 된 청년 비율도 28.5%에 달했다.

본인의 처지를 비관하고 있는 비중도 높았다. 고립·은둔청년 중 본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보통보다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64.7%이었다. 이는 일반청년의 응답 31.4%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건강 상태도 좋지 못했다. 고립·은둔청년은 자신의 신체적 건강상태에 대해 43.2%가 나쁘다고 응답했다. 일반청년(14.2%)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정신건강 관련 약물 복용 여부에 고립·은둔청년은 18.5%가 복용한다고 답했다. 일반청년(8.6%)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이다. 10명 중 8명은 가벼운 수준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고립·은둔을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는 있었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립·은둔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느낀 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10명 중 5명(55.7%)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10명 중 4명(43%) 이상은 실제 벗어나기 위해 취미활동이나 일, 병원 치료, 심리상담 등을 시도를 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경제적 지원(57.2%)’, ‘취미, 운동 등의 활동(44.7%)’, ‘일자리나 공부 기회(42.0%)’, ‘심리상담(36.8%)’ 등을 지원받고 싶어했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립·은둔 청년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획해 3월 안에 종합 지원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토털 케어할 수 있는 종합 컨트롤타워로서 '마음건강 비전센터'를 운영하고, 대학병원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단순상담이 아닌 체계화된 사업 형태로 확장하겠다는 목표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고립은둔 청년의 사회적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당사자 중심의 섬세한 정책설계가 필요해졌다"며 “이제 고립·은둔청년이 실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해, 다시 사회로 나와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업을 마련해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