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간사-민간자문위원 회동…與간사, 특위 활동 기한 연장 가능성 시사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의 국민연금 개혁안이 애초 특위 활동 기한인 4월까지 나오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금특위 간사인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은 8일 국회에서 연금특위 민간자문위원들과 면담한 이후 기자들에게 "공적 영역에 대한 구조개혁이 선행돼야 한다"며 "구조개혁에 대한 부분을 우리가 먼저 충분히 논의하고 나서 (모수개혁을 논의) 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조정 등 '모수개혁'보다도 기초연금·퇴직연금·사학연금 등 다른 연금 간의 통합 등 '구조개혁'이 먼저라는 설명이다. 강 의원은 "모수개혁은 5년마다 정부가 재정 추계를 통해 하기로 돼 있는데 이 부분은 일정부분 정부 몫이 강하지 않느냐는 것을 공감했다"며 "구조개혁에 대한 부분을 우리가 먼저 충분히 논의하고 나서 (모수개혁을 논의) 해도 늦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금특위 활동 기한이 오는 4월까지인 것에 대해선 "필요하다면 일정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라며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면 자동으로 타임테이블(시간표)이 바뀌지 않겠나"라고 전망했다. 연금특위는 2월 말 나올 예정인 민간자문위의 1차 보고서에 제시된 방향성을 토대로 추가 논의를 거치겠다는 입장이다. 당초 민간자문위는 지난달 말까지 연금개혁 초안을 마련해 특위에 보고하기로 했지만, 내부 입장차이로 초안이 미뤄지고 있다. 국민연금 개혁안과 관련해 '더 내고 더 받는 안'(보험료율 9%→15%, 소득대체율 40%→50%)과 '더 내고 지금처럼 받는 안'(보험료율 9%→15%, 소득대체율 유지) 등을 놓고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한
전북 장수군은 올해 2억1천만원을 들여 사회복지시설 41곳의 종사자 235명에게 사회복지 수당을 지원한다고 8일 밝혔다. 장수형 사회복지 수당은 민선 8기 공약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 개선을 위한 것이다. 군은 직급과 무관하게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상근 직원에게 월 5만씩을 지급한다. 군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앞으로 4년간 지원액을 단계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최훈식 군수는 "복지 업무 최일선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다양한 처우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 지역 8개 자치구에 아직 특수학교 없어…"추가 설치 노력 중"유치원 과밀학급에 특수교사 1명 추가 배치…일반 교사와 협력 확대 서울지역에서 지적·지체 장애 등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4년간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은 특수학급 수를 늘리고 특수교사 배치 기준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8일 2023년부터 2027년까지의 서울 특수교육 비전을 담은 '제6차 서울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교육청에 따르면 학령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장애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8년에는 1만2천741명이던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2022년에는 1만3천366명으로 625명(4.9%) 늘었다.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41.9%)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자폐성장애(22.8%), 지체장애(11.8%), 발달지체장애(11.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폐성장애 학생은 2018년(2천73명)에 비해 2022년(3천44명)에 46.8%나 증가했다. 시각·청각장애 학생은 감소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부모들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변화로 대상 학생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예전보다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가 확대됐기 때문에 자녀를 특수교육에 맡기려는 의향도 커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서울지역에는 특수학교가 총 32곳 있으며, 이중 지적장애와 정서장애학교는 총 19개(59.4%)다. 전체 특수교육 대상 학생 중 발달장애학생이 1만312명으로 77.2%를 차지하지만 이들을 받아줄 학교 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수학교를 설치하려면 지역민들을 설득하고 협조를 얻어내야 하므로 신설이 쉽지 않다. 현재 중랑구, 동대문구, 성동구, 중구, 용산구, 영등포