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발표 기준 31주 사이 최소…위중증 313명·사망 22명 코로나19 유행 감소세가 뚜렷한 가운데 5일 1만명대 중반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4천18명 늘어 3천25만7천411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1만4천624명)보다 606명 감소한 것이다. 1주일 전인 지난달 29일(1만8천864명)보다 4천240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2일(1만6천615명)보다는 1천991명 줄었다. 대부분 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확진자 수 증가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상당수 국민들이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고 있어 확진자 감소세가 완만하게 유지되는 모습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 6차 유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작년 7월3일(1만36명) 이후 31주 사이 가장 적다. 지난 29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하루 신규확진자 수는 7천412명→1만9천617명→2만414명→1만6천856명→1만4천961명→1만4천624명→1만4천18명으로, 일평균 1만5천414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으로 전날(41명)보다 7명 적다. 해외유입 확진자 중 12명(35.3%)이 중국발 입국자다. 해외유입을 제외한 국내 지역감염 사례는 1만3천984명이다. 지역별 확진자 수(해외유입 포함)는 경기 3천120명, 서울 2천299명, 부산 996명, 경남 995명, 경북 881명, 대구 862명, 인천 827명, 전남 598명, 충남 558명, 전북 541명, 광주 468명, 울산 408명, 충북 393명, 대전 353명, 강원 333명, 제주 256명, 세종 118명, 검역 12명이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313명으로 전날(325명)보다 12명 줄었다. 전날 사망자는 22명으로 직전일과 같았다. 누적 사망자는 3만3천596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 /연
경남도는 4일 하루 도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995명이 신규 확진됐다고 5일 밝혔다. 모두 지역 감염이다. 전날 1천157명보다 162명 감소했다. 시·군별 확진자 수는 창원 331명, 김해 161명, 양산 123명, 진주 106명, 거제 83명, 밀양 39명, 통영 31명, 사천 28명, 고성·남해 각 14명, 창녕·거창 각 12명, 함안 11명, 합천 8명, 의령 7명, 산청·함양 각 6명, 하동 3명이다. 치료 중인 70대 환자 1명이 숨져 누적 사망자는 1천857명(누적 사망률 0.1%)이다. 위중증 환자는 7명으로 치료 중인 환자 대비 0.09%다. 5일 0시 기준 병상 가동률은 23.7%, 동절기 추가 접종률(4일 0시 기준)은 11.1%를 나타냈다. 도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총 181만3천941명(입원 치료 44명, 재택치료 7천380명, 퇴원 180만4천660명, 사망 1천857명)으로 늘었다. /연합뉴스
대선 때 이재명 후보 배우자 비판…자신도 감사로 비위 드러나 전북도 고위직인 박성태 정책협력관의 업무추진비 부당사용 의혹이 감사를 통해 사실로 드러나면서 과거 그가 남긴 글을 두고 뒷말이 나온다. 박 협력관은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둔 지난해 3월 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부부 도둑놈, 대장동으로 도둑질하고 법카로 도둑질하고…더 이상 털 곳이 없었나?'라고 썼다. 이 글은 당시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받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를 겨냥한 것으로 읽힌다. 김씨 측근인 사무관이 사적 용도로 법인카드를 썼다는 의혹이 언론보도 등을 통해 제기돼 수사기관이 경위 파악에 나선 상태였다. 박 협력관은 이때를 전후해 문재인 정권을 향해 '내로남불'이라고 하는 등 민주당과 이 후보를 비판하는 글을 SNS에 다수 게시했다. 박 협력관은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 후보로 광역의원에 출마하는 등 정치 생활 대부분을 현재 여당에서 보냈다. 이후 협치에 힘쓰겠다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관영 도지사 뜻에 따라 지난해 7월부터 임기제 3급에 해당하는 현재 자리를 받았다. 박 협력관의 업무추진비 부당사용 의혹도 이때부터 불거졌다. 5일 도 감사관실의 감사 결과를 보면 박 협력관은 임용 직후 4개월간 용처를 투명하게 밝히지 않거나 시책사업과 무관하게 업무추진비를 사용했다. 짧은 기간에 이렇게 쓰인 업무추진비만 약 6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 협력관이 용처를 제대로 밝히지 않는 바람에 담당 부서는 관행적으로 애꿎은 '언론인'이나 '국회 관계자'에게 업무추진비를 집행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게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