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민사회단체들이 1일 군부 쿠데타 2년을 맞은 미얀마의 민주화를 촉구했다. 106개 단체로 구성된 미얀마지지시민모임은 이날 오전 서울 성동구 주한 미얀마대사관 무관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쿠데타 이후 미얀마 민중은 포기하지 않고 저항했지만 군부는 폭력 진압과 학살로 대응했다"며 "군부 독재가 종식되고 민주주의가 오는 그날까지 함께 저항하겠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미얀마 군부와 협력을 중단하지 않은 일부 한국 기업 역시 미얀마 민중의 민주주의와 삶을 파괴한다는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미얀마 군부에 저항한다는 뜻으로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미얀마 군부는 즉각 퇴진하라", "미얀마 봄의 혁명을 함께 이뤄내자" 등 구호를 외쳤다.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2021년 2월1일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1만7천572명이 체포돼 이 가운데 1만3천763명이 구금 중이다. 군부 폭력으로 숨진 사람은 2천940명에 달한다. /연합뉴스
스포츠 인권헌장·가이드라인 12년만에 개정 국가인권위원회는 사회적 소수자의 스포츠권(스포츠에 참여하고 향유할 권리)과 같이 변화하는 환경을 반영해 2010년 만든 스포츠 인권 헌장과 가이드라인을 12년 만에 개정했다고 1일 밝혔다. 빙상·유도 등 종목에서 여전히 심각한 인권침해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지난해 12월 개정된 헌장에는 건강증진과 시민 자질 고양, 평화 실현 등 스포츠의 긍정적 가치가 새로 담겼다. 헌장은 성별과 성적 지향·장애·나이·재산·운동능력에 따른 차별 없이 모든 사람이 스포츠권을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개정 가이드라인은 폭력과 괴롭힘을 예방하기 위해 체육단체 등이 인권옹호 담당자와 부서를 정하고 인권침해 예방 전략과 정책을 주기적으로 수립해 적절한 대응체계·매뉴얼을 마련하라고 했다. 체육지도자의 인권옹호 책임도 강조했다. 인권위는 "체육지도자는 스포츠 기량·기술 향상을 돕는 지도자일뿐 아니라 모든 참가자를 인권침해와 차별로부터 보호하는 인권옹호자라는 책임감을 인식하고 실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시·도 교육감, 대한체육회장, 대한장애인체육회장, 스포츠윤리센터이사장에게 개정 헌장과 가이드라인을 채택·이행하라고 권고했다. 선수와 체육지도자, 선수 관리 담당자 등 체육 관련 종사자에게도 교육하라고 했다. /연합뉴스
국가인권위원회는 성전환 수술 후 강제 전역 처분을 받고 사망한 故 변희수 전 하사에 대한 순직을 인정해야 한다면서 일반 사망으로 처리한 국방부에 재심사를 권고하기로 결정했다.31일 인권위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인권위에서 고인의 강제 전역 처분을 성 소수자 인권침해라 인정한 점, 법원에서 해당 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한 점, 대통령 소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가 순직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국방부에 권고한 점 등을 두루 고려했다"고 설명했다.앞서 군인권센터 등은 지난 13일 인권위 군인권보호관에 '변 하사의 순직을 재심사하도록 국방부에 권고해달라'는 취지의 진정서를 냈다.변 하사는 2019년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이듬해 강제 전역 처분되자 이를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첫 변론을 앞둔 2021년 3월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변 하사는 같은 해 10월 강제 전역을 취소하라는 법원 판결에 따라 '군인 신분'으로 숨진 것이 인정됐다.이어 지난해 4월에는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가 부당한 전역 처분이 주된 원인이 돼 변 하사가 사망에 이르렀다고 보고 국방부에 순직 결정을 권고했지만, 육군은 지난달 1일 변 하사의 죽음이 공무와 인과관계가 없다고 보고 일반 사망으로 분류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